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청송군의 교통]]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청송군)] [목차] [clearfix] == 철도 == [[철도가 지나지 않는 도시/대한민국|철도는 없다.]] [[의성영덕선]]이라는 이름의 계획은 있지만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서야 간신히 추가검토사업으로 반영된 철도라서 추진 가능성은 아직 요원한 상태. == 도로 == 교통 연계가 상당히 부실하기로 유명한 옆동네 [[영양군]]과 비교했을 때, 교통 연계 상황은 괜찮은 편이다. === 고속도로 === 읍내에서 얼마 가지 않아 [[서산영덕고속도로]]가 위치하고 있으며, 관내에 [[청송IC|청송 나들목]]과 [[동청송·영양IC|동청송.영양 나들목]]이 위치한다. 이 중 주요 관광지로 향하는 루트인 [[청송IC|청송 나들목]]의 비중이 더 높은 편이다. 계획상으로는 [[영천양구고속도로]]가 있지만 막대한 비용 문제로 현실화 가능성은 낮다. === 일반국도 === * [[31번 국도]]: 군을 남북으로 관통하는 국도이다. [[포항시|포항]]에서 넘어와 현동, 부남, 주왕산, 청송, 파천, 진보를 거쳐 [[영양군|영양]]으로 넘어간다. 그 중 청송 - 진보 구간의 교통량이 가장 많지만, 그래봤자 시골이기 때문에 진보면 34번 국도 중첩구간 중 일부, 청송읍 우회구간, 부남면 우회구간만 왕복 4차로이다. 삼자현 구간은 2023년 6월 7일자로 삼자현1, 2터널이 건설되었으며, 꼭두방재 구간도 왕복 4차로의 터널이 건설 중이다. * [[34번 국도]]: [[안동시|안동]]에서 넘어와 진보면을 동서로 관통한 뒤 [[영덕군|영덕]]으로 넘어간다. 진보면소재지를 우회하는 구간은 왕복 4차로이며, 진안사거리 - 월전삼거리 구간은 31번 국도와 중첩된다. 전통적으로 청송, 영양, 영덕에서 안동/서울방면으로 가기 위해 반드시 지나가야 하는 상당히 중요도가 높은 도로였으나, 당진영덕고속도로 개통 후 고속도로에 그 역할을 많이 넘겨준 상태. 그럼에도 고속도로가 안동시내와 꽤 떨어진 남쪽을 지나가기 때문에 이 국도를 이용하는 차량도 아직 꽤 있는 편이다. 가랫재 및 황장재 구간에 터널이 건설 중이다. * [[35번 국도]]: [[영천시|영천]]에서 넘어와 현서면을 남북으로 관통한 뒤 [[안동시|안동]]으로 넘어간다. 2011년 12월 27일 청송군과 [[영천시|영천]] 사이의 고개인 '''노귀재'''를 관통하는 왕복 4차로 '''"노귀재터널"'''이 준공되어 영천 방면으로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청송에서 대구로 가는 최단 코스로 사용되었다. 청송읍에서 인접한 [[안동시|안동]], [[영덕군|영덕]], [[영천시|영천]], [[포항시|포항]], [[의성군|의성]]으로 이동하려면 모두 고갯길[* 심지어 [[914번 지방도]]와 [[34번 국도]]를 통해 [[안동시|안동]]으로 가려면 2번 넘어야 한다.]을 넘어야 한다. 유일하게 고갯길을 안 넘어도 되는 곳은 북쪽의 [[영양읍]] 방면 밖에 없다.[* [[영양군|영양]]에서도 고개를 넘지 않고 타 시군으로 넘어갈 수 있는 곳은 청송군 뿐이다.] 다행히도 [[서산영덕고속도로]] 개통으로 인접한 지역을 고갯길을 넘지 않고 당도할 수 있다. 대신 산악 구간을 통과하기 때문에 터널이 많은 편이다. 삼자현 남쪽의 현동면, 안덕면, 현서면의 세개 면을 묶어 삼남지역이라고도 하는데, 여기는 청송읍을 가려고 해도 삼자현이라는 고개를 넘어야 하고, [[포항시|포항]], [[안동시|안동]], [[의성군|의성]], [[영천시|영천]] 모두 고개를 넘지 않고는 나갈 수 없다. 대신에 [[35번 국도]] 버프로 안동과 [[영천시|영천]] 방면으로는 각각 마사터널, 노귀재터널이 완공되어 있고, 삼자현 고개 또한 현동면과 부남면을 잇는 터널이 완공되었다. === 지방도 === *[[국가지원지방도]] : [[68번 지방도]] *[[지방도]] : [[908번 지방도]], [[912번 지방도]], [[914번 지방도]], [[920번 지방도]], [[930번 지방도]] == 버스 == === 시외버스 === 군청 소재지인 청송읍보다 진보면의 교통사정이 훨씬 좋다. 