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청도군)] [include(틀:청도군의 읍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hengdo-map.png|width=600]] [목차] == 개요 == [[청도군]]은 크게 청도읍과 화양읍을 중심으로 산서(각남면, 각북면, 이서면, 풍각면)와 산동(금천면, 매전면, 운문면)으로 나뉜다. 군역이 동서로 긴데, 청도읍과 화양읍에서의 연결은 산서 쪽이 좀 더 잘 돼있는 편. 그 이유는 풍각-각남, 이서-화양-청도읍이 하나의 분지를 이루고 있고, 산동과는 가운데 산(곰티재)으로 막혀있기 때문. 다른 행정구역을 거치지 않고 군내에서 산서-읍내-산동을 잇는 도로가 사실상 [[청려로]] 하나뿐이다. 그마저도 청도읍-산동은 가로막힌 산 때문에 돌아서 갔으나 다행히 2013년 청도읍-매전면 간 곰티재터널이 준공되었다. 도합 '''2읍 7면'''. 청도군의 면적이 워낙 좁고 긴 형태를 띠는지라 청도군의 모든 읍/면들이 타 시/군들과 맞닿아 있는 것이 특징이다.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에 접하여, 2개의 [[광역시]]와 접하는 유일한 군 지역이다. == 읍 지역 == 군의 중심지가 두 개의 읍으로 나뉘어 있는 특이한 형태를 띄고 있다. === [[청도읍]] === 읍소재지는 고수리, 관할 법정리는 21개이다.[* 거연리·고수리·구미리·내리·내호리·덕암리·무등리·부야리·사천리·상리·송읍리·신도리·안인리·운산리·원리·원정리·월곡리·유호리·음지리·초현리·평양리] 1919년 대성면에서 청도면으로 개칭되었으며 1949년 청도읍으로 승격되었다. 인구는 '''11,514명(中 유호출장소 1,545명)'''.[*A 2023년 6월 주민등록인구통계] [[청도군]]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곳이자 상업ㆍ교통의 중심지. 정기시장이 이 곳에서 열리며 각종 편의시설도 이곳에 몰려 있다. 관공서는 [[청도경찰서]], [[청도소방서]]가 있지마 정작 군청은 옆 동네인 화양읍에 있다. [[청도역]]과 [[청도공용버스터미널]]이 있어서 사실상 청도의 관문. 그런데 이 모든 것이 읍내인 고수리에만 해당되는 얘기로, 다른 동네는 그야말로 시골이다. 한재 미나리 생산지역도 행정구역상으로 청도읍의 외곽에 속한다. [[대구부산고속도로]] [[청도IC]]가 위치한다. [[신거역]] 자리에는 새마을운동발상지 기념관이 있다. 학교는 유천초, 중앙초, 청도중, [[청도고등학교|청도고]]가 있다. 읍의 남쪽 [[경상남도]] [[밀양시]]와 접경에 있는 유호리에 청도읍 유호출장소가 소재해 있다. 출장소가 있는 유호리는 마을 규모가 제법 크지만 밀양과 맞닿아 있는 시/도 경계지점에 있는 마을이다보니 생활권은 청도읍보다 오히려 밀양시(상동면)와 더 가까운 곳이다. 애초에 청도천과 동창천이 합류하는 밀양강 일대 청도 유호리와 밀양 상동면은 "유천"이라는 지명으로 하나로 묶여져 있었던 곳이었다.[* 대표적인 게 바로 [[상동역(경부선)|상동역]]의 옛 이름이 "'''유천역'''"이었다.] 이 출장소 산하에 있는 평양리는 한재미나리의 산지로 유명하다. [[경산버스]]가 운행하는 [[시외버스]] 경유지도 유호리나 [[상동역(경부선)|상동역]]이 아닌 "유천"으로 나온다. === [[화양읍]] === 읍소재지는 동상리, 군청은 범곡리에 있다. 관할 법정리는 16개이다.[* 고평리·교촌리·눌미리·다로리·동상리·동천리·범곡리·삼신리·서상리·소라리·송금리·신봉리·유등리·진라리·토평리·합천리] 인구는 '''8,295명(中 남성현출장소 1,112명).'''[*A] [[조선시대]] 이전부터 사실 청도군의 중심지는 화양읍 서상리 부근이었다.[* 이 곳에 남아있는 청도읍성 유적 안에 청도향교와 청도군의 동헌(군청)이 있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다.] 하지만 [[경부선]] [[청도역]]이 청도읍(당시 대성면)에 지어지면서 쇠퇴하게 되었다. 결국 화양읍은 대성면에게 주도권을 잃어간 반면 대성면은 청도면으로 개칭되고 청도읍으로 승격된다. 화양읍은 청도읍 고수리에 있던 청도군청이 화양읍 범곡리로 이전해 간 1979년에 와서야 면에서 읍으로 승격되었다. 이마저도 군청 소재지는 읍으로 승격할 수 있다는 법령 때문에 읍 승격이 가능했던 것이다. 