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대한민국의 사회운동가, rd1=최열)] [include(틀:후한의 태위)] ||||||||||||<:><#008000> '''[[사도|{{{#ffffff 후한의 사도}}}]]''' || || 52대 [[원외]] || {{{+1 ←}}} || '''53대 최열''' || {{{+1 →}}} || 54대 [[허상]] || 崔烈 (? ~ 192년) [목차] [clearfix] == 개요 == [[고대]] [[중국]] [[후한]] 말의 관료이며 자는 위고(威考)로 [[최균]](崔均)과 [[최주평]]의 아버지이며, 최인의 손자이자 최원의 형의 아들이다. 기주 안평군 출신. == 생애 == 기주의 명사로써 명성이 있었으며, 정위를 지내다가 185년 3월에 [[원외(삼국지)|원외]]가 사도에서 면직되면서 그 자리를 물려받아 사도가 되었다. 그 당시 환관의 적극적인 정치 참여와 농락 때문에, 삼공의 자리는 환관의 허락을 받아야 오를 수 있었는데, 이때 그는 황제의 유모에게 5백만 전을 보내 사도에 오를 수 있었다고 한다. 그가 사도로 임명된 날에는 [[영제(후한)|영제]]가 약간 인색하게 굴지 않은 것이 후회스럽다면서 만약 인색하게 굴었다면 사도의 자릿세는 자그마치 1천만 전에 달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양주에서 반란이 일어난 일에 대한 대책을 논의할 때 땅을 떼어줘서 진정시키자는 의견을 냈다가 [[부섭]]이 최열을 죽여야 한다면서 크게 비판받았으며, 187년 여름 4월에 [[장온]]이 태위에서 면직되자, 사도에서 태위로 임명되었다. 더하여 지우의 문장지에서 보이는 정황에 의하면 그는 곧 이어 양평정후에도 봉해졌다고 하며, 같은 해 11월에는 태위에서 파직되었다. 189년에 하남 중부 연 [[민공]]이 [[후소제(후한)|소제]]와 진류왕([[헌제]])를 부축해 낙사로 가서 멈출 때, 공경백관들이 북망 판 아래에서 황제를 봉영하며 앞에서 이들을 이끌었는데, [[동탁]]이 보기 수천을 거느리고 와서 봉영하자, 동탁을 꾸짖으면서 자리를 피하라고 했다가 동탁의 협박을 받았다. 최균이 원소가 군사를 일으킨 관동군에 참여하면서 미의 감옥에 갇혔으며, 192년에는 성문교위를 지내고 있다가 [[삼보의 난]]으로 6월에 태복 노욱, 대홍려 [[주환(후한)|주환]], 월기교위 왕기 등과 함께 [[이각]], [[곽사]]의 공격으로 장안성이 함락되자 피살되었다. [[세설신어]]에는 춘추와 관련해 [[복건(후한)|복건]]과의 일화가 있다. 그와 관련된 고사성어로는 [[동취]]가 있다. == 기타 창작물 == [[토탈 워: 삼국]]에서는 DLC 182년 천명 시나리오에서 [[영제(후한)|영제]] 휘하의 초기 장수로 164년생으로 설정되어 180년부터 임관한 것으로 되어있다. 유형은 선봉장, 칭호는 전사, 특성은 친절함, 고립파, 인자함, 능력치는 최대 200을 기준으로 전문성 37, 결의 46, 책략 32, 본능 80, 권위 62. [[삼국지 가후전]]에서는 십상시의 끄나풀로 강족과의 싸움에서 땅을 내주고 강화를 맺자고 주장하거나 자신의 의견에 반박한 황보숭이 역모 혐의를 받자 그의 가택을 조사하며, 동탁이 권력을 잡을 때 그의 말에 따르는 발언을 하는 등 여러모로 비열한 모습으로 나온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최열, version=56, paragraph=1)] [[분류:후한의 태위]][[분류:192년 사망]][[분류:살해된 인물]][[분류:박릉 최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