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총신대학교/대학원)] [include(틀:총신대학교)] [include(틀:총신대학교의 대학원)] [include(틀:군종목사 선발 신학대학)] [목차] == 개요 ==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의 교육이념은 청교도적 경건성과 칼빈주의적 개혁사상에 입각한 신학사상으로서, 장로회 신조와 총회헌법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신앙고백으로 나타난다. > >1.우리는 신구약 성경이 영감된 오류 없는 하나님의 말씀이며, 신앙과 행위의 정확무오한 유일의 법칙임을 믿는다. >2.우리는 한 하나님이 영원토록 성부 성자 성령 삼위로 계심을 믿는다. >3.우리는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고 주권적으로 섭리하심을 믿는다. >4.우리는 성육신하사 동정녀 마리아에게 나신 예수그리스도의 완전한 신성과 인성, 대속의 죽음, 육체적 부활, 그리고 역사적 >5.재림을 믿는다. >5.우리는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인간의 전적 부패, 그리스도의 대속의 보혈을 통한 구속을 믿는다. >6.우리는 성령의 중생하게 하시며, 회개하고 믿게 하시며, 내주하시며, 거룩하게 하시며, 충만하게 하시며, 복음을 증거하게 하시는 사역을 믿는다. >7.우리는 하나의 거룩하고 보편적인 교회와 그리스도가 교회의 머리와 주 되심을 믿는다. >8.우리는 구원받은 백성들로 두성된 교회와 근본적인 사명이 예배, 복음증거, 교육, 성도의 교제, 기도, 봉사, 그리고 선교이며, 이 세상에서 하나님의 나라를 실현하기 위한 교회의 문화적 및 사회적 책임을 믿는다. >9.우리는 우리의 구주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적이며 역사적 재림, 공의로운 심판, 그리고 생명의 부활과 심판의 부활을 믿는다. >10.우리는 웨스트민스터 신도개요와 대소요리문답에 나타난 전통적인 개혁신앙이 성경에 가장 충실한 표현으로 믿는다. > >[[https://csts.csu.ac.kr/?m1=page&menu_id=1184|신학대학원 소개문]] [[총신대학교]]의 [[신학대학원]]이다. 부총장의 경우, 대학 부총장과 신대원 부총장 2인 체제로 운영되며, 주요 보직에 신학대학원 소속 교수들도 꾸준히 임명되는 등 총신대 내에서 신학대학원이 차지하는 위상은 상당하다. 총신대 학생들은 "양지", "양지 수도원"라고 부르는 편이며, 이곳에서 공부하는 신학대학원생은 학부 학생들에게 "신대원 아저씨"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 역사 == 1980년대, 신학대학원의 확장과 더불어 경기도 용인시 양지면에 대지를 구입, 신학대학원을 분리했다. == 특징 == 타 신대원과 크게 비교되는 특징으로, 순혈주의 분위기가 강하다. 예장합동 교회 소속 및 총신대 학부 신학과 출신으로 이루어진 총-총 그룹은 타 교단 교회 소속 및 타 신학대 학부 출신으로 이루어진 비-총 그룹과 따로 논다. 이는 신학대학원의 규모가 학부 신학과보다 커서 자연스럽게 신대원생들이 학부 출신에 따라 따로 놀기 때문이다. 동아리도 총-총 그룹만 받는 경우가 많다. 이는 타 신학대에 다니고 있는 예장 합동 신자인 신학생들이 총신대 신대원 진학을 망설이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졸업 후 교회 청빙에서도 총-총 그룹만 따로 찾는 경우가 많아서 파벌싸움을 조장하는 꼴이라는 비판이 있다. 다만 장신대, 고신대, 백석대에서도 장-장 그룹, 고-고 그룹, 백-백 그룹이 있는 등, 총신대에서만 파벌이 갈리는것은 아니다. 그러나 신대원의 규모가 유독 크고 총신대 특유의 순혈주의 분위기가 강하다보니 타 신대원보다 갈등이 크게 두드러진다. 그러나 총-총 그룹이 부정적인 면만 있는 것은 아닌데, 예장 합동 계열 군소교단이나 타 보수 장로회 교단에서도 총-총 그룹이 많기 때문에 합동 교단을 이끄는 이너 서클이 타교단 목사와의 정서적인 교감이 가능하다는 독특한 특징이 있다. 그리고 예장합동의 지도부는 의외로 비-총 그룹인 경우가 많다. 광신대에서 학부를 졸업한 [[소강석]] 목사, 숭실대에서 학부를 졸업한 [[오정현]] 목사가 그 예시. 양지 캠퍼스 자체가 신학대학원만을 위한 캠퍼스이다. 그리고 대한민국의 신학대학원 단설 캠퍼스들 중에선 제일 넓다. 그러다보니 타학과 학생들에게 방해받지 않는 경건하고 넓은 공간에서 신학을 공부한다는 장점이 있기에 신대원 진학을 하려는 신학생들에겐 선호도가 높다. 학부 과정과 다르게 신대원은 진보적인 학자들이 교편을 잡진 않았다. 게다가 진보적인 신학 서적의 장서량도 꽤 적은 편. 그러나 진보적인 학생들도 꾸준히 진학하기 때문에 보수적인 학생들만 있는 것은 아니다. == 편제 == ||<-2>
{{{+1 {{{#fff '''신학대학원''' (神學大學院)}}}}}} [br] {{{#fff Graduate school of Theology}}}|| || {{{#231f20 '''학과'''}}} || {{{#231f20 '''전공'''}}} || ||<|3> [[목회학과]] || 목회학석사 || || 목회학심화석사 || || Global M.Div || === 목회학과 === ==== 목회학석사(M.Div) ==== 석사 학위는 M.Div. (Master of Divinity)를 받는다. ==== 목회학심화석사(S.T.M.) ==== ==== Global M.Div ==== == 합동계 교단 신학교와의 비교 == * 칼빈대학교 * 대신대학교 * 광신대학교 * 독립개신교회신학교 * 백석대학교 *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 개신대학원대학교 * 수도국제대학원대학교 *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총신측)총회신학연구원 == 여담 == * 나무위키에서 가장 먼저 단독문서가 개설된 총신대학교의 대학원이다. == 같이보기 == *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 [[총신대학교/학부/신학부]]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총신대학교/대학원, version=16)] [[분류:총신대학교]][[분류:신학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