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fffff><:> [[파일:청주대학교 산악부 로고.png|width=300]] || ||||<:><#FFFFFF> '''[[청주대학교]] 산악부'''[br](Cheong Ju University Alpine Club) || ||<:> '''창단''' ||<:> [[1961년]]|| ||<:> '''지도교수''' ||<:> 유연석|| ||<:> '''주소'''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대성로 298 청주대학교 학생회관 401호|| ||<-2> [[https://cafe.naver.com/cjuac/|공식 카페]] || ||<-2> [[https://ko-kr.facebook.com/cjuac1961/|공식 페이스북]] || ||<-2> [[https://www.instagram.com/cju.ac/|공식 인스타그램]] || [목차] == 개요 == === 소개 === 산악부는 1961년에 창단된 [[청주대학교]]의 [[등산]] [[동아리]]이다. 청주대 중앙동아리 소속이며 --중앙동아리보다 오래됐다-- 정식 명칭은 ‘청주대학교 산악부’이다. 주요 활동은 산에서 할 수 있는 모든 활동이며, 가벼운 등산(트레킹), 캠핑부터 인공암벽, 자연암벽까지 전문적인 등반도 하는 동아리다. === 부기 === [[파일:청주대학교 산악부기.jpg]] ‘1961'은 산악부 창립연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영문 ‘C.J.U.A.C'는 Cheong Ju University Alpine Club의 머릿글자를 따온 것이며, 가운데 한문 고딕 '大’자는 대학의 본질인 학문의 탐구 즉, 산과 학문의 조화를 의미하는 것이다. 그 안에 ‘山’을 도형화시키고 산악인의 고결, 순수한 정신을 함축시킨 ‘Edeweiss'를 삽입시켰고, 이와 같은 것을 굳건히 지켜나가자는 의미에서 ’방패‘로 테두리를 만들었다. === 부가 === [[파일:청주대학 산악부가.jpg]] [[파일:청주대학교 산악부가.jpg]] 청주대학교 산악부의 산악부가는 총 두 가지이다. 기존에 동아리 창단과 함께 불리우던 청주대학 산악부가와 1981년 청주대학교가 종합대학으로 승격되면서 75학번 남상구 선배께서 산악부가를 정식으로 작곡하였다. 현재 공식 행사 때 두 곡을 모두 제창하고 있다. == 역사 == === 연혁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 [[청주대학교 산악부|[[파일:청주대학교 산악부 로고.png|width=25]]]] {{{+1 [[청주대학교 산악부|{{{#0054a6 '''청주대학교 산악부 연혁'''}}}]]}}} || }}} || ||<:> {{{#!wiki style="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1px; color:#000000" || 날 짜 || 내 용 || || 1961년 4월 1일 || 청주대학교 산악부 창립 || || 1976년 11월 6일 || 제18회 전국 60Km극복 등산대회 남자대학부 종합1위 || || 1977년 9월 15일 || 故 [[고상돈]] 부원. [[에베레스트|Mt. Everest]](8,848m) 등정 || || 1979년 5월 29일 || 故 고상돈, 이일교(75) 부원 [[데날리|Mt. Mackinly]](6,194m)등정 || || 1982년 2월 28일 || [[대만]] 옥산 등정(3,997m) 대 장 : 남기창 대 원 : 이상문(64), 김경섭(74), 차흥용(74), 손광호(75), 신기식(75), 박인석(76), 박노학(76), 김기용(77), 김수문, 강호천, 김진기. (당시 대학 산악부 단일팀으로 최초 등정.) || || 1984년 1월 16일 || 토왕폭 등반(340m) 대 원 : 신영호(81), 조진희(81). (6시간 16분이라는 그 당시의 가장 빠른 시간으로 등반) || || 1985년 3월 12일 || [[히말라야]] 투쿠체봉 등정(7,150m) 대 장 : 남기창. 