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이인, rd1=최지훈(동명이인))] [include(틀:SSG 랜더스/간략(외야수))] ||
'''{{{#fff 최지훈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최지훈)] ---- [include(틀:최지훈의 역대 프로필 사진)] ---- ||
'''{{{#fff 최지훈의 수상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SSG 랜더스 우승 엠블럼 V5.svg|height=70]][br]'''KBO 리그 한국시리즈[br]우승반지''' || || '''[[2022년 한국시리즈|{{{#fff 2022}}}]]''' || ---- ||
[[파일: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로고.svg|width=auto&height=70]][br]'''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종목[br]{{{#d4af37 금메달}}}''' || || '''[[류중일호/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fff 2022}}}]]''' || ---- ||
[[파일:2023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로고.svg|width=auto&height=70]][br]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8c8c8c 준우승}}}''' || || '''[[류중일호/2023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fff 2023}}}]]''' || ---- ||
[[파일:PLAYERS_CHOICE_AWARDS_LOGO_1.png|width=65]] '''2021 [[플레이어스 초이스 어워드#s-2.8|마구마구 플레이어스 초이스 어워드]] 리얼글러브 외야수''' || ---- || [[파일:조아제약 프로야구대상.jpg|width=55]] '''2022 [[조아제약 프로야구대상]] 수비상''' || ---- ||
[[파일:리얼글러브 어워드 로고.png|width=50]] '''2022 [[리얼글러브 어워드#s-2.2.1|마구마구 리얼글러브 어워드]] 리얼글러브 외야수''' || ---- ||
[[파일:스포츠서울.png|width=100]] '''2022 [[매직글러브#s-2|프로야구 스포츠서울 올해의 상]] 올해의 수비''' || }}} || ---- ||
'''{{{#fff 최지훈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 [[SK 와이번스|{{{#fff SK 와이번스}}}]] / [[SSG 랜더스|{{{#fff SSG 랜더스}}}]] 등번호 54번}}}''' || || [[하성진]][br](2018~2019) || {{{+1 →}}} || '''{{{#fff 최지훈[br](2020~)}}}''' || {{{+1 →}}} || 현역 || }}} || ---- ||
'''{{{#fff 최지훈의 소속}}}'''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브리온컴퍼니 소속 운동선수)] }}} || ---- ||<#00022e> '''{{{#fff A대표팀 참가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이강철호/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엔트리)] ---- [include(틀:류중일호/2022 아시안 게임 엔트리)] ---- [include(틀:류중일호/2023 APBC 엔트리)]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최지훈 2023 프로필.png|width=100%]]}}} || |||| ||<-2> '''SSG 랜더스 No.54''' || ||<-2> '''{{{+2 최지훈}}}[br]崔智訓[* 훈음은 지혜로울 __지__, 가르칠 __훈__. "지혜로움을 가르쳐라" 라는 의미인 것 같다고 [[SSG랜더스(유튜브 채널)|쓱튜브]] 본인등판 1편에서 밝혔다. [[https://youtu.be/5dlxg87wl1s|#]]] | Choi Jihoon''' || ||<|2> '''출생''' ||[[1997년]] [[7월 23일]] ([age(1997-07-23)]세) || ||[[광주광역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광주수창초등학교|광주수창초]] - [[무등중학교|무등중]] - [[광주제일고등학교 야구부|광주제일고]] - [[동국대학교 야구부|동국대]] || || '''신체''' ||178cm, 82kg[* 아시안게임 당시 중국 음식이 입에 맞지 않아, 2023년 11월 21일을 기준으로 76kg까지 감소했다고 한다.], 260mm[* 255mm까지도 신을 수 있다고 한다.], [[O형]] || ||<|2> '''포지션''' ||'''주 포지션'''[br]'''[[중견수]]''' || ||'''서브 포지션'''[br][[좌익수]], [[우익수]][* [[김강민]]이 [[중견수]]로 출장할 경우 좌익수나 우익수를 본다.] || || '''투타''' ||[[우투좌타]][* 초등학생 시절 야구를 시작하려 테스트를 보는데 감독님이 달리기를 보고는 왼손으로 치라 하여 자연스럽게 좌타로 전향하게 되었다고 한다. 