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청상아리}}}(청상어)[br]Mako shark}}}'''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https://i.namu.wiki/i/OqxGDnVypJBn9t1riH3QzT6J20eZeKLVp19DAqdRFPadPuQFdtpE7v8m0RPxk35OeSUwju-vX-YdeW_O3nLrT0oYgNkaP5XC2edmYgEI0-B6ug3EpsQyTWoDG6HL6T5m-tU48EGfZtJToLUHRZB0Wg.webp|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Isurus'' '''[br]Rafinesque, 1810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연골어강(Chondrichthyes)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아강'''}}}]] ||판새아강(Elasmobranchii)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악상어목(Lamniformes)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악상어과(Lamnid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청상아리속(''Isurus'') || ||<-2>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2> '''청상아리'''(''I. oxyrinchus'') '''단순청상아리'''(''I. paucus'') || [목차] [clearfix] == 개요 == [[https://i.namu.wiki/i/5YQQ7IjAVYIX52emEQv0rqMcVmT8dpfpxyCE5siLcJQ_XxTTAp-xcqcOksde9-gd2VL5X24USBn52s4luH8V1XftdtXTGMtI4GqGjlOovD28eILQs4cb-u8YnlKECg4BuU1O8b2A5vvWiJgRnnvP8A.webp]] 연골어강 악상어목 악상어과에 속하는 [[상어]]의 한 종류로 영어로는 '''Mako shark'''다. 절대 '''Blue shark'''[* Blue Shark는 [[청새리상어]]다. 그런데 우리 해군의 청상어 어뢰를 해군과 국방과학연구소에서 Blue Shark로 소개했다.]가 아니다. 분포지가 매우 넓어 전 세계의 모든 열대와 온대의 바다에서 발견된다. 멸종된 근연종으로는 [[넓은이빨청상아리]]가 있는데, 해당 종은 특이하게도 [[백상아리]]의 조상격으로 분류된다. == 특징 == 길이는 2.4m ~ 4.5m, 체중은 607kg까지 나간다. 가끔 5m에 근접하게도 자란다. 지역별로 [[귀상어]] 못지 않게 차이가 비교적 심하다. 보통 2.8m ~ 4m 개체가 가장 많다. 6m까지도 자란 기록이 있으며 1881년 [[이탈리아]]에서는 1t짜리 개체도 잡혔다. 즉, 육식상어 중에서는 꽤 큰 대형종이라고 볼 수 있다. 살이 쏙 빠진 [[백상아리]]처럼 생겼는데 둘 다 [[악상어]]과라는 공통점이 있다. 외형적인 차이점으로는 주둥이 끝이 뾰족하다는 것과 이빨이 좁고 가늘며 톱니가 없다는 것 등이 있다. 덩치도 덩치지만 청상아리의 가장 큰 특징은 [[악상어]]과의 특징인 몇 안되는 [[온혈동물|온혈어류]]라는 점. 덕분에 신체활동이 원활해서 유영 속도가 매우 빠르기로 유명하다. 사실 운동신경을 보면 백상아리나 [[장완흉상어]]보다 청상아리가 더 뛰어나다고 봐도 된다. 가장 빠른 개체는 단거리에서 약 96km/h(약 60mph)의 속도로 헤엄칠 수 있다.[* 백상아리의 순항속도는 40km/h, 최대 순간 속도는 약 60km/h으로 청상아리의 최대 속도의 2/3에 못 미친다.] 속도가 빠른 만큼 주 먹이도 [[청새치]]나 [[참다랑어]] 같은 빠른 어종이다. [youtube(f4LteIKjSn0)] BBC에서 촬영한 80km/h로 미끼를 추적하는 청상아리의 영상이다. 