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국가등록문화재 영화)] ||<-2>
{{{#000000,#dddddd '''{{{+1 청춘의 십자로}}}''' (1934)[br]''靑春의 十字路''}}}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청춘의십자로.jpg|width=100%]]}}} || || '''{{{#000000,#dddddd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드라마}}} || || '''{{{#000000,#dddddd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안종화}}} || || '''{{{#000000,#dddddd 각본}}}''' ||{{{#!wiki style="margin: 0px 10px" 안종화}}} || || '''{{{#000000,#dddddd 제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 || || '''{{{#000000,#dddddd 주연}}}''' ||{{{#!wiki style="margin: 0px 10px" 이원용, 신일선 외}}} || || '''{{{#000000,#dddddd 촬영}}}''' ||{{{#!wiki style="margin: 0px 10px" 이명우, 손영진}}} || || '''{{{#000000,#dddddd 제작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금강키네마}}} || || '''{{{#000000,#dddddd 개봉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1934년]] [[9월 21일]]}}} || || '''{{{#000000,#dddddd 화면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4:3}}} || || '''{{{#000000,#dddddd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73분}}}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제강점기]]에 제작된 [[한국 영화]]. 필름이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한국영화였으나 1920년대 후반으로 추정되는 이규설 감독의 무성 영화인 [[https://www.youtube.com/watch?v=rgxi3m-8jjM|근로의 끝에는 가난이 없다]] 필름이 2019년 러시아 고스필모폰드에서 발견되고 2020년 수집과 디지털 작업을 거치면서 두 번째로 밀렸다. == 출연 == * 이원용 * 신일선 * 박연 * 김연실 == 필름 발견 == [[미몽]](1936)이 발견된 이후, 한 개인소장자가 오래된 필름 9롤이 있다고 [[한국영상자료원]]에 연락해왔다. 소장자의 부친이 [[6.25 전쟁]] 발발 직후까지 영화관 [[단성사]]를 운영했고, 전쟁통에 단성사 문을 닫으면서 챙겨놓은 필름이라고 했다. 영상자료원에서 확인 결과 1934년에 개봉한 "청춘의 십자로"의 '''원본 필름'''임이 밝혀졌다. 발견된 필름은 상영용으로 쓰는 포지티브 필름이 아니라, 촬영할 때 쓰는 네거티브 필름이었기 때문이다. 필름 재질은 질산염이었는데, 이 중 8롤이 청춘의 십자로 본편, 1롤은 엔딩 크레딧이었다. 불행히도 본편 8롤 중 1롤이 필름이 산화되는 백화 현상이 생겨 복원이 불가능했다. [* 질산염 필름은 식초화되어 산화하는 현상이 잘 발생하는데다 화재 때문에 관리하기가 어렵다. 관리가 일찍 체계화된 미국에서도 질산염 필름 화재 사고나 보관 문제가 터졌을 정도. 열악한 보존 상황을 생각해보면 오히려 기적에 가깝다.] 필름이 발견된 이후에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한국영화가 되어서 지자체나 영상자료원에서 간간히 상영회를 하는 중이다. [[무성영화]]이기 때문에 [[변사]]가 해설을 진행하는 상영회도 몇 번 했다. [각주] [[분류:1934년 영화]][[분류:한국의 드라마 영화]][[분류:죽기 전에 꼭 봐야 할 한국영화 1001]][[분류: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분류:무성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