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청계산입구역'''}}} || ||<-3> [[신분당선|[[파일:SinbundangLine_icon.svg|width=30]]]] || || [[신사역|{{{-1 {{{#585858,#a7a7a7 신사 방면}}}}}}]][br][[양재시민의숲역|양재시민의숲]][br]← 2.9 ㎞ || [[신분당선|{{{#ffffff {{{-1 신분당선[br](D10)}}}}}}]] || [[광교역|{{{-1 {{{#585858,#a7a7a7 광교 방면}}}}}}]][br][[판교역(성남)|판 교]][br]8.2 ㎞ →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청계산입구,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Cheonggyesan || || [[한자]] ||<-2> 淸溪山入口 || || [[간체자]] ||<-2> 清溪山 || || [[가나(문자)|가나]] ||<-2> [ruby(清渓山入口, ruby=チョンゲサンイック)] || ||<-3> '''주소''' || ||<-3> [[서울특별시]] [[서초구]] 청계산로 지하179 ([[내곡동(서울)#s-2.2|신원동]] 270-25) || ||<-3> '''운영 기관''' || || [[신분당선|{{{#ffffff 신분당선}}}]] ||<-2> [[네오트랜스|네오트랜스(주)]] || ||<-3> '''개업일''' || || [[신분당선|{{{#ffffff 신분당선}}}]] ||<-2> 2011년 10월 28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3층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3> '''철도거리표''' || || [[신사역|{{{-1 {{{#585858,#a7a7a7 신사 방면}}}}}}]][br][[양재시민의숲역|양재시민의숲]][br]← 2.9 ㎞ || '''[[신분당선]]'''[br]청계산입구 || [[광교역|{{{-1 {{{#585858,#a7a7a7 광교 방면}}}}}}]][br][[판교역(성남)|판 교]][br]8.2 ㎞ → || ## 상단 역명란은 정보만을 전달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절대 개드립을 적지 마세요. (https://namu.wiki/thread/ThePlacidAndSincereDirection) [목차] [clearfix] == 개요 == >'''자연 속 상쾌한 휴식을 주는 역사로 디자인''' >청계산입구역은 2011년 10월 28일 신분당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개시하였다. 지하 3층 규모의 지하역사로 청계산의 맑은 공기와 자연속의 역사, 신체의 건강과 정신적인 사색으로 마음까지 상쾌한 휴식을 주는 역사로 디자인되었다. 처음 계획 당시 청계역으로 불리었으나, 2008년 서울시 지명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청계산입구역으로 변경, 오늘에 이르렀다. 역명처럼 청계산입구역 2번 출구 인근에서 청계산 등산코스 입구, 윈터골을 찾아갈 수 있다. >---- >[[국가철도공단]] '철도역 이야기'에서 발췌. * [[신분당선]] D10번. [[서울특별시]] [[서초구]] 청계산로 지하179 (신원동) 소재. 역명판은 [[갈록색]]이다. 거리비례 9단계 정기권부터 신분당선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역은 [[양재시민의숲역]]과 같이 서울소재 역이지만 서울전용 정기권을 사용할 수 없다. == 역 정보 == ||[[파일:attachment/cjdrPtksdlqrndur.png|width=500]]|| || {{{#fff 청계산입구역 대합실}}} || 도저히 수요가 나올 것 같지 않은 위치에 역이 세워진 이유는 이 역이 [[3기 지하철 계획]]의 [[서울 지하철 11호선|11호선]] 종점역으로 계획되었기 때문이다. 원래 11호선은 이 역 자리에 [[개화역]]처럼 [[차량사업소]]를 지으면서 역을 중간에 끼워넣어 [[님비]]를 해결하려 했었다. 그런데 11호선 계획이 나가리되고 그것이 [[신분당선]]으로 사실상 대체되면서 역은 생겼지만 인근에 [[차량기지]]를 만드는 계획은 없어졌다. 또한 원래 당초 계획에는 초기에는 신분당선도 차량기지가 청계산입구역 주변에 지어지고 청계산입구역을 지상역사로 계획하는 방안을 검토했지만 주변에 판교신도시가 있고 반발이 심했기에 차량기지를 광교신도시 내부로 하는 걸로 결정나면서 지하로 최종 변경되었다. 청계산 등산로 입구가 근처라 등산객들이 많은데, 등산하고 나서 가져온 쓰레기를 하도 역에 버리는지 역사 안에 경고문이 붙어있을 정도. 제3차 보금자리주택지구로 지정된 내곡지구가 이 역에 바로 인접하여 조성될 계획에 있으므로 입주가 완료된다면 어느 정도 통근, 통학 수요를 뽑아내 주리라 예상된다. 의외로 좀 많이 떨어진 [[고등지구]]에서 많이 이용하는 역이다. 이 역까지 운행하는 [[성남 버스 341|341번 버스]]가 고등지구를 지나오는데, 고등지구 주변에서 서울 강남권으로 나가는 가장 빠른 방법이 이 역을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화장실이 굉장히 숲속처럼 꾸며져 있는데, 처음 들어가면 미로처럼 헷갈릴 수도 있다. 서울에 있는 최남단 역이다.[* 신안산선이 개통되면 [[석수역]]에게 자리를 넘겨주게 된다.] 최서단은 [[개화역]], 최북단은 [[도봉산역]], 최동단은 [[강일역]]이다. == 역 주변 정보 == 역 앞에 내곡지구가 개발되었고, 인근에 [[청계산]]이 있어서 주말이면 등산객들로 북적북적하다고 한다.[* [[http://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N1001032642|「[수도권] 신분당선 한 달, 등산객에 인기몰이」, 2011-11-25, SBS]]] 서울 시내이지만 최남단에 위치해 상대적으로 저개발 지역이라 아직은 시골 느낌이 난다. 2017년 3월 5단지, 6단지로 들어가는 어귀에 편의점이 들어섰다.