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초 군주)] ||<-3> '''{{{#ece5b6 초(楚)나라 2대 왕[br]{{{+1 문왕}}}[br] 文王}}}''' || ||<-2> '''[[성씨|{{{#ece5b6 성}}}]]''' ||미(羋) || ||<-2> '''[[본관|{{{#ece5b6 씨}}}]]''' ||웅(熊) || ||<-2> '''[[휘|{{{#ece5b6 휘}}}]]''' ||자(貲) || ||<-2> '''{{{#ece5b6 아버지}}}''' ||[[초무왕]](楚武王) 웅철(熊徹)/웅통(熊通)/웅달(熊達) || ||<-2> '''{{{#ece5b6 어머니}}}''' ||등만(鄧曼) || ||<-2> '''{{{#ece5b6 아내}}}''' ||[[식규]](息嬀) || || '''{{{#ece5b6 생몰 기간}}}''' || 음력 ||기원전 ???년 ~ 기원전 675년 6월 15일 || || '''{{{#ece5b6 재위 기간}}}''' || 음력 ||기원전 690년 ~ 기원전 675년 6월 15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초(춘추전국시대)|초나라]]의 18대 국군, 2대 왕. 초 무왕의 아들, 장오와 [[초성왕]]의 아버지. 초 무왕이 죽은 뒤 왕위를 이어 [[식#s-3|식나라]], 등나라,[* 당시 등나라의 군주는 문왕의 외숙부였다.] [[신나라#s-1]], [[기나라#s-1]], [[채나라]] 등을 쳐서 강역을 넓히고 '''초나라를 [[양쯔강|장강]] 일대의 패권국이 되게 만드는 기반을 만들었다.''' == 치세 == 초 무왕의 뒤를 이은 초 문왕은 즉위 초창기에 수도를 단양에서 영 땅으로 옮겼다.[* '영'은 수도이기 때문에 '영도'라고도 불렸는데, 이곳이 《삼국지》의 [[형주|강릉]]성이다.] 초 문왕 2년(기원전 688년), 문왕은 병사를 일으켜 신(申)나라를 치고 등(鄧)나라를 지나가는데 신하가 등 기후(鄧祁侯)에게 초 문왕을 습격하자고 했으나 등 기후는 듣지 않았다. 그리고 초 문왕은 신나라를 멸했다. 초 문왕 3년(기원전 687년), 등나라를 쳤다. 초 문왕 6년([[기원전]] 684년), 초나라가 채나라를 공략해 [[채나라]]군을 신[* 이 신 땅은 상나라의 탕왕이 명재상 이윤을 발견했다는 그 신(莘)과 한자가 같다.]에서 이겨 채 애후를 포로로 잡았다. 그런데 오래지 않아 석방했는데, 채 애후는 식후의 아내이자 [[진(규성)|진]](陳)나라 군주의 딸인 [[식규]]가 천하 제일의 [[미녀]]라고 소개했다. 그래서 초 문왕은 식규를 차지할 계획을 세운다. 그후 초 문왕이 식나라를 방문했는데, 식후가 그를 접대하며 환대했으나 식나라를 멸망시키고 식규를 차지했다.[* 식후가 초 문왕을 환대한 이유는 바로 초나라를 이용해 채나라를 견제하기 위함이었다.] 식후는 그 일로 충격을 받고 병을 얻어 죽었다. 문왕은 식규로부터 [[장오(초나라)|장오]]와 [[초성왕]] 두 아들을 얻는다. 초 문왕 10년(기원전 680년) [[가을]] 7월, 초나라 병력이 채나라로 쳐들어갔다. 초 문왕 11년(기원전 679년), [[제환공]]이 패자가 될 때 초나라의 국력을 키웠다. 초 문왕 12년(기원전 678년), 등나라를 멸했다. [* 문왕이 당시 등나라 군주의 외조카라 별다른 요청을 안하고 길을 빌릴 수 있었다. ] 초 문왕 15년(기원전 675년), 병사를 거느리고 [[파(춘추전국시대)|파나라]]를 침공했으나 대패했다. 영도로 귀환했지만 [[육권|육권(鬻拳)]][* 사람의 이름에 쓰일 때 鬻은 '죽'이 아닌 '육'으로 읽는다.]이 그를 받아들이지 않고 초 문왕에게 말했다. >"[[황(춘추전국시대)|황나라]]를 치고 오십시오." 결국 초 문왕은 황나라를 쳐서 끝내는 제압했으나, 회군 중에 병을 얻어 그 해 6월 15일에 죽었다.[* 경신(庚申)일이다.] 육권은 자결하여 [[순장]]되었다.[* 이 일을 두고 초까들은 초나라를 까는 레퍼토리로 쓴다. 다만 육권이란 인물을 잠시 살펴 보자면, 왕이 자신의 간언을 받아들이지 않자 칼을 뽑아 위협해 받아들이게 한 직후 왕을 협박한 죄를 들어 자기 발을 잘랐던 사람이다. 초 문왕은 육권에게 대혼(大閽) 벼슬을 내려 수도 영의 대문을 지키게 했고, 바로 이 대문에서 돌아온 왕을 막고 공적없이 돌아옴은 수치라 간언해 결국 왕을 객사하게 했다. 물론 순장이라는 풍습이 막장스럽기는 하지만, 육권은 왕을 몇 번이나 거슬렀던 자신을 나름 벌하는 의미에서 자결하고 순장된 것이다.] == [[화씨지벽]]의 일화 == 초나라의 형산[* 이 형산에서 형주라는 지명이 나왔다.]에서 변화라는 사람이 옥의 원석을 세 차례 초왕에게 바쳤으나, [[초여왕]]과 [[초무왕]]은 그 말을 믿지 않고 그에게 월형에 내렸다. 변화가 서러웠는지 눈물을 흘리며 울자 사람들이 그 까닭을 물으니 보배로운 옥의 원석을 가져왔는데, 알아보지 못하는게 원통해서 운다고 했다. 초 문왕이 그 이야기를 듣고 원석을 다듬게 하니 보배로운 옥이 나왔고, 변화의 이름을 따서 '''화씨지벽'''이 되었다고 한다. 단 리동혁의 《[[본삼국지]]》에 의하면 이 이야기는 [[정사#s-1]]가 아닌 [[야사(역사)|야사]]에서 떠도는 내용이라고 한다. 《[[열국지]]》에 의하면 화씨지벽은 훗날 [[전국시대]] 초나라 재상이 가지고 있었다고 하며, 그것이 없어지자, [[장의]]가 훔친 걸로 의심해 매질을 했다고 한다. 그후 화씨지벽이 [[조혜문왕]]에게 갔는데, 이 자세한 이야기는 [[인상여]], [[화씨지벽]] 항목 참조. == 후일담 == 초 문왕이 죽은 뒤 식규의 소생인 장오가 즉위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동생 웅군에게 죽임을 당하고 웅군이 즉위하니 그가 초 성왕이다. 초 성왕은 국력을 키워 송나라를 제압하는 등 나름대로 패권을 행사했으나 [[진문공]]을 이기지는 못했다. 하지만 세월이 흘러 증손자인 [[초장왕]] 대에 마침내 진(晉)나라를 꺾고 패업을 이룬다. [각주] [[분류:초나라의 군주]][[분류:기원전 675년 사망]][[분류:중국의 객사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