글로벌 다큐멘터리 - 샤크에서는 청상아리의 속력을 측정하기 위해 모터보트에다가 미끼를 달고 운전하는 실험을 한 사례가 있었는데,[* 처음에는 [[물개]]와 [[돌고래]] 무리가 모터보트를 따라왔지만 모터보트의 속력을 더 올리자 이내 흥미를 잃고 어디론가 사라졌다.] 청상아리가 미끼를 향해 빠른 속도로 헤엄치자 모터보트의 속력을 한계치로 올렸음에도 불구하고 청상아리는 지치는 기색도 없이 미끼를 쫓았고 결국 모터보트의 모터가 과부하로 인해 고장나 버렸다. 그 외 속도 말고도 점프력도 매우 뛰어나다. 물 밖으로 튀어오르는 능력이 탁월한데, 6m 이상 높이 튀어오르는 경우가 많으며, 최대 9m에 달한다. 해외에서는 낚시로도 매우 인기가 있는데, 성질이 매우 난폭하므로 가급적 청상아리를 목표로 하는 낚시는 자제하는 게 좋다. 다른 상어들의 경우 배 위에 있으면 높이 튀어오르지 못해 별다른 위협이 되지 못하지만 청상아리는 스스로 물 밖으로 뛸 수도 있고, 뛰어오르는 방향을 조절하는 능력도 상당하기 때문에 굉장히 위협적이다. 낚싯바늘에 걸려 화가 난 청상아리가 튀어올라 부딪치기만 해도 상당한 충격량 때문에 즉사하거나, 물려서 끌려들어갈 경우 [[익사]]하거나 [[과다출혈]]로 사망할 수도 있다.[* [[환도상어]]도 6m 가까이 높게 튀어오를 수는 있지만, 환도상어는 청상아리와 달리 겁이 많아 인간을 무서워한다. 우연히 배 위에 떨어져서 살기 위해 발악하는 환도상어 꼬리에 맞아 부상을 입는 경우는 있으나, 청상아리와 다르게 인간을 죽이려고 튀어오르지는 않는다.] 간혹 우루루 몰려다니면서 물고기를 먹어치우면서 어업을 방해하는 경우도 많다. 사실, 이 어업 방해가 청상아리에 의해 발생하는 가장 큰 문젯거리이다. 원양에서 어획할 수 있는 많은 물고기들을 아주 좋아하고, 탐식성이 강하기 때문에 어망을 물어 끊어버리고 물고기들을 먹어치운 뒤 도망쳐버리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2000년대에는 백상아리와 더불어 한국 해안에서 목격빈도가 늘고 있다. 접촉 빈도가 비교적 낮기 때문인지 실제로 인명피해가 보고되는 경우는 [[황소상어]]나 [[뱀상어]] 등에 비해 적다. 국제 상어 공격 데이터베이스인 ISAF 통계에 따르면 1980년부터 2010년까지 42건의 공격만이 기록되어 있으며 그나마도 치명상을 입은 것은 3건에 불과하다. 게다가 낚시에 걸렸을 때라든가 괜히 괴롭혀서 공격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모든 상어가 다 그렇듯이 일반적으로 사람을 먹잇감으로 생각한다거나 사람을 공격하는 종은 아니다. [[http://en.wikipedia.org/wiki/Shortfin_mako_shark#Attacks_on_humans|#]] 청상아리의 공격은 일반 청상아리(Shortfin mako shark) 종에 의한 것이고 단순청상아리(Longfin mako shark)의 공격은 기록된 바 없다. [youtube(YSFtIvPbt4U)] 2023년 9월 포항에서 3M급 청상아리가 잡혔다. 이 상어는 [[돔베기]]용으로 [[죽도시장]]에서 20만원에 거래되었다고 한다. 암수가 유별하게 생활하는 종이다. 일정한 지역 안에 수컷이 사는 지역과 암컷이 사는 지역이 나뉘어져 있다. 이유는 불명. 따라서 한 지역에서 청상아리의 남획이 이루어질 경우 번식에 있어 큰 타격을 입을 위험이 있다. || [[파일:청상아리3.jpg|width=500]] || [[파일:청새리상어.jpg|width=400]] || || 청상아리 || [[청새리상어]] || [[청새리상어]]와 [[푸를 청|한국어 이름도 비슷하고]], 청새리상어의 영어 이름이 'blue shark'이기 때문에 혼동하기 쉽다.[* 청새리상어의 등과 몸 옆면이 푸른색을 띄기 때문에 'blue shark'라고 불린다.] 