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Forsyth-Edwards Notation FEN 표기법(포사이스-에드워드 표기법)은 어떤 '''정지한'''[* 한 수 한 수의 움직임을 나타낼 때에는 [[체스/기보 표기법|대수 기보법]]을 쓰는 것이 낫다.] 상황에서의 [[체스 기물]] 배치도를 한눈에 알려주는 표기법이다. == 표기하는 방법 == === 기물의 위치와 차례 === FEN 표기법에서 [[체스 기물]]은 [[체스/기보 표기법|대수 기보법]]과 같은 글자로 표기된다. 또한 흑의 기물은 소문자로, 백의 기물은 대문자로 표기한다. 아래의 표를 보자. ||기물||흑||백|| ||[[킹(체스)|킹]]||k||K|| ||[[퀸(체스)|퀸]]||q||Q|| ||[[룩(체스)|룩]]||r||R|| ||[[비숍(체스)|비숍]]||b||B|| ||[[나이트(체스)|나이트]]||n[* 나이트(knight)의 첫 글자는 k지만 [[킹(체스)|킹]]과 겹치기도 하고 어차피 k는 묵음이라 n으로 표기한다.]||N|| ||[[폰(체스)|폰]]||p||P|| FEN 표기법은 체스판을 1줄씩 끊어서 기물의 위치를 알려준다. 첫 줄을 적고 /로 줄을 구분하고 다음 줄을 쓰고... 이런 식이다. 빈 칸의 경우 연속된 빈칸 수 만큼 숫자로 표현한다. [[파일:FEN 기보 표기법.png]] 이 상황에서, 첫 번째 줄에는 차례로 흑 룩(r), 빈 1칸(1),흑 비숍(b), 빈 1칸(1), 흑 킹(k), 빈 1칸(1), 흑 나이트(n)와 흑 룩(r)이 있으므로 {{{r1b1k1nr}}}, 두번째 줄에는 흑 폰(p), 빈 2칸(2), 흑 폰(p), 빈 1칸(1), 흑 폰(p), 백 나이트(N), 흑 폰(p)이 있으므로 {{{p2p1pNp}}}, 이렇게 한 것을 모아보면 {{{r1b1k1nr/p2p1pNp/n2B4/1p1NP2P/6P1/3P1Q2/P1P1K3/q5b1}}} 가 된다. 백의 차례인지 흑의 차례인지는 각각 w, b로 표현하며 기물 배치를 설명한 뒤 붙여준다. 이에 따라 체스의 처음 시작 포지션은 {{{rnbqkbnr/pppppppp/8/8/8/8/PPPPPPPP/RNBQKBNR w}}}가 된다. [include(틀:체스게임, info=,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Pb, d7=Pb, e7=Pb, f7=Pb, g7=Pb, h7=Pb, a2=Pw, b2=Pw, c2=Pw, d2=Pw, e2=Pw,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Qw, e1=Kw, f1=Bw, g1=Nw, h1=Rw, caption=rnbqkbnr/pppppppp/8/8/8/8/PPPPPPPP/RNBQKBNR w)] === [[캐슬링]] 여부 === [[체스 기물]]의 배치를 알려주고 난 뒤에는 [[캐슬링]]을 할 수 있는 지 여부를 알려준다. 킹사이드[* 퀸이 없는 쪽(킹과 룩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쪽)]로 가능할 땐 K(흑이 가능할 때는 마찬가지로 소문자 k를 쓴다), 퀸 사이드[* 퀸이 있는 쪽(킹과 룩 사이의 거리가 먼 쪽)]로 가능할땐 Q(흑이 될 땐 소문자 q)를 기물 배치를 설명 한 뒤에 적어준다. 양 쪽 모두가 캐슬링을 할 수 없는 상태이면 -(하이픈)을 적는다. [include(틀:체스게임, info=, a8=Rb, e8=Kb, a1=Rw, e1=Kw, h1=Rw, caption=r3k3/8/8/8/8/8/8/R3K2R w Kq)] 체스판 밑의 FEN 표기법에 따르면 캐슬링 여부를 알려주는 칸이 Kq로 되어있으니 여기에서 흑은 퀸사이드, 백은 킹사이드에서'''만'''[* 퀸사이드 캐슬링이 가능했다면 KQq로 작성되어 있었을 것이다.] 캐슬링을 할 수 있다. === [[앙파상]] 가능 여부 === 폰 관련 특수 규칙인 [[앙파상]]의 가능 여부도 표시할 수 있다. 앙파상으로 잡힐 수 있는 폰의 아랫 칸, 다시 말해 앙파상으로 잡을 때 잡는 폰이 움직일 칸을 캐슬링 여부를 적는 칸 옆에 작성한다. 