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전사족]] [[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TotalDefenseShog-DM3-JP-VG.png]] || 한글판 명칭 ||<-4>'''철통 방어 장군'''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ruby(絶対防御将軍, ruby=ぜったいぼうぎょしょうぐん)]'''|| || 영어판 명칭 ||<-4>'''Total Defense Shogun'''[*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에서는 이름이 잘려서 'Total Defense Shog'까지만 표기되었다.]||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6[*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는 8.] || 흑마족 || [[전사족]] || 1550 || 2500 || ||<-5>소중한 사람을 위해 1000일 수호를 계속해온 용맹한 장군.||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에서부터 등장.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絶対防御将軍.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철통 방어 장군, 일어판명칭=絶対防御将軍(ぜったいぼうぎょしょうぐん, 영어판명칭=Total Defense Shogun, 속성=어둠, 레벨=6, 공격력=1550, 수비력=2500, 종족=전사족, 효과1=이 카드는 일반 소환 / 반전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수비 표시가 된다. 이 카드는 수비 표시 상태로 공격을 실행할 수 있다. 수비 표시로 공격할 경우에는 공격력의 수치를 적용하고 데미지 계산을 실행한다.)] V-점프 2001년 1월호에 부속으로 등장한 상급 효과 몬스터. 일반 소환 / 반전 소환에 성공했을 때 수비 표시가 되는 [[유발효과]], 수비 표시 상태에서 공격할 수 있는 [[지속효과]]를 가졌다. 소환 시 자동으로 수비 표시가 되는 효과와 수비 표시 상태에서도 공격할 수 있다는 독특한 개념을 최초로 정립한 몬스터로, 나중에 등장하는 [[엘리멘틀 히어로 램파트 건맨]]과 비교해도 공격 조건이 까다롭지는 않은 편이다. 하지만 상급 몬스터임에도 불구하고 공격력이 낮으며, 파격적으로 낮은 것도 아니라 아슬아슬하게 리크루트는 리크루트대로 안 되고, 제거 카드도 넘쳐나는 현 환경에선 써먹을 구석이 없어서 버려지는 카드다. 결국 비기너즈 에디션에선 슈퍼 레어(2004)→레어(2011)로 복각되었다. 정 이 카드를 써먹고 싶다면 [[단결의 힘]]이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성스러운 방어막 거울의 힘]]을 엿먹일 수는 있지만 효율은 글쎄... 하지만 이후 [[초중무사 빅벤-K]]에게 이 효과가 내장되면서 이런 류의 카드의 시초가 되었다. 다만 저 쪽은 공격 시 수비력을 공격력으로 치기 때문에 이 카드는 여전히 외면받고 있다. 즉 [[토이 매지션]]과 [[아티팩트(유희왕)|아티팩트]]와의 관계와 비슷하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노아 편|노아 편]]에서는 [[빅5(유희왕)|빅5]]가 버추얼 월드를 표류하게 된 [[무토우 유우기]] 일행에게 [[덱 마스터]] 시스템의 시범을 보여주기 위해 등장. [[덱 마스터]] 능력은 '철통 방어 배리어(絶対防御バリア)'로, 라이프 1000을 지불해서 [[작렬 장갑]]의 능력을 발동하는 능력이었다. [[유희왕 캡슐몬스터즈]]에서는 최종 보스인 알렉산더의 부하가 사용하는 것으로 등장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이차원세계 편|이차원세계 편]]에서는 패왕의 군세를 피해 숨어살고 있던 마을의 우두머리로 등장. '버건디'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며, '클라렛'이라는 이름을 가진 [[정령(유희왕)|하프의 정령]]과 함께 마을을 지키고 있었다. 우르르 몰려온 패왕의 군세에 중과부적으로 당해 마을 사람들은 모조리 몰살당하고, 본인만 간신히 살아남아 [[오스틴 오브라이언]]과 [[짐 크로커다일 쿡]]에게 "패왕에게는 이길 수 없어...도망쳐..."라는 말을 남긴후에 소멸한다. 그리고 열받은 짐은 패왕에게 듀얼을 신청하는데... 이후는 항목들을 참조. 성우는 [[토치카 코이치]] / [[권영호(성우)|권영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