진보면을 관통하는 [[34번 국도]]가 [[1975년]]부터 있었는데 청송 관내 국도 중 포장이 가장 빨리 이루어진 곳이다. [[동서울터미널|서울]],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 [[북부정류장|대구북부]], [[안동터미널|안동]], [[영덕터미널|영덕]], [[영양버스정류장|영양]], [[영천버스터미널|영천]], [[의성시외버스터미널|의성]], [[포항터미널|포항]] 방면으로 시외버스[* 과거에는 [[부산종합버스터미널|부산]] 방면으로도 버스가 운행했는데, 부산은 [[청송버스터미널|청송]]과 [[진보버스터미널|진보]] 둘 다 운행했다. [[청송버스터미널|청송]]은 [[영천버스터미널|영천]], 삼창, 자천, 불로, [[화목버스터미널|화목]], 안덕, 도평, 부남을 경유하는 노선이었고, [[진보버스터미널|진보]]는 [[포항터미널|포항]], 나루끝, [[흥해읍|흥해]], 청하, 송라, [[장사정류소|장사]], [[강구시외버스터미널|강구]], [[영덕터미널|영덕]], [[신안정류장|신안]], 원전, 신촌을 경유했던 노선이었다. 둘 다 [[아성고속]]과 [[천마고속]]에서 운행했으며, 청송은 2회, 진보는 5회로 역시 진보가 앞섰으나 청송이 2019년 8월 26일에 [[시외버스 부산-영천|부산-영천 노선]] 우등할증으로 인해 폐지, [[진보버스터미널|진보]]는 기사수급 문제로 2020년 2월 11일에 (포항-)영덕-진보-안동-[[경상북도청신도시|경북도청]]으로 단축되고 2회로 감회되면서 폐지되었다.]가 운행되지만, 영천과 동대구[* 진보에서 영천, 동대구로 가는 버스는 아침에 1회만 운행했다가 2019년 8월 26일에 폐지되었다.]를 제외하면 어느 방면이든 진보 쪽의 횟수가 훨씬 많다. 이는 인접한 [[영덕군|영덕]], [[영양군|영양]]과 [[안동시|안동]], [[서울특별시|서울]] 등지를 잇는 시외버스들이 모두 [[진보버스터미널|진보]]를 경유하기 때문이다. 심지어 청송읍과 안동, 서울을 잇는 [[시외버스]]도 진보를 경유한다. 안동으로 가는 시외버스편이 동서울과 대구북부행의 중간 경유지인 덕분에 그나마 배차가 많은 편이다. 동서울에서 청송으로 가는 시외버스는 주왕산까지도 가니 참고하면 된다. 다만 진보면에서도 안동이나 영덕으로 갈 땐 고갯길을 넘어야 한다. 만만치 않은 U자 코스이니 자가용은 운전에 조심할 것. 가랫재(안동 방향)와 황장재(영덕 방향) 두 고갯길 모두 터널 계획이 있다. 터널이 개통되면 기존의 시간에서 10분 정도는 가볍게 당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고속도로 개통 이후에도 [[청송IC|청송 나들목]]이 청송읍에 훨씬 가깝기 때문에 외지에서의 접근성은 청송읍이 훨씬 개선됐다. [[대구광역시|대구]]에서 청송으로 갈 때 주의할 점은 * 청송읍 방면은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 - 진보면, 파천면, 주왕산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소재지 포함. 진보면은 하루 1대 첫차만 운행하고 주왕산면은 면소재지가 아닌 [[주왕산]]으로 하루 2회 운행했으나 2019년 8월 26일에 폐지되었다. [[시외버스 동대구-청송]] 참조. 코로나19로 하루 7회 운행되고 있다. * [[진보버스터미널|진보]] 방면은 [[북부정류장]]에서 타야 한다.(안동 경유. [[시외버스 대구북부-안동]] 참조.) [[서산영덕고속도로]]가 개통되면서 자가용으로 청송으로 접근하기는 상당히 쉬워졌다. [[서울특별시|서울]] 기준으로 3시간 정도 소요된다. 다만 [[시외버스 동서울-영해,영양,주왕산|동서울 - 청송 시외버스]]는 고속도로 개통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안동 - 진보를 경유하기 때문에 소요시간이 4시간 이상 걸린다. 이는 이 노선을 이용하여 청송 - 진보에서 안동으로 가는 수요 또한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 버스를 이용하다 보면 청송 - 진보를 거치며 탄 승객들이 안동 시내를 거치며 우수수 빠져나간 다음 다시 [[안동터미널]]에서 좌석을 채워 이동하는 걸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전국에서도 손꼽히는 교통오지답게 청송읍에서는 18시 45분에 [[시외버스 동대구-청송]]의 막차가 출발한 이후에는 택시나 자가용을 이용하지 않고는 다음날이 될 때까지 [[영양군]]을 제외한 다른 지역으로 나가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할 것이며, 진보면에서도 18시 50분에 출발하는 대구북부행 막차가 출발한 이후에는 마찬가지로 위와 같은 상황이 발생한다.