||
<#0C0000>
<-5><:> {{{#ffd700 '''역대 [[아이스너상|{{{#ffd700 아이스너상}}}]] 시상식''' }}} || ||<#FFFFFF><-5><:> [[파일:cci2020_eisnerlogo.png|width=100]] || ||<#0C0000><-5><:> [[아이스너상/최우수 북미판 국제작품|{{{#ffd700 '''최우수 북미판 국제작품 - 아시아'''}}}]] || ||<#E5E5E5> {{{#000 '''제20회[br](2007년)''' }}} ||<#E5E5E5> {{{#000 {{{+1 →}}} }}} ||<#E5E5E5> {{{#000 '''제21회[br](2008년)''' }}} ||<#E5E5E5> {{{#000 {{{+1 →}}} }}} ||<#E5E5E5> {{{#000 '''제22회[br](2009년)''' }}} || ||<#FFFFFF><:> [[올드보이(만화)|올드보이]] ||<#FFFFFF><:> {{{+1 →}}} ||<#FFFFFF><:> '''철콘 근크리트''' ||<#FFFFFF><:> {{{+1 →}}} ||<#FFFFFF><:> [[도로로(만화)|도로로]] || ||<#0C0000><-5> || ||||<:> [[파일:Tekkonkinkreet.png|width=300]] || ||<#dddddd>'''원제''' || 鉄コン筋クリート || ||<#dddddd>'''글/그림''' || [[마츠모토 타이요]] || ||<#dddddd>'''출판사''' || [[소학관]] || ||<#dddddd>'''권수''' || 전3권 || ||<#dddddd>'''국내 발매''' || 전3권 || ||<#dddddd>'''국내 출판사''' || [[애니북스]] || >불이란 건 묘하기도 하지... >그렇게도 조용하고 온화한 주제에 그 안에는 힘과 파괴만이 숨어있지. >무언가를 숨기고 있는 게지. >인간처럼 말야. >다가가서 보지 않으면, 안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 수 없을 때도 있고 말야. >때로는 따끔한 맛을 보지 않고서는 진실을 볼 수 없을 때도 있어. [목차] [clearfix] {{{+3 Tekkon Kinkreet / 鉄コン筋クリート}}} [* 제목은 오타가 난게 아니다. [[마츠모토 타이요]] 작가가 어린 시절, [[철근 콘크리트]]를 제대로 발음 못 하는 것에서 착안했다고 한다.] == 개요 == [[소학관]]의 잡지 빅 코믹 스피리츠에서 연재된 [[마츠모토 타이요]]의 만화. [[STUDIO4℃]]에서 극장용으로 애니메이션을 제작했다. [[마이클 아리아스]]가 감독했으며 2006년 개봉, 국내에서는 2007년도 전주국제영화제에서 개봉했다. 90년대 IDM씬을 이끌던 [[워프 레코즈]]의 PLAID가 OST를 맡아 화제가 되었다. 그 탓인지 개봉 1년 뒤에 발표된 리믹스 앨범에도 IDM 계열 뮤지션들이 대거 참여했다. == 시놉시스 == 홈리스와 야쿠자들이 모여 사는 '지옥의 거리' 다카라쵸. 그곳에는 서로를 의지하며 자유롭게 살아가는 두 고아소년 [[쿠로]]와 [[시로]]가 살고 있다. '고양이'라는 별명의 그들은 다카라쵸에서 아무도 손대지 못하는 '악동'으로 유명한 문제아들. 하지만 그들의 터전 다카라쵸에도 어둠의 그림자가 다가오기 시작한다. 테마파크 사업을 통해 떼돈을 벌어 마을을 삼키려는 야쿠자와 외부세력의 검은 음모가 시작된 것. 결국 쿠로와 시로는 자신의 마을을 지키기 위해 행동에 나서고, 이제 그들과의 숨막히는 전쟁이 시작된다! == 등장인물 == * 시로([[아오이 유우]]) * 쿠로([[니노미야 카즈나리]]) * 네즈미(다나카 민) * 키무라(이세야 유스케) * 사와다(쿠도 칸쿠로) == 작품에 대하여 == 막상 시놉시스에 나온거마냥 [[나홀로 집에]]처럼 나쁜 어른들을 골탕먹여 승리하는 내용은 아니다. 