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정기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00 [[MBC 청룡|'''{{{#ffff00 MBC 청룡}}}''']] 등번호 9번}}}''' || || 팀 창단 || {{{+1 →}}} || '''{{{#ffff00 최정기[br](1982~1983)}}}''' || {{{+1 →}}} || [[김상훈(1960)|김상훈]][br](1984~1993) || ||<-5> '''{{{#ffff00 [[MBC 청룡|'''{{{#ffff00 MBC 청룡}}}''']] 등번호 2번}}}''' || || [[백인천]][br](1982~1983.6.29.) || {{{+1 →}}} || '''{{{#ffff00 최정기[br](1984~1986)}}}''' || {{{+1 →}}} || 양현기[br](1987~1989) || ||<-5> '''{{{#fff [[LG 트윈스|{{{#fff LG 트윈스}}}]] 등번호 99번}}}''' || || 결번 || {{{+1 →}}} || '''{{{#fff 최정기[br](1990~1993)}}}''' || {{{+1 →}}} || [[버디 카라이어|카라이어]][br](2006) || }}} || ||<-2> [[파일:최정기감독.jpg|width=100%]] || ||<-2> '''{{{+2 최정기}}}[br]崔正基''' || || '''출생''' ||[[1956년]] [[7월 16일]] ([age(1956-07-16)]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신흥초 - [[한밭중학교|한밭중]] - [[충암고등학교 야구부|충암고]] - [[동국대학교 야구부|동국대]] || || '''포지션''' ||[[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1982년 [[MBC 청룡]] 창단멤버 || || '''소속팀''' ||[[롯데 자이언트]] (1979~1981)[br][[MBC 청룡]] (1982~1986) || || '''지도자''' ||[[LG 트윈스]] 1군 배터리코치 (1990~1993) [br] 구리리틀야구단 감독 [br] [[LG 트윈스]] 1군 배터리코치 (2001)[* ~4월 15일][br][[LG 트윈스/2군|LG 트윈스 2군]] 배터리코치 (2001)[* 4월 16일~][br] [[고려대학교 야구부]] 코치[br][[경희대학교 야구부]] 코치[br][[청원고등학교(서울)/야구부|청원고등학교 야구부]] 코치[br] [[춘천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br] [[배재고등학교 야구부]] 코치[br] [[창곡중학교]] 야구부 감독 (2014) [br] [[서울디자인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15~2016) [br] 과천시유소년야구단 감독 (2019~) || [목차] [Clearfix] == 개요 == [[MBC 청룡]] 소속의 전 야구선수. 1982년부터 1986년까지 [[MBC 청룡]] 소속의 포수로 활동하였다.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동국대 시절 1975년 최초로 아시아 대회가 아닌 국제대회(인터콘티넨털컵)에 참가한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었다.[[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5082900209208013&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5-08-29&officeId=00020&pageNo=8&printNo=16587&publishType=00020|#]] [[한국실업야구|실업리그]] 시절 미기상까지 받을 정도로 타격은 준수하였고 포수로의 볼배합이 좋은 선수였다. === 프로 경력 === 그러나 프로 입단 후에는 [[김용운(야구)|김용운]]과 [[유승안]]에 주전 경쟁에 밀려 후보로 간간히 출장하다가 1986년 12월 27일 자유계약선수로 공시되며 팀을 떠났다.[[https://newslibrary.naver.com/search/searchByKeyword.nhn#%7B%22mode%22%3A1%2C%22sort%22%3A0%2C%22trans%22%3A1%2C%22pageSize%22%3A10%2C%22keyword%22%3A%22%EC%B5%9C%EC%A0%95%EA%B8%B0%22%2C%22status%22%3A%22success%22%2C%22startIndex%22%3A1%2C%22page%22%3A1%2C%22startDate%22%3A%221986-01-01%22%2C%22endDate%22%3A%221986-12-31%22%7D|#]] 프로 시절에는 특별한 활약이 없었지만, 원년도 [[슈퍼 한국시리즈#s-2|정규시즌 최종전]]에서 대타 끝내기 홈런을 기록하여 KBO 레코드북에 그의 이름이 실려 있다. == 지도자 경력 == 1990년부터 1993년까지 [[LG 트윈스]]의 배터리코치를 역임하였다. 이후 구리리틀야구단 감독을 맡아 팀을 전국 최강으로 이끌기도 하였다. 2011년 태릉 불암사가 창단한 불자야구단의 감독 겸 선수를 맡았다. 2013년 부천 석왕사가 후원하는 룸비니 어린이 야구단 초대 감독을 맡았다. 2014년 3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경기도 성남의 혁신학교인 [[창곡중학교]](현 창성중학교)의 당시 2학년 학생들이 인원을 모아서 창단한 창곡중학교 야구부의 초대 감독을 맡았다. 그러나 창곡중 야구부는 2014년 제8회 대한유소년야구협회장배 전국유소년야구대회를 참가하였는데, 3전 전패로 대회 예선에서 탈락하였다.[[http://www.mydaily.co.kr/new_yk/html/read.php?newsid=201407101138282220&ext=na|#]] 이후, 창곡중 야구부는 창단 1년만에 동아리로 전환되었고 창단 멤버인 3학년들이 졸업하면서 없어졌다. 2015년부터 2016년까지 [[서울디자인고등학교 야구부]] 2대 감독을 맡았다. 2019년에는 한국포니야구연맹 중등부 배터리 코치를 맡았다. 2019년도부터 과천시유소년야구단에서 대한유소년야구연맹 소속 최고령 감독을 맡고 있으며, 창단 1년여만인 2020년, 제3회 크린토피아배 전국유소년야구대회 꿈나무 백호리그에서 우승을 이끌었다. 2021년도 대한유소년야구연맹 과천시유소년야구단은 각 리그 대회에서 총 우승 3회, 준우승 5회를 이루었다. 2022년도 대한유소년야구연맹 과천시유소년야구단은 제1회 가평군수배전국유소년야구대회에서 연맹최고리그인 유소년청룡리그에서 취미반으로 구성된 팀으로 선수반으로 구성된 팀들을 물리치고 우승을 이루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382&aid=0001005079|#]] [[https://vod.afreecatv.com/player/92290433|#]] == 연도별 주요성적 == ||<-15> {{{#ffffff 역대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장타율 || 출루율 || || 1982 ||<|5> [[MBC 청룡|MBC]] || 25 || 25 || .320 || 8 || 3 || 0 || 1 || 7 || 4 || 0 || 2 || .560 || .357 || || 1983 || 4 || 7 || .143 || 1 || 0 || 0 || 0 || 0 || 0 || 0 || 0 || .143 || .143 || || 1984 ||<-13><|3> 1군 기록 없음 || || 1985 || || 1986 || ||<-2> '''[[KBO 리그|KBO]] 통산''' [br] (2시즌) || 29 || 35 || .281 || 9 || 3 || 0 || 1 || 7 || 4 || 0 || 2 || .469 || .314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분류:동국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야구감독]][[분류:우투우타]][[분류:포수]][[분류:MBC 청룡-LG 트윈스/은퇴, 이적]][[분류:1956년 출생]][[분류:1982년 데뷔]][[분류:1986년 은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