마찬가지로 앙파상을 할 수 없으면 -를 적는다. 다만, 앙파상으로 잡을 수 없어도 만약 적절한 자리에 폰이 있으면 앙파상이 가능할 때에는 적는다. [include(틀:체스게임, info=, b4=Pb, c4=Pw, h4=Pw, g4=, caption=8/8/8/8/1pP4P/8/8/8 b - h3)] 체스판 밑 FEN 표기법에 따르면 앙파산 여부를 적는 칸에 h3라고 되어있으므로, 이번에 흑은 gxh3 e.p.[* g폰이 h4폰을 앙파상으로 잡음, 실제로 폰은 없지만 만약 g4에 폰이 있었다면 잡을 수 있음]가 가능할 것이었고[* 다만 실제로 폰이 있지 않으므로 앙파상이 나오진 않는다.], bxc3 e.p[* b폰이 c4폰을 앙파상으로 잡음]는 안 된다. === 둔 횟수 === FEN 표기법으로 이때까지 몇 수를 두었는지도 표시할 수 있다. 앙파상 여부를 적는 칸 뒤에 half move[* 직역하면 '반 수'로, 백 또는 흑이 움직일 때마다 1씩 오른다.]와 full move[* 번역하면 '한 수'로, 흑이 움직였을 때 1씩 오른다.]를 적어준다. [include(틀:체스게임, info=, a8=Kb, g1=Rw, h1=Kw, caption=k7/8/8/8/8/8/8/6RK b - - 99 49)] 체스판 밑의 FEN 표기법에 따르면 49수까지 두었고, 백의 50수는 두었고 현재 흑의 50수 차례이다.(대수 기보법으로 50... 의 차례이다) == 예시 == {{{r3k2n/8/8/1N6/6pP/8/3P4/R3K2R b KQq h3 37 18}}} {{{#!folding 정답 [include(틀:체스게임, info=, a8=Rb, e8=Kb, h8=Nb, b5=Nw, g4=Pb, h4=Pw, d2=Pw, a1=Rw, e1=Kw, h1=Rw, caption=백은 킹과 퀸사이드 흑은 퀸사이드로 캐슬링 가능하고 g4폰이 h4폰을 앙파상으로 잡을 수 있고 흑의 19... 차례이다.)]}}} {{{r2qkb1r/pp3ppp/2n1pn2/2pp1b2/3P2B2/2P1PN2/PP1N1PPP/R2QKB1R w KQkq - 12 6}}} {{{#!folding 정답 [include(틀:체스게임, info=런던 시스템 - 슈타이니츠 카운터갬빗, a8=Rb, b8=, c8=, d8=Qb, e8=Kb, f8=Bb, g8=, h8=Rb, a7=Pb, b7=Pb, c7=, d7=, e7=, f7=Pb, g7=Pb, h7=Pb, a6=, b6=, c6=Nb, d6=, e6=Pb, f6=Nb, g6=, h6=, a5=, b5=, c5=Pb, d5=Pb, e5=, f5=Bb, g5=, h5=, a4=, b4=, c4=, d4=Pw, e4=, f4=Bw, g4=, h4=, a3=, b3=, c3=Pw, d3=, e3=Pw, f3=Nw, g3=, h3=, a2=Pw, b2=Pw, c2=, d2=Nw, e2=, f2=Pw, g2=Pw, h2=Pw, a1=Rw, b1=, c1=, d1=Qw, e1=Kw, f1=Bw, g1=, h1=Rw, caption=백과 흑 모두 양쪽 캐슬링 가능하고 앙파상은 불가하고 백의 7. 차례이다.)]}}} == 장점 == FEN 표기법은 대수 기보법과 다르게 한 줄로 전 체스판의 상황을 요약할 수 있다. 그래서 퍼즐 등을 설명할 때에 자주 쓰인다. 한 줄임에도 불구하고 캐슬링 여부, 앙파상 여부 및 둔 횟수까지 정확하게 알 수 있다. == 단점 == FEN 표기법은 "이 상황에서 이렇다"는 표현이 쉽지만, "이 상황으로 흘러갔다"는 표현이 어렵다. 대수 기보법으로는 [[오픈 게임|1. e4 e5]]으로 해도 FEN 기보법으로는 온 체스판을 다 적어야 한다. 그래서 대국 을 설명할 때에는 FEN 기보법은 딱히 쓰이지 않는다. 그리고 이 FEN 표기법은 모르는 사람이 많다. 대중화가 덜 되어있어 나는 한 줄로 정리해 보여줘도 [[이 뭔 개소리야|상대방은 무엇인지 잘 모를 수 있다.]] == 관련 문서 == * [[체스/기보 표기법]] * [[체스 퍼즐]] [[분류:체스]][[분류:나무위키 체스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