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최재호 감독.jpg|width=100%]]}}} || ||<-2><#3594d3> '''{{{#FFFFFF 강릉고등학교 야구부 No.75}}}''' || ||<-2><#80deea> '''{{{+2 {{{#fff '''최재호'''}}}}}}[br] {{{#fff '''Choi Jae ho'''}}}''' || ||<#3594d3> '''{{{#fff 출생}}}''' ||[[1961년]] || ||<#3594d3> '''{{{#fff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대한민국]] || ||<#3594d3> '''{{{#fff 학력}}}''' ||[[휘문중학교|휘문중]] - [[배문고등학교 야구부|배문고]] - [[서울과학기술대학교/역사#s-3.15|서울산업대]] || ||<#3594d3> '''{{{#fff 포지션}}}''' ||[[유격수]] || ||<#3594d3> '''{{{#fff 지도자}}}''' ||미성초등학교 야구부 감독 [br][[배재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br][[덕수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05~2006) [br][[신일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08~2013) [br]'''[[강릉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16~)''' [br][[대한민국 U-18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 (2021~) || [목차] [clearfix] == 개요 == [[강릉고등학교 야구부]]의 감독이다. == 선수경력 == [[휘문중학교]], [[배문고등학교]], [[서울산업대학교]]를 졸업했다. 포지션은 [[유격수]]였으며 주포로 활약했으나 작은 체구로 대학교의 러브콜을 받지 못했다. == 지도자 경력 == 서울 미성초등학교와 고명초등학교, 덕수중학교에서 감독을 역임했으며 1995년 [[배재고등학교 야구부|배재고]]의 지휘봉을 잡으면서 고등학교 감독으로 활동했다. [[덕수고등학교 야구부|덕수정산고]], [[신일고등학교 야구부|신일고]] 감독직을 역임하고 2016년부터 강릉고 감독을 맡고 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529&aid=0000011468|[엠스플 기획] '고교야구 우승 청부사'가 강릉으로 떠난 까닭]] 우수한 자원을 활용한 높은 지도력으로 전국대회 우승을 수 차례 이끌었다. 전국대회 우승 경력이 총 9회[* 1995년 배재고의 대통령배 제패 당시에는 코치였다. 당시 감독은 장재철이었다. 이 때의 우승을 포함하면 총 10회다.]에 달해 우승청부사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http://ilyo.co.kr/?ac=article_view&entry_id=341681|‘우승 청부사’가 이끄는 외인구단, 강릉고의 신데렐라 스토리]] 강릉고 감독 부임 이후 2019년 청룡기 준우승(vs [[유신고등학교 야구부|유신고]])과 봉황대기 준우승(vs [[휘문고등학교 야구부|휘문고]])을 차지했고 2020년 황금사자기 결승에 진출하여 아웃카운트 1개를 남겨놓고 역전을 허용하며 우승기를 [[김해고등학교 야구부|김해고]]에 내주고 말았다. 하지만 마침내 대통령배 결승에서 [[신일고등학교 야구부|신일고]]를 7:2로 꺾고 강릉고의 창단 첫 전국 대회 우승 및 강원도 고교 야구팀 사상 첫 우승을 이끌었다. 야구부 감독 이후 인프라 개선, 지원 확대 등을 이끌어 냈고 우수자원들의 스카우트에도 성공하였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529&aid=0000055796|#]] 2021년 첫 대회인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황금사자기]]에서 [[대구고등학교 야구부|대구고]]에 13-4 승리를 거두며 창단 후 첫 황금사자기 제패에 성공했다. 2021년 9월 10일부터 19일까지 미국 플로리다에서 개최되는 제30회 [[세계청소년야구선수권대회]]의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http://naver.me/xRQkZ9Au|#]] 그러나 [[코로나19]]로 인해 미개최가 결정됐다. 2022년 1년 연기된 제30회 U-18 야구 월드컵(세계 청소년야구선수권대회)의 감독을 맡았다. 대회와 봉황대기가 겹쳐 강릉고를 잠시 비우게 됐으나 강릉고는 이창열 수석코치의 지휘 하에 준우승을 차지했다. 그러나 황준서, 윤영철, 김서현 이 세명만 주야장천 기용하면서 혹사 비판에 직면하였다. 특히 17일 멕시코전에서는 50구 이상 투구시 1일 휴식이라는 룰을 피하기 위해서 윤영철을 49구에서 칼같이 내렸으며 김서현은 15일 일본전 1이닝 3구, 16일 대만전 3이닝 40구, 17일 멕시코전 2.2이닝 37구 등 3일 연투를 하였으며 대회 시작 후 1주일 간 193구를 투구하였다. 