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신분당선|[[파일:SinbundangLine_icon.svg|width=25]]]] || {{{#ffffff '''비고'''}}} || || 2011년 || 4,098명 || [*A 해당 연도의 자료는 [[https://www.ktdb.go.kr/www/index.do|KTDB]]의 자료를 인용하였다.] || || 2012년 || 4,261명 || [*A] || || 2013년 ||<|3> 자료없음 || || || 2014년 || || || 2015년 || || || 2016년 || 7,073명 || [*B 해당 연도의 자료는 [[http://info.korail.com/mbs/www/jsp/board/list.jsp?boardId=9863289&id=www_060700000000|철도통계연보 교통카드 데이터]]의 자료를 인용하였다.] || || 2017년 || 7,286명 || [*B] || || 2018년 || 7,821명 || || || 2019년 || 8,503명 || || || 2020년 || 7,175명 || || || 2021년 || 7,540명 || || || 2022년 || {{{#d4003b 9,011명}}} || || ||<-3> {{{#ffffff '''출처'''}}} || ||<-3> [[https://www.stcis.go.kr/pivotIndi/wpsPivotIndicator.do?siteGb=P&indiClss=IC03&indiSel=IC0304|교통카드 빅데이터[br]통합정보시스템]] || }}} * 내곡동 보금자리를 역세권으로 삼으며, 역 이름대로 청계산 등산객이 많이 찾는다. 다만 주변 택지지구 규모가 큰 편이 아니라 이용객이 많지는 않은 편이다. * 이 역 앞으로 다니는 [[서울 버스 4432|4432번]]의 수요를 어느정도 분산시키지만 한계가 있다. 역이 청계산입구와는 약 500m 정도 거리가 있으며 청계산 등산로가 한둘이 아니므로 [[서울 버스 4432|4432번]]도 멀쩡히 운행중이다. 거기다 신분당선은 별도운임이 추가로 붙어 비싸고, 버스보다는 좀 더 간선 역할이라 역간 거리가 길기 때문에 4432번처럼 각 처의 수요를 완전히 대체하지도 못하는 면도 있다. == 승강장 == || [[파일:attachment/Cheonggyesan.jpg|width=500]] || ||<-2> {{{#fff 신분당선 승강장}}} || || [[파일:attachment/Cheonggyesani.jpg|width=500]] || ||<-2> {{{#fff 역 안내도}}} || ||<-4> ↑ [[양재시민의숲역|양재시민의숲]] || || {{{#ffffff 상}}} || ㅣ || ㅣ || {{{#ffffff 하}}} || ||<-4> [[판교역(성남)|판교]] ↓ || || {{{#ffffff 상}}} ||<|2>[[파일:SinbundangLine_icon.svg|width=17]] [[신분당선]] ||[[양재역|양재]]·[[강남역|강남]]·[[논현역|논현]]·[[신사역|신사]] 방면|| || {{{#ffffff 하}}} ||[[판교역(성남)|판교]]·[[정자역|정자]]·[[미금역|미금]]·[[광교역|광교]] 방면|| 청계산입구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갖추고 있으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포함되었다. 이 역은 판교 방면으로 3퍼밀 상구배가 있으며, 이 역과 판교역 간의 거리는 8.2km로 신분당선에서 역 간 거리가 가장 긴 구간이며, 전국 도시철도 중 지상으로 나오지 않는 구간에서 최장 역간 거리이다. [* 소요시간이 6분 정도 걸린다.] == 사건·사고 == * [[2018년]] [[11월 29일]] 오전 8시 3분경, 청계산입구역에서 강남행 열차의 출입문과 [[스크린도어]]가 고장나서 운행이 지연되었다. [[신분당선]] 운영사인 [[신분당선주식회사]]와 [[네오트랜스주식회사]] 측은 출입문 장애가 7분에서 10분 만에 복구되었다고 설명했지만, 역사 곳곳에서 20여분 만에 운행이 재개되었고, 10분 넘게 열차에 갇혀 있었다는 승객들의 제보가 이어졌다. 또한 후속 열차들도 잇달아 운행이 중단되었다. 이 사고로 인해 출근길 시민들이 불편을 겪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437&aid=0000197280|해당 기사1]],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422&aid=0000349661|해당 기사2]]) == 연계 교통 == || 위치 || 정류장 || || 다음정류장 ||운행노선|| || 2번 출구에서 본 마을 방향으로 직진 90m || 청계산입구역[br](22-401) || → || 청계산, 원터골 ||[[서울 버스 4432|{{{#5bb025 '''4432'''}}}]], [[성남 버스 341|{{{#33cc99 '''341'''}}}]]|| || 1번 출구에서 본 마을 방향으로 직진 80m || 청계산입구역[br](22-402) || → || 본마을 ||[[서울 버스 4432|{{{#5bb025 '''4432'''}}}]]|| || 위치 || 정류장 || || 다음정류장 ||운행노선|| || 1번 출구에서 본마을 방향에서 우회전 80m || 청계산입구역[br](22-598) || → || 서초포레스타5단지 ||[[서울 버스 서초20|{{{#5bb025 '''서초20'''}}}]]|| || 1번 출구에서 본마을 방향에서 우회전 80m 건너편 || 청계산입구역[br](22-591) || → || 여의2교 ||[[서울 버스 서초20|{{{#5bb025 '''서초20'''}}}]], [[성남 버스 341|{{{#33cc99 '''341'''}}}]]|| [각주] == 둘러보기 == [include(틀:신분당선의 역 목록)] [[분류:2011년 개업한 철도역]][[분류:신분당선의 도시철도역]][[분류:서초구의 도시철도역]][[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