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동음이의어]][[분류:동명이인]][[분류:고려의 인물]] [목차] == [[最]][[善]] == 1. '''가장 좋고 훌륭함. 또는 그런 일.''' * 최선의 방법. * 어이, 이게 최선이었냐 2. '''온 정성과 힘.''' * 최선을 기울이다. 그러나 자기 위주로 생각하고 상대를 보지 못하는 최선이라면 그 최선은 갈수록 [[최악]]을 낳는다는 이야기도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긍정적 문장을 쓸 때 최선 보다는 [[최고]]라는 단어가 압도적으로 많이 쓰인다. 최선이 쓰이는 경우는 위의 예시대로 동적 문장일 때. == 最先 == 여럿 가운데 가장 앞섬. == 고려의 인물 == === 무신정권기의 문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최선(문의공))] === 고려 중기의 문신 === 崔璿 ?~? 고려의 관인. 1106년 왕명을 받고 김인존·이재·이덕우·[[박승중]] 등과 함께 여러 음양지리서를 참고하여 《해동비록》을 편찬하였다. === 고려 후기의 무신 === 崔禪 ?~? 고려 후기의 무신. 1350년에 왜구가 고성·죽림·거제·합포[* 合浦: 지금의 경상남도 마산]에 침입하자, 천호로서 도령, 양관과 함께 공격하여 300여 급을 참획하고 이를 물리쳤다. == 정치인 == [include(틀:상세 내용,문서명=최선(인물))] == [[최선어학원]] == [[송오현]] 원장의 어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