결국 동메달결정전에도 김서현은 등판하여 20구 투구, 윤영철은 60구를 투구하였다. [[성영훈]]같이 특급 유망주가 고등학교, 청소년 대표를 거치며 엄청난 혹사로 결국 성장하지 못하고 사라지는 것을 본 야구팬들은 최재호 감독의 선수 기용에 불만을 품고 있다. 결국 9월 19일 [[야구에 산다]] 등에서도 이같은 혹사가 공론화되었다. 결국 U-18 야구 월드컵 투수 투구수 순위 TOP5에 대한민국 선수들만 3명이 이름을 올렸다.[* 1위 윤영철, 2위 김서현, 4위 황준서] === 우승경력 === || 년도 || 재직학교 || 대회 || 상대팀 || 비고 || || 2001 || 덕수고 ||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청룡기]] || 광주진흥고 || [* 양 팀을 대표하는 3학년 에이스 류제국과 김진우의 맞대결로 관심을 모았다. 이용규는 1학년임에도 주전 외야수 및 테이블 세터로 맹활약했다.] || || 2004 || 덕수고 ||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황금사자기]] || 야탑고 || [* 2학년 김문호가 최우수선수로 뽑혔다. 야탑고는 에이스 윤석민의 선전에도 패했다.] || || 2004 || 덕수고 || [[화랑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화랑대기]] || 부산고 || - || || 2005 || 덕수고 || 화랑대기 || 광주진흥고 || - || || 2006 || 덕수고 || 화랑대기 || 광주동성고 || [* 동산고의 청룡기 3연패를 잇는 전국대회 3연패 진기록을 달성했다.] || || 2006 || 덕수고 ||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봉황대기]] || 광주동성고 || [* 동성고 에이스 양현종은 8이닝 2실점으로 완투했으나 0-2로 영봉패를 당했다.] || || 2009 || 신일고 ||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청룡기]] || 천안북일고 || [* 덕수고를 떠나 신일고에서 지휘봉을 잡자마자 우승기를 들어올렸다.] || || 2020 || 강릉고 ||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대통령배]] || 신일고 || [* 강릉고등학교의 창단 후 첫 전국 대회 우승이자, 강원지역 고교 야구팀 사상 첫 우승이다.] || || 2021 || 강릉고 ||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황금사자기]] || 대구고 || - || == 여담 == * 수많은 [[한국프로야구]] 선수를 배출했다. * [[서울고명초등학교|고명초]]: 1990년 감독으로 부임했으며 훗날 [[LG 트윈스]]의 원클럽맨이자 영구결번 [[박용택]]을 야구계에 입문시켰다. * 덕수고(덕수정산고, 덕수상고 포함) : [[류제국]], [[이용규]][* 잠신중 재학 시절 휘문고 진학을 염두에 뒀으나 최재호 감독의 스카우트로 덕수 유니폼을 입었다.], [[최진행]], [[김건국]], [[민병헌]], [[김민성]] 등 다수 * 신일고 : [[임정호(야구선수)|임정호]], [[하주석]], [[양석환]], [[최원준(1994)|최원준]], [[이창열]], [[김태진(1995)|김태진]] 등 다수 * 강릉고 : [[서장민]], [[김시현]], [[문대원]], [[권민석]], [[이인한]], [[홍종표]], [[신학진]], [[김진욱(2002)|김진욱]], [[김선우(2001)|김선우]], [[최지민]], [[김세민(2003)|김세민]], [[차동영]], [[김예준(야구선수)|김예준]] 등 * [[김인식]] 前 감독(두산, 한화) - [[이성열(야구감독)|이성열]] 유신고 감독 - 최재호 감독 순으로 [[배문고등학교]]를 졸업했으며 이성열 감독과 최재호 감독은 김인식 감독의 [[배문고등학교 야구부]] 제자이기도 하다. 2020년 9월 최재호 감독 및 강릉고 야구부 격려 차 학교를 방문하였다.[[https://www.kwnews.co.kr/page/view/2020091700000000121|관련기사]] * 파워와 스피드를 앞세운 선굵고 호쾌한 야구보다는 탄탄한 수비와 조직력, 틈만 보이면 한 베이스를 더 내달리는 기동력, 단타 등 세밀한 야구를 추구한다. * [[삼성 라이온즈]] 불펜투수 출신 [[최재호(1973)|최재호]]와는 동명이인이다. 때문에 혹사논란 당시 일부 커뮤니티에서 애꿎은 삼성 라이온즈와 삼성출신 최재호가 욕을 먹는 촌극이 벌어진 적도 있었다. * 국민학생 시절의 [[박용택]]을 야구 시킬려고 8개월동안 쫒아다녔다고 한다. 당시 박용택은 공부에도 소질이 있어서 집안 반대가 있었지만 결국 공부와 야구 둘 다 잘하겠다는 약속을 하고 야구부에 입단한다. [[분류:대한민국의 야구감독]][[분류: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분류:1961년 출생]][[분류:휘문중학교 출신]][[분류:배문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과학기술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