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靑]][[少]][[年]][[文]][[化]]- / Youth Center}}} [목차] == 개요 == 간단한 청소년수련활동을 실시할 수 있는 시설 및 설비를 갖춘 정보·문화·예술 중심의 수련시설(청소년활동 진흥법 제10조 제1항 다목). 한국법에서는, [[기초자치단체]]가 읍·면·동에 청소년문화의 집을 1개소 이상 설치·운영하도록 하고 있다(같은 법 제11조 제1항 제3호). 이에 따라, 기초단치단체마다 '○○시 청소년문화의 집 설치 및 운영 조례' 식의 조례를 제정하였다. == 이용 == 청소년은 물론 지역 주민들도 이용 가능하다. 즉 성인도 가능하다는 뜻이니 머쓱해하지 말고 맘 편히 이용하자. 친구들끼리, 혹은 가족 단위로 찾는 이용객들이 대부분이다. 대부분의 시설은 이용기록부(또는 방명록) 작성 후 무료로 이용가능하다. 지역에 따라 사전예약이 필요한 곳도 있다. 동아리활동, 문화활동 이외에도 청소년문화의집이 운영하는 동아리, 청소년문화의집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 등이 진행된다. 운영시간은 각 청소년문화의집마다 차이가 있을수 있으나 대부분 9시~20시까지 이용 가능하고 주말은 9시~18시까지 이용 가능하다. 모든 곳이 공통적으로 매주 월요일과 공휴일(임시공휴일을 포함)에는 휴관한다.[* 단 공휴일 중 [[일요일]]은 제외한다. 한마디로 일요일에도 정상 운영한다. 곳에 따라 격주로 운영하는 곳도 있다.] == 시설 == 각 청소년문화의 집마다 갖춰진 시설이 다르고 명칭도 다르긴 하지만 일반적으로 동아리활동을 위한 밴드연습실, 댄스연습실, 동아리방 등과 문화활동을 위한 북카페, 인터넷카페, 노래연습실 등을 갖추고 있다. 당구장이나 탁구장이 있는 곳도 있고, [[닌텐도]], [[플레이스테이션]], [[VR]], [[보드게임]] 등 오락을 즐길 수 있는 곳도 있다. == 현황 == 전체를 총괄하는 중앙재단 없이 각 시군구에서 독립적으로 운영하기 때문에 따로 정리되어 있지 않다. 지역별로 [[가나다순]]으로 정리하였다. === [[서울특별시]] === ==== 구립 ==== * 가재울청소년센터(서대문구립) * 갈현청소년센터(은평구립) * 강서청소년회관(강서구립) * 궁동청소년문화의집(구로구립) * 금천청소년문화의집(금천구립)[* 서울시립 금천청소년센터와는 다른 별개의 시설이다. 금천청소년센터는 금동초등학교 인근에 있고, 금천청소년문화의집은 박미삼거리에 있다. 다른 청소년문화의집과는 달리 상가 건물에 입주하여 있다는 것이 특색이다.] * 대방청소년문화의집(동작구립)[* 특이하게도 [[벙커]] 안에 조성되어 있다.] * 도화청소년문화의집(마포구립) * 둔촌청소년문화의집(강동구립) * 마포청소년문화의집(마포구립)[* 서울시립 마포청소년센터와는 다른 별개의 시설이다. 마포청소년센터는 [[마포구청]] 인근에 있고, 마포청소년문화의집은 [[상암고등학교]] 인근에 있다.] * 도봉동청소년문화의집(도봉구립) * 독산청소년문화의집(금천구립) * 동작청소년문화의집(동작구립) * 망원청소년문화센터(마포구립) * 사당청소년문화의집(동작구립) * 상계청소년문화의집(노원구립) * 성동청소년문화의집(성동구립)[* 서울시립 성동청소년센터와는 다른 별개의 시설이다. 