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로마]][[분류:로마 역사 지구]] [include(틀:이탈리아의 세계유산)] [include(틀:로마의 일곱 언덕)] [[파일:첼리오 언덕.webp]] [목차] == 개요 == [[라틴어]]: Collis Caelius. [[이탈리아어]]: Celio. [[로마의 일곱 언덕]] 중 하나. [[산 조반니 인 라테라노 대성당]]이 위치한 장소로 유명하다. == 지리 == [[파일:로마의 일곱 언덕.jpg]] [[로마]] 구도시의 중심지에 자리잡은 [[팔라티노 언덕]]의 남동쪽, 일곱 언덕 중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하고 가장 높은 언덕인 [[에스퀼리노 언덕]]의 남쪽에 위치한 언덕으로, 길이는 2km, 너비는 400~500m, 높이는 50m이다. 대 첼리오 고지(Grande Celio)와 동쪽의 소 첼리오 고지(Piccolo Celio)로 나뉜다. == 역사 == [[티투스 리비우스 파타비누스]]에 따르면, 본래 이 언덕의 명칭은 언덕을 덮고 있는 참나무의 [[님프]]의 이름을 따 케르케툴라나에(Querquetulanae)이었지만 로마 왕국의 건국자 [[로물루스]]를 도왔던 [[에트루리아]] 전사 카엘리우스 비벤나가 이 언덕에 집을 짓고 산 뒤 첼리오 언덕으로 변경되었다고 한다. 로마 전승에 따르면, [[로마 왕국]] 3대 국왕 [[툴루스 호스틸리우스]]가 알바 롱가를 공략한 뒤 그곳에 살던 라틴인들을 이 언덕에 강제로 정착시켰다고 한다. 로마 왕국 6대 국왕 [[세르비우스 툴리우스]] 치세에서, 첼리오 언덕의 일부는 로마 시의 경계인 포메리움에 들어갔다. 하지만 대부분의 언덕은 포메리움 바깥으로 간주되었기에, 출산, 우물, 분수, 예언의 여신 카메나이의 신전, [[미네르바]] 신전, [[헤라클레스]] 신전, [[디아나]] 신전 등 외국에서 유래한 신전들이 잇따라 세워졌다. 한편, 첼리오 언덕에는 부유층이 주로 거주했는데, 특히 고대 로마의 대표적인 [[파트리키]] 가문인 [[발레리우스]] 가문의 집단 거주지가 이곳에 있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갈리아 전쟁]]을 단행했을 때 프라이펙투스 파브룸(praefectus fabrum: 건물 및 공성 무기 건설 감독관)을 맡았던 마무라(Mamurra)는 카이사르로부터 후원을 받아 막대한 재산을 모았다. 그는 첼리오 언덕에 집을 지었는데, 집 전체를 대리석으로 덮고 단단한 대리석 기둥을 사용한 최초의 로마인이었다고 한다. [[로마 제국]] 초대 황제 [[아우구스투스]] 치하에서 로마 시의 14개 행정 구역 중 하나인 카일리몬티움(Caelimontium)에 편입되었다. 27년 첼리오 언덕 전역에 대형 화재가 발생해 언덕에 있던 모든 건물이 소실되었다. 서기 54년, [[소 아그리피나]] 황우는 이 해에 사망한 [[클라우디우스 1세]]를 신으로 모시는 클라우디우스 신전을 첼리오 언덕에 건설하기로 했다. 이 공사는 [[베스파시아누스]]가 통치를 시작할 때까지 이어졌다. 언덕의 도시간 지역에는 수도에 주둔하는 경비대를 위한 여러 개의 막사가 세워졌는데, 이중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가 193년에서 197년 사이에 에퀴테스 싱귤라레스 아우구스티(Equites Singulares Augusti: 황제의 기병 경비대)를 위해 건설한 막사의 유적이 1934년 라테라노 대성당 지하에서 발견되었다. 410년 [[알라리크]]가 [[로마 약탈(410년)|로마 약탈]]을 단행했을 때 첼리오 언덕이 황폐화되었다. 이후에는 324년 교황 [[실베스테르 1세]]에게 봉헌된 [[라테라노 대성당]]과 기독교 예배 장소, 순례자와 병자를 위한 수용 센터가 언덕 대부분을 차지했고, 이로 인해 '라테라노 언덕'으로 자주 일컬어졌다. 10~11세기에 로마 귀족 가문들이 세운 수도원과 정원도 이곳에 추가로 세워졌다. 1084년 로마에 입성한 [[로베르 기스카르]]의 약탈로 인해 첼리오 언덕이 또다시 파괴되었지만 [[인노첸시오 3세]] 시기에 재건되었고, 12세기부터 [[퀴리날레 언덕]]과 함께 몸티움 지구로 편입되었다. 1873년 이탈리아 육군 의료단이 로마에 본부를 둔 군 병원인 첼리오 군 종합병원이 첼리오 언덕에 세워졌다. 오늘날 첼리오 언덕은 같은 이름의 리오네에 포함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