동천리에 공설운동장과 군민체육센터 그리고 '''범곡리'''에 '''청도군청, 군민회관, [[대구지방법원]] 청도군법원, 청도대남병원, 초/중/고등학교'''가 있는 청도군의 행정ㆍ교육의 중심지...라고는 하지만, 범곡리라는 동네 자체가 '''청도읍 고수리의 사실상 멀티'''(…)[* 청도읍 고수리의 시가지에 쭉 이어져 범곡리의 중심가가 존재한다. 즉, 화양읍 범곡리는 화양읍의 중심지가 아니라, 청도읍 고수리와 연담되어 있는 고수리 시가지의 ‘일부’라고 보는 편이 훨씬 정확하다. --청도읍 범곡리?--] 학교는 남성현초, 청도초, 화양초, 모계중, [[모계고등학교|모계고]]가 있다. [[파일:attachment/청도읍_범곡리.png|width=900]] 위의 캡쳐 이미지에서, 붉은 부분이 화양읍 범곡리의 행정구역, 그리고 나머지 시가지 부분이 청도읍 고수리 지역이다. 보면 알 수 있듯, 청도읍 고수리와 화양읍 범곡리가 사실상 '''같은 생활권'''이며, 고수리에 이어져 범곡리에 주요 행정 기관들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화양읍사무소를 비롯한 화양읍 자체의 행정 기관은 위의 이미지에서 나오는 지역과 꽤 떨어져있는 동상리에 있다. 화양읍 서쪽의 동상리 역시 소중심지 역할을 하는 곳이다. 화양읍의 관광지로는 [[청도 소싸움 경기장]](경부선 철도를 타고 가다 보면 보이는), 용암온천(이상 삼신리), 와인터널(송금리)가 있으며, 다로리에 [[남성현역]]이 있으나 여객취급은 사실상 손 놓고 있는 상태라 신축한 역사가 아깝기만 하다(…). 참고로 와인터널의 정체는 구한말 일제에 의해 건축된 경부선 철도의 터널이다. 좀 뜬금없지만, [[서울특별시청]]에서 관리하는 [[http://www.yeongnam.com/mnews/newsview.do?mode=newsView&newskey=20150122.010020725470001|서울특별시 문서보존소]]가 범곡리 청도군청 북쪽에 있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9&aid=0002208464|관련 기사]] ) [[1.21 사태|김신조 사건]]의 여파로 1971년에 오픈한 문서고였으며, 2019년 5월 15일 [[은평구]] [[녹번동]] 서울혁신파크에 서울기록원이 개관하면서 청도문서고의 문서들을 모두 [[녹번동]]으로 이전한 후 2019년 11월에 문을 닫았다. 문서고 건물 자체는 아직 서울특별시청 소유의 재산으로 남아 있다. == 산서 지방 == 각북면, 각남면, 풍각면은 1906년까지는 대구부 소속이었다. === [[각남면]] === 면소재지는 예리리, 관할 법정리는 9개이다.[* 구곡리·녹명리·사리·신당리·예리리·옥산리·칠성리·함박리·화리] 인구는 '''2,148명.'''[*A] [[20번 국도]]를 통해 서쪽으로 풍각면, 동쪽으로 화양읍과 연결된다. 학교는 각남초가 있다. === [[각북면]] === 면소재지는 남산리, 관할 법정리는 8개이다.[* 금천리·남산리·덕촌리·명대리·삼평리·오산리·우산리·지슬리] 인구는 '''2,291명'''.[*A] 헐티재를 통하여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과 연결된다. 다만 헐티재 구간은 겨울철만 되면 수시로 얼어버리니 주의해야 한다. 학교는 덕산초가 있다. === [[이서면(청도)|이서면]] === 면소재지는 학산리, 관할 법정리는 17개이다.[* 가금리·각계리·고철리·구라리·금촌리·대곡리·대전리·문수리·서원리·수야리·신촌리·양월리·칠곡리·칠엽리·팔조리·학산리·흥선리] 인구는 '''4,507명'''.[*A] 서원리에 소싸움축제를 열었으나 지금은 침체된 곳. 지역민들에게는 [[이서고등학교]]가 잘 알려진 편. 자계서원, 금호서원이 있다. 또한 [[전유성]]이 운영했던 카페 '''니가쏘다쩨'''가 있다. 학교는 이서초, 이서중, [[이서고]]가 있다. [[30번 지방도]]의 팔조령터널을 통해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으로 간다. === [[풍각면]] === 면소재지는 송서리, 관할 법정리는 11개이다.[* 금곡리·덕양리·봉기리·성곡리·수월리·안산리·월봉리·차산리·현리리·화산리·흑석리] 인구는 '''3,790명'''.