성동청소년센터는 [[왕십리역]] 인근에 있고, 성동청소년문화의집은 [[금호역(서울)|금호역]] 인근에 있다.] * 성북청소년문화의집(성북구립)[* 서울시립 성북청소년센터와는 다른 별개의 시설이다. 성북청소년센터는 [[장위동]] [[남대문중학교]] 인근에 있고, 성북청소년문화의집은 [[북한산보국문역]] 인근에 있다.] * 쌍문동청소년문화의집(도봉구립) * 신월청소년문화센터(양천구립) * 영등포청소년문화의집(영등포구립) * 용산청소년문화의집(용산구립) * 은평구청소년문화의집 신나는애프터센터(은평구립) * 잠실청소년센터(송파구립) * 창동청소년문화의집(도봉구립)[* 서울시립 창동청소년센터와는 다른 별개의 시설이다. 창동청소년센터는 [[자운고등학교]] 인근에 있고, 창동청소년문화의집은 초안산에 인접해 있다.] * 천왕동청소년문화의집(구로구립) * 천호청소년문화의집(강동구립) * 홍은청소년문화의집(서대문구립) === [[부산광역시]] === * 부산북구청소년문화의집 * 부산중구청소년문화의집 * 부산진구청소년문화의집 * 사하구청소년문화의집 * 서구청소년문화의집 === [[인천광역시]] === *연희청소년문화의집 *검단청소년문화의집 *가좌청소년문화의집 *남동청소년문화의집 *강화군청소년문화의집 *연수청소년문화의집 *백령청소년문화의집 === [[대전광역시]] === * 갈마청소년문화의집 * 대흥청소년문화의집 * 도솔청소년문화의집 * 도안청소년문화의집 * 도화청소년문화의집 * 법동청소년문화의집 * 장대청소년문화의집 * 탄방청소년문화의집 * 구즉청소년문화의집 === [[대구광역시]] === * 대구광역시청소년문화의집 * 대구광역시청소년문화의집 꼼지락발전소 * 중구청소년문화의집 * 수성구청소년문화의집 * 북구청소년문화의집 별하누리 * 동구청소년문화의집 아름드리 * 동구청소년문화의집 * 달성군청소년문화의집 * 달서구청소년문화의집 === [[광주광역시]] === * 광주광역시 화정청소년문화의집 * 광주광역시 원당산청소년문화의집 * 광주광역시 각화청소년문화의집 * 광주광역시 용봉청소년문화의집 * 광주광역시 봉선청소년문화의집 * 광주광역시 일곡청소년문화의집 * 서구 청소년문화의집 시소센터 * 광산구 월곡청소년문화의집 야호센터 * 빛고을청소년문화의집 * 광천청소년문화의집 * 청소년삶디자인센터 === [[울산광역시]] === * 공업탑청소년문화의집 * 문수청소년센터 * 남목청소년문화의집 * 동구청소년문화의집 * 성남동청소년문화의집 * 중구청소년문화의집 * 북구청소년문화의집 === [[경기도]] === * 고양시성사청소년문화의집 * 고양시탄현청소년문화의집 * 고양시송포청소년문화의집 * 가평구청소년문화의집 * 고리울청소년문화의집 * [[과천청소년문화의집]] * 광정동청소년문화의집 * 교하청소년문화의집 * 금촌청소년문화의집 * 꿈빛나래청소년문화의집 * 당동청소년문화의집 * 덕풍청소년문화의집 * 문산청소년문화의집 * 부발청소년문화의집 * 석수청소년문화의집 * 성남청소년문화의집 * 송내동청소년문화의집 * 시흥시꾸미청소년문화의집 * 안산청소년문화의집 * 안양만안청소년문화의집 * 양주청소년문화의집 * 양지동청소년문화의집 * 양촌청소년문화의집 * 양평동부청소년문화의집 * 양평서부청소년문화의집 * 사우청소년문화의집 * 오산남부청소년문화의집 * 오산중앙청소년문화의집 * 운정청소년문화의집 * 은행동청소년문화의집 * 새말청소년문화의집 * 일동청소년문화의집 * 창전청소년문화의집 * 청미청소년문화의집 * 