명칭과는 별개로 외형은 상당히 다른데, 청상아리는 [[악상어]]과([[백상아리]] 등) 특유의 큰 몸과 눈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거대하고 시커먼 수정체와 눈꺼풀이 없는 특징인 반면에 [[청새리상어]]는 흉상어과([[장완흉상어]] 등)라 눈이 더 크고 [[고양이눈]]과 같은 홍체로 세로눈([[세로동공]])이며 눈꺼풀(순막)이 있고, 몸매가 더 날렵하고 상대적으로 납작해서 육안으로 구분 하기는 쉽다. [[돔배기]]의 재료가 되는 상어 중 하나로, 노량진 수산시장에서도 자주 판매되기 때문에 청상아리 고기는 비교적 구하기 쉽다. 그러나 이번에 [[CITES]] 2급으로 올라가면서 돔배기를 보기 힘들어질 것이다. == 대중매체 == [[니모를 찾아서]]에 나오는 첨(Chum)이 청상아리이다. 채식주의자라고는 하지만 친구 생선의 뼈를 발라 주는 놀이를 했다면서 은근슬쩍 육식을 하는 속 시커먼 녀석. 실제로도 고기를 먹지 않는 게 힘들다고 채식에 적응하지 못해 푸념을 늘어놓았다. [[딥 블루 씨]]의 상어들이 바로 청상아리인데, 유전자 조작으로 13m 정도로 상당히 거대해진 크기의 청상아리다. 만화 [[원피스(만화)|원피스]]에 등장하는 머메이드 카페의 점장 통칭 [[마담 셜리]]가 바로 청상아리 인어다. 소설 [[노인과 바다]]에서 노인의 고기를 첫번째로 공격한, 덴투소란 이름으로 등장하는 상어가 이 청상아리이다. 작품에서 노인은 청상아리를 두고 비록 물리쳐야 할 상대이기는 하지만 아름답고 영리한 물고기라며 칭찬한다. 그 다음에 등장하는 갈라노([[장완흉상어]])를 탐욕스럽고 지저분한 물고기로 치부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헝그리 샤크 에볼루션]]에서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로 나오는데, 대접이 다소 박하다. 그러나 후속작인 [[헝그리 샤크 월드]]에서 제법 좋은 등급으로 나와 팔자를 고쳤다. 게다가 성능도 좋은 편. [[Depth]]에서 플레이 가능한 상어로 나온다. [[유튜버]] [[윽박]]이 청상아리 한 마리를 통째로 사가지고 [[https://www.youtube.com/watch?v=TosJd4lRtJE|먹방을 찍기도 하였다.]] [[시나리오 라이터]]인 [[지나가던개]]가 턱뼈를 뽑아 표본으로 만든 상어가 대부분 청상아리로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tempest_15&logNo=221332577425|표본 후 남은 고기를 조리하는 방법을 올리기도 했다.]] [[슈퍼비]]의 노래 [[냉탕에 상어]] 가사에선 [[백상아리]]와 함께 나온다. [[백수전대 가오레인저]]의 [[사메즈 카이|가오 블루]]&[[파워애니멀|가오 샤크]]의 모델이 청상아리다. 의외로 이명으로도 사용되는데 [[넥서스 4]]의 코드명이 청상아리이며, [[신의 탑]]의 등장인물 [[가람 자하드]]의 이명 또한 청상아리다. [[죠스 언리쉬드]]에도 무리지어 돌아다니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 마비노기의 청상아리 === [[카브 항구]]가 추가된 뒤 카브 항구 근처에서 잡히는 어종. 부두 앞에서 상어가 낚시로 툭툭 잡힌다는 게 약간 호러하다. 크기는 1x2로 그냥 물고기 크기다. 이 중에서 마놀린의 청상아리라는 뽑기 아이템이 있다. 아버지를 청상아리에게 잃고 청상아리를 잡아서 복수한다는 설정으로 현실 시간으로 하루에 한번 마놀린에게 미끼로 쓸 [[청새치]]를 갖다주면 보답으로 자신이 잡은 청상아리를 주며 배를 갈라보라고 한다. 아무거나 잘 먹는 상어의 습성을 충실히 반영하여 보상으로는 카브에서 잡히는 물고기들, 음식쓰레기, 나무판, 개조석, 상어 로브 등이 나온다. 상어로브는 수리가 불가능하지만 카브에서 낚시를 한다면 인벤토리에 쌓아둘 수 있을 만큼 자주 낚이는 편이다. 나무판은 평타는 쳤다고 보면 되고 가끔 붉개나 푸개를 주면 대박. 카브에서 잡을 수 있는 기타 잡어를 준다면 꽝이다. 청새치가 청새치를 주는 경우는 없지만 가끔 '''청상아리'''가 나온다. 낚시만 하면 되기에 부캐릭터를 켜둔다거나 초반에 돈이 없을 때 하기 좋다. [[분류:청상아리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