대 원 : 김학영(78), 임해훈(79)[* [[http://www.journalist.or.kr/news/article.html?no=22806|#]]], 정창혁(80), 이동환(80), 윤홍근(80), [[허영호(산악인)|허영호(85)]]. (셀파없이 동계 등반에 성공) || || 1987년 12월 20일~ 88년 2월 20일 || 도계종주 등반(888km) 대 원 : 김웅식(84), 조남석(86). (국내 최초로 도계 종주 등반) || || 1989년 5월 29일 || 북미 최고봉 Mt. Mackinly(6,194m) 등정 대 장 : 남기창. 대 원 : 신영호(81), 김사문(81), 정보섭(82), 황봉구(82), 이정근, 윤병기, 김웅식(84), 이준세(84), 김상욱(86), 조철희(88). (故 고상돈, 이일교 선배님 10주기 추모등반, 전대원 랑대뷰 등정.) || || 1991년 7월 3일~ 7월 16일 || 태백산맥 종주 등반(500km) 13박 14일 대 원 : 이윤성(85), 이선호(86), 황대섭(87), 임종흥(87), 이동환(90), 지창순. || || 1992년 7월 5일~ 8월 23일 || 백두 대간 종주 등반(690km) 48박 49일 대 원 : 김병욱(88), 조철희(88), 김승헌(91). (무지원 등반) || || 1993년 6월 12~ 7월 28일 || 백두 대간 단독 등반(690km) 대 원 : 이병주(89) || || 1994년 9월 7일~ 10월 16일 || [[인도]] 챠우캄바 2봉 (7,068m)등반 대 원 : 김웅식(84), 이준세(84), 이병주(89), 김영진(92). || || 1996년 4월 11일~ 5월 26일 || 인도 챠우캄바 2봉 (7,068m)등정 대 장 : 남기창. 대 원 : 조남석(86), 조철희(88), 이병주(89), 성낙무(89), 김승헌(91), 김남정(91), 정규석(94), 허재성(94). (한국초등, 세계 2등) || || 2000년 8월 12일~ 10월 23일 || 에베레스트(8,848m) - [[로체]](8,516m) 등정 총 대 장 : 남기창. 대 장 : 윤홍근(80). 등반대장 : 김영식. 대 원 : 김웅식(84), 조철희(88), 홍순덕(88), 허재성(94), 김영민(95). 에베레스트 등정 : 김웅식(84), 조철희(88), 홍순덕(88). 로체 등정 : 허재성(94). || || 2002년 1월 23일~ 2월 6일 || [[일본]] [[북알프스]] 능선종주 등반 대 원 : 김영민(95), 한민수(01), 오세완(01). || || 2005년 || 청소년 오지탐사대 참가 대 원 : 한민수(01) [[네팔]] [[마칼루]] - 바룬 지역, 6,065m 메라피크 남봉 등정 || || 2007년 1월 5일∼ 1월 14일 || 중국 쓰꾸냥(6,250m) 동계 훈련 교 육 : 김웅식(84) 대 원 : 한민수(01), 이라애(02) || || 2010년 || 한국 오지탐사대 참가 대 원 : 강성구(05) 티벳 니엔칭탕굴라 || || 2015년 || ● 한국 오지탐사대 참가 대 원 : 정기건(12) [[파키스탄]] 카라코람 ● UIAA 국제 청소년 산악캠프 참가 대 원 : 이두연(10) [[조지아]] 카즈베크(5,047m) 등정 || || 2017년 1월 15일~ 1월 27일 || 일본 북알프스 등반 대 장 : 이두연(10) 대 원 : 정기건(12), 연성호(13) || || 2017년 3월 25일~ 9월 26일 || [[미국]] PCT 완주 (4,300km)[[https://www.inews365.com/news/article.html?no=510775|#]] 대 원 : 정기건(12) || || 2018년 5월 20일 || 제 51회 대통령기 전국 등산대회 남대부 3위 코 치 : 이성연(14) 대 원 : 김재진(16), 이건희(17), 최종찬(17) || || 2018년 7월 21일~ 8월 12일 || 한국 오지탐사대 참가 대 원 : 김석현(17) 파키스탄 [[K2(산)|K2]] B.C 및 곤도고로라 탐사 || || 2020년 10월 3일~ 11월 12일 || 백두 대간 종주 단독 등반 40박 41일 대 원 : 김석현(17) 무지원, 무동력, 양심적 종주 || }}}}}}}}} || === 역대 지도교수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 [[청주대학교 산악부|[[파일:청주대학교 산악부 로고.png|width=25]]]] {{{+1 [[청주대학교 산악부|{{{#0054a6 '''청주대학교 산악부 역대 지도교수'''}}}]]}}} || }}} || ||<:> {{{#!wiki style="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1px; color:#000000" ||
