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초강역'''}}} || ||<-3>{{{#!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초강역 정읍, 너비=100%, 높이=100%)]}}}||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Chogang || || [[한자]] ||<-2><|2> 楚江 || || [[간체자]] || || [[가나(문자)|가나]] ||<-2> チョガン || ||<-3> '''주소''' || ||<-3> [[전라북도]] [[정읍시]] 정우면 정신로(장순리) 685-1 || ||<-3> '''관리역 등급''' || ||<-3> [[무배치간이역]][br]([[익산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전북본부) || ||<-3> '''운영 기관''' || || [[호남선]] ||<-2> [[한국철도공사]] || ||<-3> '''개업일''' || || [[호남선]] ||<-2> 1953년 7월 25일 || ||<-3> '''승강장 구조''' || ||<-3> 0면 2선[* 승강장이 없다.] || ||<-3> '''철도거리표''' || || [[대전조차장역|{{{#!html
대전조차장 방면}}}]][[신태인역|신태인]][br]← 5.6 ㎞ || '''[[호남선]]'''[br]초 강 || [[목포역|{{{#!html
목포 방면}}}]][[정읍역|정 읍]][br]7.9 ㎞ → || {{{+1 楚江驛 / Chogang Station}}}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초강역.jpg|width=100%]]}}} || || {{{#000 '''구 역사(1973년 준공, 2006년 철거)'''}}}[* 사진 상에는 1998년 1월 1일이라 나와 있지만, 촬영자의 말에 의하면 이는 카메라 배터리 교체로 인한 날짜 리셋으로 인한 것이며, 실제로는 2003년 8월 1일이 맞다고 한다.][* [[http://www.stationdb.x-y.net/stationphoto/chogang2.jpg|구 역사 철거 이후(2011년 1월 30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호남선]]의 철도역, [[전라북도]] [[정읍시]] 정우면 장순리 685-1 소재. [[http://info.korail.com/mbs/www/subview.jsp?id=www_020110010000|한국철도 노선도]]엔 역이 들어가 있지 않지만[* 2016년도 버전 한국철도노선도에는 들어가 있다.], 한국철도 영업거리표엔 들어가 있었던 정체를 알 수 없는 역이었다. 그러다 2019년 6월 1일에 나온 코레일 공식 철도노선표에서 [[부황역]], [[오산리역]]과 함께 빠져버렸다. == 역 정보 == 1953년 7월 25일에 [[배치간이역]]으로 개역했다. 신태인역과 정읍역이 10km를 넘는 먼 거리이기 때문에 중간에 신호장이 필요했고, 마침 철길 옆으로 면 중심지가 있었기에 이곳에서 개업하면서 승객을 같이 취급하기 시작했다. [[1973년]]에는 [[무배치간이역]]으로 떨어졌으나 10달 만에 [[보통역]]으로 승격되어 정식 직원이 배치되었다. 그러나 [[1985년]]에 이리역-정주역 구간이 복선화되면서 역이 마을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설되었고, 동시에 배치간이역으로 떨어졌다. 최후에 남은 역사는 그 당시에 지었던 역사다. 원래의 초강역은 초강6길이 서쪽에서 끝나는 위치에 있었다. [[카카오맵]], [[네이버 지도]], [[구글 지도]] 위성 사진을 보면 초강리 마을 서쪽에 좁은 폭으로 놓인 논이 보일 텐데, 바로 그곳이 단선 시절 호남선이 지나갔던 자리이다. 거기서 다소 넓어지는 구간에 옛 초강역이 있었다. [[1990년]]에 수소화물 취급이 중지됐으며, [[1993년]]에는 다시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 같은 호남선에 있는 역인 [[원정역]], [[신도역]], [[다산역(호남선)|다산역]], [[와룡역]], [[신흥리역]], [[안평역(호남선)|안평역]], [[옥정역]]과 더불어 [[2004년]] 7월 15일에 일반 열차가 통과하기 시작했으며, 역시 상술한 7개의 역과 더불어 16일에는 여객 취급 자체가 완전히 중지되었다. 역사는 2006년 여객취급 중지 직후에 철거되었고, 플랫폼과 부속 건물 한 채만이 남아있으며, 역사가 위치했던 자리에는 2010~11년경 [[호남고속철도]] 건설 사무소가 들어서 있었다가 호남고속철도 개통 후인 2017~19년경에 철거되어 현재는 빈 공터와 소규모의 밭이 조성되어 있다. 거기에서 우측 한 켠 부속 건물 바로 옆에 역 구내로 진입할 수 있는 철문이 있지만 자물쇠로 굳게 잠겨 있으며, 폐역 후 과거에는 코레일 소속의 보선원 몇 명이 이 철문을 통해 들어가 갖가지 작업을 하곤 했는데, 과연 지금 현재도 그렇게 하는지는? 그동안 해당역 문서가 폐역으로 되어있었으나 2006.6.23자 고시에 해당 역의 폐역처리 관련 내용은 없고, 2020.12.10자로 개정된 직제규정 시행세칙에도 그대로 남아있는것으로 보아 폐역은 아니다.[* 한국철도노선도에는 해당 역이 빠져있는데, 이는 [[원죽역]], [[북영주신호소]]도 마찬가지다.] [[https://gwanbo.mois.go.kr/ezpdf/customLayout.jsp?contentId=00000000000000001319073376691000&tocId=00000000000000001319073379954000&isTocOrder=N&name=%25EA%25B1%25B4%25EC%2584%25A4%25EA%25B5%2590%25ED%2586%25B5%25EB%25B6%2580%25EA%25B3%25A0%25EC%258B%259C%25EC%25A0%259C2006-215%25ED%2598%25B8(%25EC%25B2%25A0%25EB%258F%2584%25EC%2597%25AD%2520%25ED%258F%2590%25EC%25A7%2580%2520%25EB%25B0%258F%2520%25EC%25B2%25A0%25EB%258F%2584%25EA%25B1%25B0%25EB%25A6%25AC%25ED%2591%259C%25EC%25A4%2591%2520%25EA%25B0%259C%25EC%25A0%2595)|관련 고시]] == 둘러보기 == [include(틀:호남선의 역 목록)] [[분류:1953년 개업한 철도역]][[분류:호남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대한민국의 철도역]][[분류:정읍시의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