[* 2019년까지만 하더라도 진보에서 안동으로 나갈 수 있는 막차가 21시까지 있었지만,[[https://blog.naver.com/grandmachine/22173731735|2019년 당시 진보터미널 시간표(링크)]] 그 후 경유 노선의 대거 감회로 지금은 아무리 늦어도 18시 50분까지는 진보터미널에 도착해야 영양군을 제외한 다른 지역으로 나갈 수 있다. ] 물론. 진보에서는 택시를 이용하여 갈전2리까지 간 후 [[안동 버스 611|611번]]을 이용하면 안동으로 갈 수 있지만 이 방법 역시 611번 막차가 갈전2리를 경유하는 19시 30분 정도까지 갈전2리에 도착해야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시계외 할증요금이 적용되어 꽤 비싼 요금으로 이동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네이버 지도]]의 경로안내에서는 택시비를 약 13,980원으로 안내하고 있지만,[[https://naver.me/FepCv4zs|네이버 지도 경로안내(진보~갈전2리까지) 페이지]] 실제로는 도시지역보다 비싼 택시 거리요금과 시계외 할증요금이 있어 이보다 많이 비싼 요금이 나올 것이다.]또한. 611번 막차가 떠난 후부터는 [[안동 버스 212|212번]]의 21시 25분 막차를 탈 수 있는 천전1리까지 이동해야 한다.[* [[https://naver.me/GJEFXJri|네이버 지도 경로안내(진보~천전1리까지) 페이지]]] 청송으로 당일치기 여행이나 등산을 가려는 분들은 이러한 점을 꼭 참고하자. 만일. 대중교통으로 여행하는 중 청송에서 오랜 시간 머물다가 18시 45분(진보에서는 18시 50분)을 넘겨 터미널에 도착하였다면 비싼 택시비를 부담하는 대신 여관에서 그날 밤을 보낸 후 다음날에 귀가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 농어촌버스 === [Youtube(-W4FnarLcdQ)] [[청송군 농어촌버스|농어촌버스]]는 [[청송버스]]에서 운행하며, [[의성여객]]처럼 전 차량 [[자일대우버스]]로만 운행한다. [[2023년]] [[1월 1일]]부로 '''관광객 포함 누구든지 무료인 무임승차제를 전국 최초로 도입'''했다. 도입 이유가 특이한데 원래 청송은 봉화군(영주시 면허로 운행하는 [[영주 버스 33|33번]] 제외), 옹진군(790번 및 영흥도 노선 제외), 군위군[* [[2023년]] [[7월 1일]] 이후로 대구 교통 체계에 편입함], 영양군, 진도군의 경우처럼 교통카드가 미도입된 지역이었고 그렇다보니 [[윤경희]] 군수가 교통카드 도입과 환승할인 공약을 걸고 당선되었다. 하지만 막상 교통카드 도입에 필요한 비용을 계산해 보니 교통카드 도입 및 유지비가 꽤 많이 나와 전면 무료화를 하는 것과 비용이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온 것이다. 그래서 그냥 무임승차제를 실시하는 것으로 결론이 났다. 대신 군의 주요 지역에 공설주차장을 만들고 청송 버스를 탈 수 있도록 했다. 상권도 변변찮고 유동 인구가 없다시피하며 고령화까지 심각해진 지역 경제를 살리기 위해 초강수를 둔 셈인데, 효과가 괜찮다고 한다. 하지만 진보 - 청송이나 청송 - 주왕산 같은 몇몇 노선을 제외하고는 전부 [[오지(지리)|오지]] 노선이다. 특히나 현서면에서는 농어촌버스로 청송읍에 갈 수 있는 방법이 없어서 [[시외버스 동대구-청송|동대구 - 청송 시외버스]]를 타야 한다. 현서면 소재 [[화목버스터미널]]에서는 [[의성군 농어촌버스]]와 [[안동 버스 610|안동시 시내버스]]를 이용해서 의성군과 안동시로 갈 수 있다. 이 때문에 삼남지역 사람들은 청송읍보다는 [[영천시|영천]], [[의성군|의성]], [[안동시|안동]], [[포항시|포항]] 멀리는 [[대구광역시|대구]]나 [[부산광역시|부산]]으로 많이 나간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청송군, version=7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