시로, 쿠로 형제의 우애에 포커스를 두고 있으며 현실과 환상의 경계가 모호한 마술적 리얼리즘스러운 장면들이 등장한다. 가령 시로가 목욕탕에서 코끼리를 타는 자기 모습을 상상하더니 상상이 끝난뒤에도 현실에서도 코끼리를 타고 있거나, 쿠로가 만난 소문의 '족제비'의 정체라든가, 쿠로 시로 형제를 제거하려는 신의 명을 받든다는 남자와 이상한 능력을 쓰는 보라색 피부의 부하들 등등. [* 참고로 등장인물중 몇몇은 이미 작가의 다른 만화인 푸른청춘에서 출연한적이 있는 인물들이다. 같은세계관인듯] == 애니메이션 == [[파일:철콘.jpg]] [youtube(yWj77NUjLI4)]공식 트레일러 * 제작: [[STUDIO4℃]] * 감독: 마이클 앨리어스 * 작화감독: [[니시미 쇼지로]] * 원화: [[안도 마사시]], [[오오히라 신야]], [[야마시타 타카아키]], [[니시다 타츠조]], [[마츠타케 토쿠유키]], [[요시다 토오루]], [[마키하라 료타로]], [[하마다 타카유키]], [[하시모토 신지(애니메이터)|하시모토 신지]], [[하츠미 코이치]], [[미츠나카 스스무]], [[이토 히데츠구]], [[호리우치 히로유키]] 등 * 주제가: [[ASIAN KUNG-FU GENERATION]] - [[或る街の群青|어느 거리의 군청(或る街の群青)]] * 관람등급: 15세이상 관람가 === 수상 내역 === ||
<#0C0000><-5> {{{#E5D85C '''역대 [[일본 아카데미상|{{{#E5D85C 일본 아카데미상}}}]]'''}}} || ||<#FFFFFF,#333333><-5> [[파일:japan-academy-prize.png|width=200]] || ||<#0C0000><-5> [[일본 아카데미상/애니메이션 작품상|{{{#E5D85C '''최우수 애니메이션 작품상'''}}}]] || || '''제30회[br]([[2007년]])''' || {{{+1 →}}} || '''제31회[br]([[2008년]])''' || {{{+1 →}}} || '''제32회[br]([[2009년]])''' || || [[시간을 달리는 소녀(애니메이션)|시간을 달리는 소녀]] || {{{+1 →}}} || '''철콘 근크리트''' || {{{+1 →}}} || [[벼랑 위의 포뇨]] || ||<#0C0000><-5>|| * 제31회 일본 [[아카데미상]] (2008) [[일본 아카데미상/애니메이션 작품상|최우수 애니메이션 작품상]] * 제40회 시체스영화제 (2007) 최우수애니상 - 특별언급 * 제11회 판타지아 영화제 (2007) 베스트 애니메이션 영화 - 금상 == 여담 == 본 작에 나오는 야쿠자들은 본래 원작 작가의 단편 푸른 청춘[* 실사 영화의 제목은 우울한 청춘]에 먼저 나오는 캐릭터들이다. 관심있는 사람은 단행본을 구매하자. 2019년 프랑스 언론 [[르몽드]]에서 발표한 '일본의 걸작 만화 20개의 작품' 중 하나로 선정됐다.[[https://courrier.jp/news/archives/167348/|#]][* 다른 작품으로는 [[드래곤볼]], [[나루토]], 관동 평야, [[총몽]],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아돌프에게 고한다]], [[AKIRA]], [[나나(만화)|나나]], [[란마 1/2]], [[데스노트]], [[몬스터(만화)|몬스터]], [[슬램덩크(만화)|슬램덩크]], [[베르사이유의 장미(만화)|베르사이유의 장미]], [[BECK]], [[러브히나]], [[GTO(만화)|GTO]], [[시티헌터]], [[퀸 에메랄다스]], [[헌터×헌터]]가 있다.] 전자양의 노래 멸망이라는 이름의 파도의 가사에서 조금 언급되었다. [[분류:일본 만화/목록]][[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