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1895년 출생]][[분류:1950년 사망]][[분류:강릉 최씨]][[분류:울진군 출신 인물]][[분류:대통령표창(독립유공자)]] || 성명 ||최중모(崔重模) || || 자 ||도연(度然) || || 본관 ||[[강릉 최씨]][* 족보명은 최중권(崔重權).] || || 생몰 ||[[1895년]] [[5월 1일]][* 1901년 5월 16일 태어났다는 기록도 있다.[[http://uljin.grandculture.net/Contents?local=uljin&dataType=99&contents_id=GC01800706|#]]] ~ [[1950년]] [[5월 6일]] || || [[출생지]] ||[[강원도]] [[강릉시|강릉부]] 울진군 원남면 최촌[br](현 [[경상북도]] [[울진군]] 매화면 매화리 최촌)[* [[강릉 최씨]] 집성촌이다. 독립유공자 [[최효대(1892)|최효대]]와 [[최황순]]도 이 마을 출신이다.] || || 추서 ||대통령표창 || [목차] == 개요 == 한국의 [[독립운동가]]. 1992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 생애 == 최중모는 1895년 5월 1일 강원도 강릉부 울진군 원남면 최촌(현 경상북도 울진군 매화면 매화리 최촌마을)에서 최익순(崔益淳)의 아들로 태어났다.[[http://uljin.grandculture.net/Contents?local=uljin&dataType=99&contents_id=GC01800706|#]] 만흥학교(晩興學校) 재학 중이던 1919년 4월 10일 밤, 그는 울진군 원남면의 진산(鎭山)이 남수산(嵐首山)에 태극기를 꽂고, 이튿날인 11일 원남면 장날에 [[남광호]]·[[최효대(1892)|최효대]]·최현탁(崔鉉卓)·윤병관(尹炳寬) 등과 같이 독립만세운동을 일으키기로 계획하였다. 거사일인 4월 11일 당일, [[남재량]] 등과 함께 매화리 장터에서 100여명의 군중을 모아 태극기를 흔들고 독립만세를 외치면서 시위행진을 벌이다가 체포되었다. 그해 4월 19일 대구지방법원 울진지청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및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징역 4개월형을 언도받고[[http://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2259&evntId=0034989235&evntdowngbn=Y&indpnId=0000020415&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에는 조용히 지내다가 [[8.15 광복]]을 맞았으며, 1950년 5월 6일 별세하였다. 1992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