<-5><:> {{{#FFFFFF '''1979년[* 79년 이전은 지도교수 부재] ~ 현재'''}}} || ||<:> {{{-1 {{{#CC0000 '''초대'''}}}}}}[br]남기창[br] ||<:> {{{-1 {{{#CC0000 '''2대'''}}}}}}[br]유연석[br] || }}}}}}}}} || === 역대 산악부장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 [[청주대학교 산악부|[[파일:청주대학교 산악부 로고.png|width=25]]]] {{{+1 [[청주대학교 산악부|{{{#0054a6 '''청주대학교 산악부 역대 산악부장'''}}}]]}}} || }}} || ||<:> {{{#!wiki style="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1px; color:#000000" ||
{{{#ffffff '''초대'''}}} || {{{#ffffff '''2대'''}}} || {{{#ffffff '''3대'''}}} || {{{#ffffff '''4대'''}}} || {{{#ffffff '''5대'''}}} || || 이범윤(60[* 학번]) [br] {{{-3 {{{#041e42 '''(1961)'''}}}}}} || 이건성(62) [br] {{{-3 {{{#041e42 '''(1962)'''}}}}}} || 조병인(62) [br] {{{-3 {{{#041e42 '''(1962)'''}}}}}} || 박병흔(65) [br] {{{-3 {{{#041e42 '''(1963)'''}}}}}} || 박병흔(65) [br] {{{-3 {{{#041e42 '''(1964)'''}}}}}} || || {{{#ffffff '''6대'''}}} || {{{#ffffff '''7대'''}}} || {{{#ffffff '''8대'''}}} || {{{#ffffff '''9대'''}}} || {{{#ffffff '''10대'''}}} || || 박종구(63) [br] {{{-3 {{{#041e42 '''(1965)'''}}}}}} [br] || 송일헌(63) [br] {{{-3 {{{#041e42 '''(1966)'''}}}}}} [br] || 이인규(65) [br] {{{-3 {{{#041e42 '''(1967)'''}}}}}} [br] || 이덕영(65) [br] {{{-3 {{{#041e42 '''(1968)'''}}}}}} || 안성배(66) [br] {{{-3 {{{#041e42 '''(1969)'''}}}}}} [br] || || {{{#ffffff '''11대'''}}} || {{{#ffffff '''12대'''}}} || {{{#ffffff '''13대'''}}} || {{{#ffffff '''14대'''}}} || {{{#ffffff '''15대'''}}} || || 정영섭(67) [[작고|†]] [br] {{{-3 {{{#041e42 '''(1970)'''}}}}}} [br] || 신인현(69) [[탈퇴|×]] [br] {{{-3 {{{#041e42 '''(1971)'''}}}}}} [br] || 황월성(70) [br] {{{-3 {{{#041e42 '''(1972)'''}}}}}} [br] || 최종옥(71) [br] {{{-3 {{{#041e42 '''(1973)'''}}}}}} [br] || 최영학(72) [br] {{{-3 {{{#041e42 '''(1974)'''}}}}}} || || {{{#ffffff '''16대'''}}} || {{{#ffffff '''17대'''}}} || {{{#ffffff '''18대'''}}} || {{{#ffffff '''19대'''}}} || {{{#ffffff '''20대'''}}} || || 한진수(73) [br] {{{-3 {{{#041e42 '''(1975)'''}}}}}} || 한진수(73) [br] {{{-3 {{{#041e42 '''(1976)'''}}}}}} || 남상구(75) [br] {{{-3 {{{#041e42 '''(1977)'''}}}}}} || 유만향(78) [br] {{{-3 {{{#041e42 '''(1978)'''}}}}}} || 김상용(75) [br]{{{-3 {{{#041e42 '''(1979)'''}}}}}} || || {{{#ffffff '''21대'''}}} || {{{#ffffff '''22대'''}}} || {{{#ffffff '''23대'''}}} || {{{#ffffff '''24대'''}}} || {{{#ffffff '''25대'''}}} || || 김영진(76) [br] {{{-3 {{{#041e42 '''(1980)'''}}}}}} || 김기용(77) [br] {{{-3 {{{#041e42 '''(1981)'''}}}}}} || 신영호(81) [br] {{{-3 {{{#041e42 '''(1982)'''}}}}}} || 정보섭(82) [br] {{{-3 {{{#041e42 '''(1983)'''}}}}}} || 정창혁(80) [br] {{{-3 {{{#041e42 '''(1984)'''}}}}}} || || {{{#ffffff '''26대'''}}} || {{{#ffffff '''27대'''}}} || {{{#ffffff '''28대'''}}} || {{{#ffffff '''29대'''}}} || {{{#ffffff '''30대'''}}} || || 조성배(81) [br] {{{-3 {{{#041e42 '''(1985)'''}}}}}} || 김인호(81) [br] {{{-3 {{{#041e42 '''(1986)'''}}}}}} || 김웅식(84) [br] {{{-3 {{{#041e42 '''(1987)'''}}}}}} || 권순필(83) [br] {{{-3 {{{#041e42 '''(1988[* 1학기])'''}}}}}} |||| 이준세(84) [br] {{{-3 {{{#041e42 '''(1988[* 2학기])'''}}}}}} || || {{{#ffffff '''31대'''}}} || {{{#ffffff '''32대'''}}} || {{{#ffffff '''33대'''}}} || {{{#ffffff '''34대'''}}} || {{{#ffffff '''35대'''}}} || || 이윤성(85) [br] {{{-3 {{{#041e42 '''(1989)'''}}}}}} || 이선호(86) [br] {{{-3 {{{#041e42 '''(1990)'''}}}}}} || 박형주(86) [br] {{{-3 {{{#041e42 '''(1991)'''}}}}}} [br] || 임종흥(87) [br] {{{-3 {{{#041e42 '''(1992)'''}}}}}} [br] |||| 조철희(88) [br] {{{-3 {{{#041e42 '''(1993)'''}}}}}} [br] || || {{{#ffffff '''36대'''}}} || {{{#ffffff '''37대'''}}} || {{{#ffffff '''38대'''}}} || {{{#ffffff '''39대'''}}} || {{{#ffffff '''40대'''}}} || || 성낙무(89) [br] {{{-3 {{{#041e42 '''(1994[* 1학기])'''}}}}}} [br] || 이병주(89) [br] {{{-3 {{{#041e42 '''(1994[* 2학기])'''}}}}}} [br] || 김남정(91) [br] {{{-3 {{{#041e42 '''(1995)'''}}}}}} || 김승헌(91) [br] {{{-3 {{{#041e42 '''(1996)'''}}}}}} [br] |||| 김영진(92) [br] {{{-3 {{{#041e42 '''(1997)'''}}}}}} [br] || || {{{#ffffff '''41대'''}}} || {{{#ffffff '''42대'''}}} || {{{#ffffff '''43대'''}}} || {{{#ffffff '''44대'''}}} || {{{#ffffff '''45대'''}}} || || 정미령(95) [br] {{{-3 {{{#041e42 '''(1998)'''}}}}}} || 김범준(94) [br] {{{-3 {{{#041e42 '''(1999)'''}}}}}} [br] || 전상규(96) [br] {{{-3 {{{#041e42 '''(2000)'''}}}}}} || 김영민(95) [br] {{{-3 {{{#041e42 '''(2001)'''}}}}}} |||| 여수환(01) [br] {{{-3 {{{#041e42 '''(2002)'''}}}}}} || || {{{#ffffff '''46대'''}}} || {{{#ffffff '''47대'''}}} || {{{#ffffff '''48대'''}}} || {{{#ffffff '''49대'''}}} || {{{#ffffff '''50대'''}}} || || 이라애(02) [br] {{{-3 {{{#041e42 '''(2003)'''}}}}}} || 민우경(03) [br] {{{-3 {{{#041e42 '''(2004)'''}}}}}} || 오세완(01) [br] {{{-3 {{{#041e42 '''(2005)'''}}}}}} [br] || 유성열(05) [[탈퇴|×]] [br] {{{-3 {{{#041e42 '''(2006)'''}}}}}} |||| 한민수(01) [br] {{{-3 {{{#041e42 '''(2007)'''}}}}}} || || {{{#ffffff '''-[* 산악부 침체기로 인한 부원 부재]'''}}} || {{{#ffffff '''51대'''}}} || {{{#ffffff '''52대'''}}} || {{{#ffffff '''53대'''}}} || {{{#ffffff '''54대'''}}} || || - [br] {{{-3 {{{#041e42 '''(2008)'''}}}}}} [br] || 권순호(09) [[탈퇴|×]] [br] {{{-3 {{{#041e42 '''(2009)'''}}}}}} [br] || 강성구(05) [br] {{{-3 {{{#041e42 '''(2010)'''}}}}}} || 강성구(05) [br] {{{-3 {{{#041e42 '''(2011)'''}}}}}} |||| 강성구(05) [br] {{{-3 {{{#041e42 '''(2012)'''}}}}}} || || {{{#ffffff '''55대'''}}} || {{{#ffffff '''56대'''}}} || {{{#ffffff '''57대'''}}} || {{{#ffffff '''58대'''}}} || {{{#ffffff '''59대'''}}} || || 이두연(10) [br] {{{-3 {{{#041e42 '''(2013)'''}}}}}} [br] || 이두연(10) [br] {{{-3 {{{#041e42 '''(2014[* 1학기])'''}}}}}} [br] || 노건호(13) [br] {{{-3 {{{#041e42 '''(2014[* 2학기])'''}}}}}} || 연성호(13) [br] {{{-3 {{{#041e42 '''(2015)'''}}}}}} |||| 정기건(12) [br] {{{-3 {{{#041e42 '''(2016)'''}}}}}} || || {{{#ffffff '''60대'''}}} || {{{#ffffff '''61대'''}}} || {{{#ffffff '''62대'''}}} || {{{#ffffff '''63대'''}}} || {{{#ffffff '''64대'''}}} || || 유원준(16) [br] {{{-3 {{{#041e42 '''(2017)'''}}}}}} [br] || 이성연(14) [br] {{{-3 {{{#041e42 '''(2018[* 1학기])'''}}}}}} [br] || 김재진(16) [br] {{{-3 {{{#041e42 '''(2018[* 2학기])'''}}}}}} || 김영호(17) [br] {{{-3 {{{#041e42 '''(2019)'''}}}}}} |||| 이건희(17) [br] {{{-3 {{{#041e42 '''(2020)'''}}}}}} || || {{{#ffffff '''65대'''}}} || {{{#ffffff '''66대'''}}} || {{{#ffffff '''67대'''}}} || {{{#ffffff '''68대'''}}} || {{{#ffffff '''69대'''}}} || || 김석현(17) [br] {{{-3 {{{#041e42 '''(2021)'''}}}}}} [br] || - [br] {{{-3 {{{#041e42 '''(2022)'''}}}}}} [br] || - [br] {{{-3 {{{#041e42 '''(2023)'''}}}}}} || - [br] {{{-3 {{{#041e42 '''(2024)'''}}}}}} |||| - [br] {{{-3 {{{#041e42 '''(2025)'''}}}}}} || }}}}}}}}} || == 가입 == ● 가입조건 청주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든지 가능하다. 신입생, 재학생, 휴학생 가리지 않고 가입이 가능하나, 되도록 1~3학년 위주로 가입을 받고 있다. ● 가입방법 교내에 부착되어있는 홍보 포스터상의 연락처로 연락을 주거나 청주대학교 산악부의 각종 홈페이지에 DM을 보내 가입 신청을 할 수 있다. ● 참고사항 산악부 가입비용은 따로 받지 않고 있으며, 산행을 참가할 때마다 교통비+간식비(평균 2만원 내외)만을 따로 받고 있다. 또한 등산복이나 등산 장비(배낭, 침낭, 등산화 등등)는 모두 부실에서 대여가 가능하니 장비가 없는 학생들은 굳이 장비를 따로 구하지 않아도 된다. == 주요활동 == ● 친목도모 산악부도 동아리인 만큼 부원들 간의 친목도모를 중요시한다. 1주에 1번 부실에 모여 회의와 이론교육을 하며 부원간의 친목을 다진다. --선배들이 밥 사주는 날-- 또한 다른 학교 산악부와 함께 활동[* 충북대학산악연맹 및 전국 대학산악부]을 하면서 많은 친구를 만들 수 있다. ● 주말산행 등산 특성상 주로 주말에 활동을 하며, 당일치기 산행이나 1박 2일 산행을 한다. 주요 활동은 가벼운 [[트레킹]](워킹), [[캠핑]], 스포츠 클라이밍, [[암벽등반]] 등의 활동을 한다. ● 장기등반 동, 하계 방학 때 1주 이상의 장기등반을 진행하며 일명 '동, 하계 훈련'이라고 불린다. --산악부의 꽃-- 주로 설악산이나 한라산에서 진행하며 주말산행에서는 느낄 수 없었던 산행을 한다. 동, 하계 훈련 모두 수료해야 정식 부원으로 인정을 받는다. ● 해외 원정 등반 국내를 벗어나 해외의 산을 등반한다. 주로 [[히말라야]], [[알프스]]와 같은 고산지대를 등반하러 간다. 서로 뜻이 맞는 부원끼리 팀을 꾸려 원정준비를 하며, 선배들이나 혹은 기업체에서 비용이나 장비를 후원을 받기도 한다. == 사건/사고 == ● 1977년 9월 15일 [[고상돈]] 부원 한국 최초 [[에베레스트]](8,848m) 등정 ● 1979년 5월 29일 고상돈, 이일교 부원 Mt. Mackinly(6,194m)등정 후 하산 중 사망[[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4516879|#]] ● 1982년 2월 28일 대만 옥산 등정(3,997m) - 당시 대학 산악부 단일팀으로 최초 등정.[[http://www.ksmnews.co.kr/default/index_view_page.php?part_idx=289&idx=96154|#]] ● 1984년 1월 16일 설악산 토왕폭 등반(340m) - 6시간 16분으로 그 당시 가장 빠른 시간으로 등반 ● 1988년 2월 20일 도계 종주 등반 (888km) - 국내 최초로 도계 종주 등반 ● 1996년 5월 26일 인도 차우캄바 2봉(7,068m) 등정 - 한국 초등, 세계 2등. ● 2017년 9월 26일 미국 PCT 완주 (4,300km)[[http://www.cc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090486|#]][[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Gb=4&CNTN_CD=A0002565551|#]] ● 2018년 5월 20일 제 51회 대통령기 전국 등산대회 남자대학부 3위 ● 2019년 88학번 조철희 히말라야 14좌 등반 도전 중[[http://cc.newdaily.co.kr/site/data/html/2019/11/06/2019110600116.html|#]] ● 2020년 10월 3일~11월 12일 백두 대간 단독 등반 ● 2020년 12월 7일 '나의 캠핑 물건'(05 강성구 저) 출간[[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7526419|#]] == 출신인물 == ● 남기창[* 62학번. 