즉, 원래는 오른손잡이이지만 타격만 좌타로 하는 경우다.] || || '''프로입단''' ||[[KBO 리그/2020년/신인드래프트#s-3.2|2020년 2차 3라운드]] (전체 30번, [[SK 와이번스|SK]]) || || '''소속팀''' ||'''[[SK 와이번스]]-[[SSG 랜더스]] (2020~)''' || || '''국가대표'''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BSC U-23 야구 월드컵]] 1회 {{{-2 (2018)}}}[br][[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1회 {{{-2 (2023)}}}[br][[아시안 게임]] 1회 {{{-2 (2023)}}}[br][[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1회 {{{-2 (2023)}}}}}} || || '''병역''' ||[[예술체육요원]][br]{{{-2 ([[류중일호/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야구 부문)}}} || || '''연봉''' ||3억원 (100%↑, 2023년) || || '''등장곡''' ||'''[[가호(가수)|가호]] - 《[[시작(가호)|시작]]》 (2022~)'''[* I can fly the sky (워!) Never gonna stay (워!) 내가 지쳐 쓰러질 때까지 (최! 지! 훈!) 어떤 이유도 (워!) 어떤 변명도 (워!) 지금 내겐 용기가 필요해 (최! 지! 훈!)]|| || '''응원가''' ||'''CCM 《주 예수 사랑 기쁨》 (2020~)'''[* '''최지훈 안타~ 최지훈 안타~ 오오 오 오오오~ 최지훈 안타~ 최지훈 안타~ 랜더스의 승리 위하여~'''(x2)][* 응원가 중에서 흔치 않게 CCM에서 음을 따왔다. 같은 팀 [[최준우]]와 [[오태곤]]의 응원가도 원곡이 CCM이다. 타팀까지 한정하면 [[롯데 자이언츠]] 소속 [[고승민]]도 CCM 응원가이다.] || || '''소속사''' ||브리온컴퍼니[* 2022년 3월 30일부로 리코스포츠에서 이적하였다.] || || '''웹사이트''' ||[[http://www.ssglanders.com/players/533|[[파일:SSG 랜더스 심볼.svg|width=25]]]] || ||<-2><^|1>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가족''' ||부모님, 여동생[* [[김창평]]과 친구 사이라고 밝혔다.] || || '''본관''' ||[[경주 최씨]][* 쓱튜브 본인등판 1편에서 밝혔다. [[https://youtu.be/5dlxg87wl1s|#]]] || || '''종교''' ||[[무종교]] || || '''MBTI''' ||[[ESTJ]]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나무위키:편집지침/특정 분야/문화예술: 문화예술인 문서의 개요 및 평가 문단에서 볼드체, 밑줄과 같은 강조 표현 사용을 예외 없이 금지합니다. 문화예술인 문서의 개요 문단에서 서열을 나누는 서술을 금지합니다. 이는 문화예술인 개인의 문서와 문화예술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스포츠 팀, 구단, 크루 등)에 모두 적용됩니다.## [[SSG 랜더스]] 소속 우투좌타 [[외야수]]. [[김강민]]의 뒤를 잇는 차세대 프랜차이즈 외야수로 주 포지션은 [[중견수]]지만 상황에 따라 [[좌익수]], [[우익수]]까지 모두 소화가 가능한 멀티 외야수다. == [[최지훈/선수 경력|선수 경력]] == [include(틀:최지훈의 선수 경력)] === 수상 내역 === ||<-2> [br]{{{#!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svg|width=300]]}}}[br] || ||<-2><#002461> '''{{{#fff 최지훈의 KBO 수상 경력}}}''' || || [[최지훈/선수 경력/2020년|'''2020''']] ||<|2> 수상 기록 없음 || || [[최지훈/선수 경력/2021년|'''2021''']] || || [[최지훈/선수 경력/2022년|'''2022''']] || [[2022년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 우승''']] / '''페넌트레이스 우승''' / 드림 올스타^^(감독추천)^^ || || [[최지훈/선수 경력/2023년|'''2023''']] || 수상 기록 없음 || ---- ||<-2> [br]{{{#!