[*A] [[청도군]] 서부의 중심지로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터미널]]로 가는 [[청도 버스 0|버스]]가 있다. ~~[[오빠는 풍각쟁이|풍각쟁이들이 사는 동네는 아니다(...)]]~~ 이곳 출신인물 중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의 총회장 [[이만희(종교인)|이만희]]도 있으며, 현리리가 이만희의 출생지다. 학교는 풍각초, 풍각중, 경북드론고가 있다. 참고로 현리리에 만남의 쉼터라는 곳이 있는데, 이곳이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의 신도들이 성지처럼 여긴다고 한다.[* 주소는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야리고갯길 35-22. 이만희 총회장의 형 묘소도 이곳에 있다.] === [[금천면(청도군)|금천면]] === 면소재지는 동곡리, 관할 법정리는 10개이다.[* 갈지리·김전리·동곡리·박곡리·방지리·사전리·소천리·신지리·오봉리·임당리] 인구는 '''3,253명'''.[*A] 산동지방의 중심지이다. 동곡리에 공용버스터미널이 있으며, 이 곳에서 [[밀양시]]로 가는 시외버스가 있었으나 폐지되었고, 대신 [[청도 버스 5|5번]]이 밀양시 상동면 [[상동역(경부선)|상동역]]으로 가긴 한다. 학교는 금천초, 금천중, [[금천고등학교(경북)|금천고]]가 있다. 박곡리에 대비사가 있다. 1934년 폐지된 종도면의 갈지리, 김전리, 사전리, 소천리가 편입됐다. [[69번 지방도]]를 통해 [[경산시]] 남산면, [[대구광역시]]로 연결되며, 919번 지방도를 통해 [[경산시]] 용성면과 맞닿아 있다. [[경산버스]]의 시내버스 노선 중 [[경산 버스 용성1|용성1번]] 곡란리행의 일부는 용성면 곡란리와 금천면 소천리의 시경계 입간판까지 운행하며, [[경산 버스 399|399번]] 혹은 [[경산 버스 남산2|남산2번]] 갈고개행은 아예 [[청도군]] 경계판을 넘어서 갈지리의 갈고개휴게소까지 운행한다. 2016년에는 [[경산 버스 남산2|남산2번]] 동곡리행이 신설되어 1일 5회 갈고개에서 연장 운행하며, [[시계외요금]] 없이 [[경산시]] 자인면까지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가끔 남산면이나 용성면을 거쳐서 [[운문사]] 쪽으로 가다 보면 [[경산버스]]의 시내버스 차량이 [[청도군]]을 넘어가서 회차지에 주차해 놓은 모습을 볼 수 있다. === [[매전면]] === 면소재지는 동산리, 관할 법정리는 20개이다.[* 관하리·구촌리·금곡리·금천리·남양리·내리·당호리·덕산리·동산리·두곡리·북지리·상평리·송원리·예전리·온막리·용산리·장연리·지전리·하평리·호화리] 청도읍의 동쪽에 있으며 인구는 '''3,745명'''.[*A] [[20번 국도]] 곰티재터널이 있다. 이 덕분에 산동과 청도읍의 접근성이 개선되었다. 장연리에 장연사지 삼층석탑이 있다. 학교는 동산초, 매전중이 있다. 1934년 폐지된 종도면의 금천리, 두곡리, 관하리, 상평리, 덕산리, 하평리가 편입됐다. === [[운문면]] === 면소재지는 대천리, 관할 법정리는 12개이다.[* 공암리·대천리·마일리·방음리·방지리·봉하리·서지리·순지리·신원리·오진리·정상리·지촌리] 인구는 '''1,995명'''.[*A] [[대구광역시]] [[동구(대구)|동구]]와 [[수성구]]의 상수원이기도 한 [[운문댐]]이 대천리에 있으며,[* [[운문댐]] 건설로 운문면 평지 대부분은 수몰되었다. 예를 들어 현재 [[경산시]] 백천동에 있는 문명중학교, [[문명고등학교]]([[경산버스]]가 재단을 운영 중이다)도 원래 대천리에 있다가 이 지역이 운문댐 건설로 수몰 지역으로 지정되자, 보상금 7억 원을 받아 1993년에 교사를 이전한 것이다.] [[비구니]] 수행도량으로 알려진 [[운문사]]가 신원리에 있다. [[69번 지방도]]를 통해 운문령을 건너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으로 간다. 그리고 [[921번 지방도]]를 통해 영천시 북안면으로 갈 수 있으며, [[20번 국도]]를 통해 경주시 산내면으로 갈 수 있다. 하지만 [[921번 지방도]], [[20번 국도]]는 길이 좋지 못하다. [[가지산]][[도립공원]], 삼계리계곡도 이 곳에 있다. [[분류:청도군]][[분류:청도군의 행정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