청주대 산악부 지도교수 및 충북 원로산악인[[https://cafe.naver.com/cjuac/1674|#]]] ● [[고상돈]][* 한국 최초 에베레스트 등정[[http://cc.newdaily.co.kr/site/data/html/2018/10/16/2018101600074.html|#]]] ● [[허영호(산악인)|허영호]][* 탈퇴] ● [[고미영]][*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2771785|#]]] == 홍보자료 == === 홍보영상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 [[청주대학교 산악부|[[파일:청주대학교 산악부 로고.png|width=25]]]] {{{+1 [[청주대학교 산악부|{{{#0054a6 '''청주대학교 산악부 홍보영상'''}}}]]}}} || }}} || ||<:> {{{#!wiki style="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1px; color:#000000" ||
[youtube(8w-D-nRahGg&t=8s,width=720,height=480)] [br] {{{-3 {{{#041e42 '''▲2016년 청주대학교 산악부 홍보영상'''}}}}}} || || [youtube(uNgASTcCR5I,width=720,height=480)] [br] {{{-3 {{{#041e42 '''▲2017년 청주대학교 산악부 홍보영상'''}}}}}} || || [youtube(EvsZyOCFVf4,width=720,height=480)] [br] {{{-3 {{{#041e42 '''▲2018년 청주대학교 산악부 홍보영상 티져'''}}}}}} || || [youtube(22lHDiqzzq4,width=720,height=480)] [br] {{{-3 {{{#041e42 '''▲2018년 청주대학교 산악부 홍보영상'''}}}}}} || || [youtube(mmqijdT_taE,width=720,height=480)] [br] {{{-3 {{{#041e42 '''▲2019년 청주대학교 산악부 홍보영상'''}}}}}} || || [youtube(k1kEb9oWlqM,width=720,height=480)] [br] {{{-3 {{{#041e42 '''▲2020년 1학기 청주대학교 산악부 홍보영상'''}}}}}} || || [youtube(h6yipYl304g,width=720,height=480)] [br] {{{-3 {{{#041e42 '''▲2020년 2학기 청주대학교 산악부 홍보영상[* [[차커]]님 제작]'''}}}}}} || }}}}}}}}} || === 기타영상 === ● 홍보영상 외 산행영상이나 원정 축하 영상을 모은 것이다. ||
[youtube(qR-7q6MwKI4,width=720,height=480)] [br] {{{-3 {{{#041e42 '''▲2015년 조지아 카즈베크 등반영상'''}}}}}} || || [youtube(Xc9qqa_jtpk,width=720,height=480)] [br] {{{-3 {{{#041e42 '''▲2017년 일본 북알프스 등반영상'''}}}}}} || || [youtube(Q8jgpMEtsag,width=720,height=480)] [br] {{{-3 {{{#041e42 '''▲2017년 미국 PCT종주 완주 축하영상'''}}}}}} || == 기타 == ● 기수제로 운영하니 되도록 1학년 때 가입하는 것이 좋다.(전국 산악부 대부분 공통) ● 동, 하계 훈련을 모두 마친 부원은 정식부원이 되며 산악부 벳지를 수여받는다. 또한, 정식부원은 졸업식 때 졸업패를 수여한다. [[분류:청주대학교]] [[분류:동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