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 2.svg|width=200]]}}}[br] || ||<-2><#00022e> '''{{{#fff 최지훈의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수상 경력}}}''' || || [[최지훈/선수 경력#s-4.3|'''2023''']]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금메달''' || || [[최지훈/선수 경력#s-4.4|'''2023''']] || 2023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준우승 || ---- ||<-2><#002461> '''{{{#fff 최지훈의 기타 수상 경력}}}''' || || [[최지훈/선수 경력/2021년|'''2021''']] || 2021 [[플레이어스 초이스 어워드#s-2.8|마구마구 플레이어스 초이스 어워드]] 리얼글러브 외야수 || || [[최지훈/선수 경력/2022년|'''2022''']] || 2022 [[조아제약 프로야구대상]] 수비상 / 2022 [[리얼글러브 어워드#s-2.2.1|마구마구 리얼글러브 어워드]] 리얼글러브 외야수 / 2022 [[매직글러브#s-2|프로야구 스포츠서울 올해의 상]] 올해의 수비 || == [[최지훈/플레이 스타일|플레이 스타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최지훈/플레이 스타일)] == 별명 == * [[쓱튜브]]에 업로드 된 [[https://youtu.be/oVhy0XFeFdI|팀 내 나의 별명은?]]에서 아직 별명이 없다고 했다. 학창 시절에는 빠른 또라이, 줄여서 빠또가 별명이었다고 한다. [[김강민]]이 [[김경호(야구선수)|김경호]][* 김경호는 개뼈]와 함께 지어준 별명은 말뼈라고 한다. * [[https://youtu.be/yWHWctBYII8|쓱튜브 본인등판]]에서 밝힌 바로는 아기짐승, 짱지훈이라는 별명이 마음에 든다고 한다. * 이제는 [[김강민]]과 완벽 호수비 콤보로 짐승강민을 잇는 ‘'''아기짐승'''’ , ‘대졸슈퍼루키’라는 별명을 갖고 있고 김강민의 뒤를 잇는 수비력과 덕아웃 분위기메이커 역할을 아주 잘 해내고 있으며 공격력에서도 [[KBO 리그]]에서 상위권 성적을 기록할 정도로 뛰어난 모습을 보여주며 공수주 모두 갖춘 풀 스탯 외야수로서 활약하고 있다. * [[SSG 랜더스 갤러리]]에서는 지게훈이나 뉴지게라는 별명으로 불린다.[* 뜻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하나는 지훈게이에서 순서를 바꿔 지게훈이->지게훈이고, 다른 하나는 [[김강민]]의 별명인 지게에서 따와 리틀 지게의 의미로 쓰인다. 여기서 파생된 게 뉴지게.] 부진에 빠질 때는 뉴동화, 럭키조동화로 불리기도 하고 타팀 팬들, 특히 롯데 팬들은 또 김강민 같은 로나쌩 중견수[* 롯데 상대로 홈런성 타구만 두 번을 건져냈으며, 김강민 못지 않게 공격에서도 결정적인 장면 역시 많이 만들어냈다.]가 나왔다며 뉴강민, 뉴짐승, 젊강민,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giants_new2&no=9847431|자연재해]](...) 등으로 부른다. * 안타지우개, 홈런지우개. 안타 다이빙캐치 호수비는 말할 것도 없고, 2021년 7월 4일 롯데전에서 [[한동희]]의 홈런을 지우고 얻은 별명. * 함께 팀에 없어서는 안 될 선수로 거듭난 [[박성한]]과 엮여 '''후니하니''', '''독기광기'''라 불리고 있다. * 2023 WBC 국가대표에 대체선수로 발탁된 뒤로는 히든카드의 의미로 "최히든", "히든이"라고 불리는 듯하다. * '인간힐링이'라는 별명이 있다. 홈런을 치고 온 선수들을 안아주는 그의 행동을 이야기하는데, 2023년도에 들어서며 후배들이 많이 생기자 이런 홈런 세레머니를 해주지 않는 것에 대해 팬들이 서운해하고 있다. == [[최지훈/여담|여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최지훈/여담)]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 [[광주제일고등학교 야구부]] * [[동국대학교 야구부]] * [[SK 와이번스/선수단]] * [[SSG 랜더스/선수단]] [각주] [[분류:최지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