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최지민)] [목차] == 개요 == [[KIA 타이거즈]] 소속 좌완 투수 [[최지민]]의 선수 경력을 모아 놓은 문서. == [[최지민/선수 경력/아마추어 시절|아마추어 시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최지민/선수 경력/아마추어 시절)] == [[KIA 타이거즈]] == === [[최지민/선수 경력/2022년|2022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004612314_001_20220511200806209.jpg|width=100%]]}}} || || '''[[최지민/선수 경력/2022년|{{{#white 최지민/선수 경력/2022년}}}]]''' || ==== [[질롱 코리아]] 22~23시즌 ==== 시즌이 끝난 이후 팀 동료인 [[김규성]] , [[김석환(야구선수)|김석환]]과 함께 [[질롱 코리아]]에 가게 되었다. 배번은 [[KIA 타이거즈|KIA]]에서 쓰던 39번. 11월 12일, [[멜버른 에이시스]]와의 원정 경기에 등판해 1이닝 1K 무실점을 기록했다. 11월 18일, [[애들레이드 자이언츠]]와의 홈 경기에 등판해 1이닝 1K 무실점을 기록했다. 11월 20일, [[애들레이드 자이언츠]]와의 홈 경기에 등판해 1이닝 1피안타 1사구 2K 무실점을 기록했다. 11월 25일, [[퍼스 히트]]와의 홈 경기에 등판해 1이닝 1K 무실점으로 시즌 첫 세이브를 기록했다. 11월 27일, [[퍼스 히트]]와의 홈 경기에 등판해 1이닝 1피안타 무실점을 기록했다. 12월 1일, [[캔버라 캐벌리]]와의 원정 경기에 등판해 2이닝 1피안타 1볼넷 4K 3실점(비자책)을 기록했다. 12월 4일, [[캔버라 캐벌리]]와의 원정 경기에 등판해 1이닝 1피안타 1사구 3K 무실점을 기록했다. 12월 10일, [[브리즈번 밴디츠]]와의 원정 경기 더블헤더 1차전에 등판해 1이닝 3피안타 1사구 1실점을 기록했다. 12월 16일, [[멜버른 에이시스]]와의 홈 경기에 등판해 1이닝 2피안타 1사구 1K 1실점(비자책)으로 시즌 두번째 세이브를 기록했다. 12월 31일, [[시드니 블루삭스]]와의 홈 경기에 등판해 1⅓이닝 2피안타 2K 무실점을 시즌 첫 홀드를 기록했다. 1월 1일, [[시드니 블루삭스]]와의 홈 경기에 등판해 1이닝 1피안타 무실점으로 시즌 두번째 홀드를 기록했다. 1월 7일, [[퍼스 히트]]와의 원정 경기 더블헤더 2차전에 등판해 1이닝 2볼넷 무실점을 기록했다. 1월 8일, [[퍼스 히트]]와의 원정 경기에 등판해 1이닝 1피안타 2볼넷 1사구 1K 2보크 2실점을 기록했다. 1월 13일, [[오클랜드 투아타라]]와의 홈 경기에 등판해 1이닝 3볼넷 1K 무실점으로 시즌 세번째 홀드를 기록했다. 1월 14일, [[오클랜드 투아타라]]와의 홈 경기에 등판해 1이닝 2피안타 1K 무실점을 기록했다. 1월 20일, [[애들레이드 자이언츠]]와의 원정 경기에 등판해 1이닝 무실점을 기록했다. 1월 22일, [[애들레이드 자이언츠]]와의 원정 경기에 등판해 1이닝 3피안타 1K 2실점(비자책)을 기록했다. 최종 17경기 18⅓이닝 3홀드 2세이브 8볼넷 19K 9실점(3자책) ERA 1.47을 기록하며 필승조로 활약해 좋은 모습으로 정규시즌을 기약했다. === [[최지민/선수 경력/2023년|2023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최지민 2023.jpg|width=100%]]}}} || || '''[[최지민/선수 경력/2023년|{{{#white 최지민/선수 경력/2023년}}}]]''' || '''타이거즈의 필승조를 뛰어넘어 KBO의 대표 필승조로 각성한 시즌''' == 국가대표 경력 == === ~~[[대한민국 U-18 야구 국가대표팀/2021|WBSC U-18 야구 월드컵]]~~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대지민.jpg|width=100%]]}}} || [[미국]] [[플로리다]] 브랜든턴에 열리는 제30회 WBSC U-18 야구 월드컵에 국가대표로 선발되었지만 코로나로 인하여 대회가 2022년으로 미뤄지며 국가대표로 나서진 못 하게 되었지만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에서는 [[대한민국 U-23 야구 국가대표팀|U-23 국가대표]]와 연습경기를 주선했고 플로리다에는 가지 못 했지만 자그만한 추억을 만들었다.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최지민국대.png|width=100%]]}}} || ||<-1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F 5%, #1E2776 10%, #A01E20 25%, #00022e 25%)"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로고 2.svg|width=7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022e 75%, #A01E20 75%, #1E2776 90%, #FFF 95%)" }}} || || '''경기''' || '''승''' || '''패''' || '''세이브''' || '''홀드''' || '''ERA''' || '''탈삼진''' || '''승률''' || '''이닝 '''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투구수''' || || || || || || || || || || || || || || || || [[KIA 타이거즈|같은 팀]]의 [[최원준(1997)|최원준]]과 함께 엔트리에 들었다. 첫 성인 국가대표이다. 10월 1일, [[류중일호/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홍콩전|조별리그 1차전]]인 [[홍콩 야구 국가대표팀|홍콩]]과의 경기에서 6회초 석점 앞선 상황에 등판해 9구만을 던지며 1이닝 2K 무실점을 기록, 기록원 재량에 의해 승리 투수가 되었다.[* 선발 투수 [[원태인]]이 팀이 리드하고 있는 상황에서 4이닝만 채우고 내려왔기에 경기 기록원의 판단에 따라 그 경기에서 가장 효과적인 투구를 한 구원 투수에게 승리를 부여하는데 최지민을 선정한 것이다.] 10월 2일, [[류중일호/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대만전|조별리그 2차전]]인 [[대만 야구 국가대표팀|대만]]과의 경기에서 5회말 2점차 뒤져있는 2사 만루 상황에 등판해 4번타자 린안커를 1루수 땅볼 아웃으로 처리해 위기를 넘겼다. 6회에도 등판해 볼넷과 1루타를 허용하며 무사 1, 2루가 됐지만 이후 두 타자는 땅볼 아웃으로 잡아내며 20구를 던진 후 2사 2, 3루 상황에서 교체되었다. 다음 투수 [[박영현]]이 삼구삼진으로 막아내며 1이닝 1피안타 1볼넷 무실점을 기록했다. 리그에서도 만루에서 약한 본인이 국제대회에서 그것도 당일 최고의 활약을 보이던 4번 린안커[* 첫타석 1타점 3루타(결승타),두번째 타석 안타]를 땅볼로 막았다는 점이 굉장한 부분이다. 팀은 대만의 투수진에 완전히 묶여버리며 4대0 영봉패.[* 결과와는 별개로 대만전에선 윤동희를 포함한 [[2003년생]] 선수들의 활약이 돋보였는데, 선발로 등판해 4이닝 2실점을 기록한 [[문동주]], 1이닝 무실점을 기록한 [[최지민]], 12개의 공으로 1.1이닝 무실점을 기록한 [[박영현]], 3안타의 [[윤동희]] 등 2003년생들이 고군분투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분류:야구선수/커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