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000,#e5e5e5 최종규의 수상 및 감독 경력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KBL 역대 감독상)] ---- [include(틀: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역대 감독)] ---- [include(틀:원주 DB 프로미 역대 감독)]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DDDDDD 0%, #FFFFFF)" {{{+1 {{{#000000,#e5e5e5 ''' 대한민국의 농구감독 '''}}}}}}}}} || ||<-2> [[https://dimg.donga.com/wps/NEWS/IMAGE/2001/01/05/6804538.1.jpg]] || || '''이름''' || 최종규(崔鍾圭) || || '''생년월일''' || [[1946년]] [[4월 6일]] ([age(1946-04-06)]세) || || '''국적''' || [[대한민국]] || || '''출신학교''' || [[제물포고등학교|제물포고]] - [[연세대학교|연세대]] || || '''감독''' || [[파일:연세대학교 구.jpg|width=30]] [[연세대학교]] (1993~1996)[* 총감독을 맡았다. 실제 경기를 지휘했던 감독은 [[최희암]].] [br]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대우증권 농구단]] (1996~1996) [br] [[파일:인천 대우 제우스.jpg|width=30]]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인천 대우 제우스]] (1997~1998) [br] [[파일:원주삼보로고.png|width=30]] [[원주 DB 프로미|원주 삼보 엑써스]] (1999~2001)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농구인. == 현역 선수 생활 == [[제물포고등학교]] 재학 시절에 취미 삼아서 농구에 입문했고 [[연세대학교]] 입학 후 본격적으로 농구선수 커리어를 쌓기 시작했다. 당시로서는 장신에 속하는 188cm의 키로 팀의 [[센터(농구)|센터]] 역할을 했고 [[1966 방콕 아시안 게임]]과 [[1968 멕시코시티 올림픽]] 대표 선수로 선발돼 국제대회를 뛴 경험도 있다.[* 같은 시대에 뛰었던 선수로는 2년 선배인 [[김인건(1944)|김인건]]이 있다.] 대학 졸업 후 당시 실업농구의 강호였던 [[한국은행]] 농구단에 입단해서 맹활약했고 1974년 봄 무릎과 발목 부상을 입고 현역 생활을 끝냈다. == 지도자 생활 == 현역 선수 은퇴 이후 [[미국]]으로 이민을 가서 [[로스앤젤레스]]에서 생활하다가[* 미국에서 꽤 오랫동안 생활한 덕분에 현지인 수준으로 영어회화에 능통했다. 그래서 KBL 초창기에는 미국 혼혈 출신인 [[김동광]] 감독과 더불어 작전타임 때 외국인 선수들과 통역 없이 유창하게 소통이 가능한 감독으로 눈길을 끌기도 했다.] 1993년 모교 [[연세대학교]]의 부름을 받아 총감독 역할을 했다. 실제 지휘는 [[최희암]] 감독이 맡고 본인은 행정과 훈련 지도 업무를 맡았다. 1996년 창단한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대우증권 실업 농구단]] 초대 감독으로 취임했는데 대학 후배인 [[유재학]]을 코치로 뒀다. 1997-1998 시즌 후 감독직을 [[유재학]]에게 물려주고 자신은 총감독으로 보직을 옮겼다. 1999-2000 시즌부터 두 시즌 동안 [[원주 DB 프로미|원주 나래 해커스-삼보 엑써스]] 감독으로 부임했는데 이 때는 [[전창진]]을 코치로 뒀다. 1999-2000 시즌 현재 KBL에서 유일하게 정규리그 3위 이하의 감독 중에서 KBL 감독상을 수상했다. 본인이 감독으로 있던 시절 소속팀의 성적이 아주 두드러지게 좋았던 것은 아니지만[* 프로팀 감독을 맡은 4시즌 중 3시즌에서 소속팀을 플레이오프로 이끌었지만 정작 봄농구에 올라가서는 첫 스테이지인 6강 플레이오프 이상을 넘어서지 못했다.] 리그 역사에서 손꼽히는 신사 감독이자 덕장 중 한 명이며 오늘날 KBL의 대표적 명장으로 성장한 [[유재학]]과 [[전창진]]을 명장으로 만든 멘토였다.[* 참고로 유재학과 전창진은 [[용산중학교]]를 함께 졸업한 오랜 친구 사이다.] == 감독 은퇴 이후 == 감독으로서 은퇴한 후 다시 미국으로 떠나게 됐다. 한 때 전창진 감독이 2010-2011 시즌 [[부산 kt 소닉붐]]의 창단 첫 정규리그 우승 이후 한국에서 만나기도 했다. 2014-2015 시즌 미국에서 KBL 외국인 트라이아웃 때 할아버지의 모습으로 등장하셨다. == 관련 문서 == * [[농구 관련 인물(한국)]]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농구 선수]][[분류:대한민국의 농구 감독]][[분류:1946년 출생]][[분류:1974년 은퇴]][[분류:센터(농구)]][[분류:제물포고등학교 출신]][[분류:연세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참가 선수]][[분류:1968 멕시코시티 올림픽 참가 선수]] [include(틀:포크됨2, title=최종규(농구), d=2022-07-15 03:07: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