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top1=최호선(프로게이머))] [목차] == 개요 ==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최호선의 2011년 경기 내용을 정리하였다. == 내용 == 1월 8일 위너스리그 개막전에서는 정명훈이 패하고 [[이영호|끝판왕]]이 나온 상태에서 출전했으나 배틀이 나오는 장기전 끝에 져버렸다. 경기가 길어짐에 따라 MSL에 못 가는게 아닌지 걱정되었으나 [* 그날 프로리그와 MSL 경기가 다 있었다] 다행히도(...) 그 전에 끝났다. 그나마 [[피디팝 MSL]] 16강 1세트에서 ~~T1테란의 비보~~'''삼연벙''' (정확히는 4연벙)을 시도하며 김윤환의 러커 러쉬를 막고 승리했다. 하지만 15일에 열린 2,3세트에서 '''컴퓨터만도 못한''' [[사이언스 베슬]] 살리기를 보여주면서 [[김윤환]]에게 탈락하고 MSL에게는 '''무테란 8강'''이라는 괴상한 상황에 처하게 만듬으로써 대차게 까이는중(...) 3월 26일에는 10-11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준플레이오프전에서 하이트의 [[신상문]]을 상대로 출전해 이겼다. 그러나 뒤이어 나온 [[신동원]]의 드롭 공격에 말리면서 패배. 테란을 이기고 저그에게 지는게 왠지 T1판 [[조병세(프로게이머)|조병세]] 같다(...) 3월 29일 열린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9조 1세트에서 [[조일장]]을 이기고 승자전에서 [[김기현(프로게이머)|김기현]]에게 패한 후 최종전에서 [[조일장]]에게 복수를 당하여 탈락하였다. 4월 2일, [[화승 OZ]]와의 위너스리그 플레이오프전에서 또 선봉으로 출전, [[박준오]]와 [[백동준]]을 잡아내며 2킬 기록, 기대 이상[* 준플레이오프 인터뷰에서 "1세트만 노리고 나왔다"라고 말했었는데, 이번에도 마찬가지였다고 한다.]의 활약을 보이며 팀의 승리에 큰 기여를 했다. 3세트에 [[김태균(프로게이머)|김태균]]에게 어처구니없이 패배하긴 했지만...... 6월 17일에 열린 마이 스타리그 프로-암 예선전에서 [[박재영(프로게이머)|박재영]]에게 0:2로 패하여 탈락했다. 6월 30일에 열린 MSL 서바이버 예선에서 유성엽[* [[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kt 롤스터]] 소속 [[저그]] 게이머.]을 2:0, [[주영달]]을 2:1로 이기고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7월 14일, [[2011 MSL 시즌 2|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4조 경기에서 [[이경민(프로게이머)|이경민]]을 2팩 조이기로 잡아냈고, 승자전에서도 [[김준호(프로게이머)|김준호]]를 잡아내며 2연승으로 MSL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하지만 [[MBC GAME]]이 없어지며 [[MSL]]도 자연스럽게 폐지되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최호선,version=363)] [[분류:최호선(프로게이머)/커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