통진청소년문화의집 * 평촌청소년문화의집 * 포천청소년문화의집 * 천천청소년문화의집 * 흥선청소년문화의집 * 호계청소년문화의집 * 유림청소년문화의집 * 수지청소년문화의집 * 신갈청소년문화의집 * 과천청소년문화의집 === [[강원도]] === * 원덕청소년문화의집 * 원주청소년문화의집 * 중앙청소년문화의집 * 춘천시청소년문화의집 * 속초청소년문화의집 * 평창군청소년문화의집 * 진부청소년문화의집 === [[충청북도]] === * 금왕청소년문화의집 * 보은군청소년문화의집 * 음성청소년문화의집 * 제천청소년문화의집 * 장락청소년문화의집 * 영동군 황간청소년문화의집 * 옥천군 이원청소년문화의집 === [[충청남도]] === * 공주시청소년 꿈 창작소 * 공주시청소년문화센터 * 금산청소년미래센터 * 당진시청소년문화의 집 * 부여군청소년문화의 집 * 아산시청소년문화의 집 * 서천군청소년문화센터 * 성정청소년문화의 집 * 송악청소년문회의 집 * 예산군청소년미래센터 * 서산시청소년문화의 집 * 청양군청소년문화의 집 * 광천청소년문화의 집 * 합덕청소년문화 의집 === [[경상북도]] === * 구미시청소년문화의집 * 영주시청소년문화의집 * 영천시청소년문화의집 * 경주 안강청소년문화의집 * 안동청소년문화센터 * 문경청소년문화의집 * 김천시 청소년문화의집 * 경산시청소년문화의집 === [[경상남도]] === * [[거제시청소년문화의집]] * 김해청소년문화의집 * 영산청소년문화의집 * 의령청소년문화의집 * 봉림청소년문화의집 * 마산청소년문화의집 *사천청소년문화의집 *진해청소년수련관 *남지청소년문화의집 * 밀양시청소년문화의집 === [[전라북도]] === * 군산시청소년문화의집 * 덕진동청소년문화의집 * 전주청소년문화의집 * 효자청소년문화의집 * 익산시청소년문화의집 * 부안군청소년문화의집 === [[전라남도]] === * 구례군청소년문화의집 * 곡성군청소년문화의집 * 옥과청소년문화의집 * 광양시청소년문화의집 * 보성군청소년문화의집 * 순천시청소년문화의집 * 완주군청소년문화의집 * 장성군청소년문화의집 * 함평군청소년문화의집 * 완도군청소년문화의집 •하심청 청소년 문화의 집 === [[제주도]] === * 조천청소년문화의집 * 구좌청소년문화의집 * 노형청소년문화의집 * 도남청소년문화의집 * 도평청소년문화의집 * 삼도1동청소년문화의집 * 아라청소년문화의집 * 애월청소년문화의집 * 용담1동청소년문화의집 * 이도1동청소년문화의집 * 추자청소년문화의집 * 한림청소년문화의집 * 화북청소년문화의집 == [[봉사활동]] == 청소년시설이다보니 청소년을 위한 봉사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자원봉사단을 운영하는 곳도 있고, 자유공간 운영보조, 환경정비, 행사 보조 등으로 봉사활동 시간을 부여하는 곳도 있다. == 여담 == * [[여성가족부]] 발표에 의하면, 청소년수련관, 청소년수련원, 청소년특화시설과 함께 청소년센터로 통합되어 운영될 예정이다. * 청'''소'''년수'''련'''관이라고 써있는 도로 바닥 마킹이 타이어에 마모되어 [[소련]]이 되버린 [[짤방]]이 나돈 적이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sU7jonIjo8U|#]] [[분류:청소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