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前 스타크래프트 1, 2 프로게이머}}}''' || ||<-2> '''{{{#white 現 아프리카TV BJ}}}'''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7a556b996372190d15c2aac4c2787641316dd6d34b22332acc3aeba2040c7228.png|width=100%]]}}} || || {{{#ffffff '''닉네임'''}}} ||호선킹|| || {{{#ffffff '''이름'''}}} ||최호선|| || {{{#ffffff '''로마자이름'''}}} ||Choi Ho Sun|| || {{{#ffffff '''생년월일'''}}} ||[[1990년]] [[2월 28일]] ([age(1990-02-28)]세)|| || {{{#ffffff '''거주지'''}}} ||[[경기도]] [[안양시]][* 절친 김택용처럼 본적이 [[충청남도]] [[예산군|예산]]이다.]|| || {{{#ffffff '''신체'''}}} ||183cm 112kg|| || {{{#ffffff '''학력'''}}} ||[[두원공과대학교]] 작업치료과|| || {{{#ffffff '''혈액형'''}}} ||A형|| || {{{#ffffff '''종족'''}}} ||[[테란]]|| || {{{#ffffff '''데뷔'''}}} ||2007년 Game-i 입단|| || {{{#ffffff '''ID'''}}} ||'''sSak'''|| || {{{#ffffff '''누적 상금'''}}} ||$30,422 USD (₩34,313,064)[* [[http://www.esportsearnings.com/players/2239-ssak-choi-ho-seon|sSak]] 총누적 상금.]|| || {{{#ffffff '''병역'''}}} ||[[사회복무요원]] '''소집해제'''[br](2018.2.1~2019.12.27)|| || {{{#ffffff '''소속'''}}} ||[[SKT T1/스타크래프트|SKT T1]]|| || {{{#ffffff '''별명'''}}} ||호선킹, 호링클, 취호선|| || {{{#ffffff '''링크'''}}} ||[[http://afreecatv.com/ghtjs3833|[[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width=25]]]]|| [목차] [clearfix] == 기록 == ||<-5> '''{{{#white 우승 기록 }}}''' || ||<-5>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 ||<-5> [[제10차 스베누 스타리그]] 우승자[br]( 우승 상금 : '''2,000만원''' ) || || [[제9차 픽스 소닉 스타리그]] [br] [[김택용]] || → || '''최호선''' || → || 스베누 제11차 [[소닉 스타리그]] [br] [[조일장]] || === 개인 리그 === * 2007년 제34회 커리지 매치 입상 * 2010년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 2]] 36강 * 2011년 [[피디팝 MSL]] 2010 16강 * 2013년 제8차 아이템베이 [[소닉 스타리그]] 3위 * 2014년 제9차 픽스 [[소닉 스타리그]] 16강 * 2015년 [[제10차 스베누 스타리그]] '''우승''' (vs. [[김성현(프로게이머)|김성현]] 3:2) (우승 상금: '''2,000만원''') * 2015년 [[제11차 스베누 스타리그 시즌2]] 16강 * 2015년 [[VANT36.5 대국민 스타리그]] 16강 * 2016년 [[아프리카TV 스타리그]] 8강 (vs. [[조기석]] 1:3) * 2017년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2]] 예선 탈락 * 2017년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3]] 8강 (vs. [[김택용]] 2:3) * 2017년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4]] 16강 * 2020년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9]] 예선 탈락 * 2020년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0]] 24강[* 1경기에서 [[김민철(프로게이머)|김민철]]에게 패, 패자전에서 [[윤진규]]에게 패하며 탈락.] * 2021년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1]] 24강[* 2경기에서 [[김윤중(프로게이머)|김윤중]]에게 패, 패자전에서 유승곤에게 승, 최종전에서 [[김윤중(프로게이머)|김윤중]]에게 패하며 탈락.] * 2021년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2]] 24강[* 2경기에서 [[윤용태]]에게 패, 패자전에서 [[배병우]]에게 패하며 탈락.] * 2022년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3]] 24강[* 2경기에서 [[정영재]]에게 패, 패자전에서 [[홍덕]]에게 승, 최종전에서 [[박상현(1995)|박상현]]에게 패하며 탈락.] * 2022년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4]] 16강[* 1경기에서 [[김택용]]에게 패, 패자전에서 [[유영진(프로게이머)|유영진]]에게 패(0:2)하며 탈락.] * 2023년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5]] 16강[* 1경기에서 [[조일장]]에게 패, 패자전에서 [[김택용]]에게 패(0:2)하며 탈락.] * 2023년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6]] 예선 탈락[* 온라인 예선 1일차 3조 8강에서 [[인치호]]에게 1:2 패, 2일차 11조 결승에서 [[박준오]]에게 0:2 패하며 예선 탈락.] * 2024년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7]] 24강 === 전적 === ||<-4> '''{{{#ffffff 최호선의 스타1 양대 개인 리그 A매치 통산 전적}}}''' || || 방송사 || {{{#white 온게임넷 A매치 총 전적}}} || {{{#white MBC게임 A매치 총 전적}}} || '''양대 개인리그 합산 전적''' || || vs 테란 || 전적없음 || 2전 1승 1패 (50.0%) || 2전 1승 1패 (50.0%) || || vs 저그 || 2전 0승 2패 (0.0%) || 9전 5승 4패 (55.6%) || 11전 5승 6패 (45.5%) || || vs 프로토스 || 전적없음 || 2전 2승 0패 (100.0%) || 2전 2승 0패 (100.0%) || || 총 전적 || 2전 0승 2패 (0.0%) || 13전 8승 5패 (61.5%) || 15전 8승 7패 (53.3%) || === 팀 단위 리그 === * 2009년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2009 3차 2군 평가전 다승왕[* 공동 수상] * 2021년 [[아프리카TV 팀리그 시즌2]] 4위 (쏘크라테스 떡볶이)[* [[임홍규]], [[김택용]], [[박준오]], [[유진우]]와 한 팀.] * 2021년 [[NH농협카드 스타크래프트 BJ멸망전 시즌1]] '''우승''' (SKTX탄덕로로)[* [[김윤중(프로게이머)|김윤중]], [[변현제]], [[채광진|피글렛]], [[남덕선]], [[혜로로]]와 한 팀.] * 2021년 [[아프리카TV 팀리그 시즌3]] 6위 (카라리요)[* [[변현제]], [[김성대]], [[황병영]]과 한 팀.] == 소개 == [[파일:SKT 최호선.jpg]] [[대한민국]]의 前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前 [[SKT T1/스타크래프트|SKT T1]]의 [[테란]]. 2007년에 SKT T1 2회 연습생 선발전 1024강 1위를 했으며, 이를 계기로 [[드래프트/스타크래프트 시리즈#s-2.7|2008년 상반기 드래프트]]에서 팀의 3차 지명을 받아 정식으로 입단하였다. [[http://m.dailyesports.com/view.php?ud=200905271156060011068|링크]] 데뷔 후 꽤나 오랫동안 [[2군]]과 1군을 전전하며 벤치를 데우던 신세였다. 공식전 데뷔전은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가 다 끝나가던 2009년 7월 12일에 KT의 [[배병우]]를 상대로 치렀다. 결과는 패배. 문서를 읽어보면 알겠지만 [[최연성]], [[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KT]], SKT T1과 [[이영호]]가 발생시킨 떡밥 때문에 순식간에 네임드가 되어버린 인물. 스타일은 데뷔 초의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을 연상시키는 메카닉 위주의 플레이어이다. 특히 자신만의 스타일을 만들어낸 정명훈과는 달리 최연성을 그대로 답습한듯한 묵직한 메카닉 활용은 일품. 상대를 속여먹는 심리전 또한 계승했다. 그러나 바막이라는 한계 또한 답습해서(...) 최근의 정명훈처럼 바이오닉 활용을 늘리지 않는다면 [[테저전/스타크래프트|테저전]]에서 한계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 즉, 정명훈이 부딪힌 한계를 어떻게 극복해내느냐가 향후 미래를 결정하게 될 것이란 것. 이후 성장이 기대되는 게이머였다. 참고로 2011년 즈음 [[테테전/스타크래프트|테테전]] 경기에서 주로 사용하던 드랍쉽 운용에서 [[망령(스타크래프트 시리즈)|레이스]] 싸움으로 트렌드를 바꿨다. 드랍쉽 역시 공중 수송선이고 시즈탱크와 골리앗을 태워 한타 싸움과 멀티 돌려까기에는 기동성은 좋은 편이지만 처음부터 레이스를 모아 상대 지상병력과 일꾼들을 갉아먹고 후반에 스타포트를 확 늘리면서 레이스를 축척시킨 뒤 빠른 속도로 상대 건물[* 특히 업그레이드 중인 아머리를 타격하면 크게 이득을 볼 수 있다.]과 멀티를 빠르게 돌려까고 클로킹 상태로 상대의 지상 병력에 타격을 입히는 식으로 운영을 하는 방식의 플레이를 보여주었다. 같은 팀이였던 정명훈 선수도 말하길, 탱크+골리앗+드랍쉽 싸움이던 테테전 트렌드를 벌처+탱크+레이스로 바꾼 사람이 최호선이라고 한다. [[포스트시즌]] 성적이 상당히 좋다. [[신한은행 위너스 리그 10-11]] 준플레이오프에서 1승 1패, 플레이오프에서 2승 1패,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 1]]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 1/결승전|결승전]] 1패,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시즌 2]] 준플레이오프 1승, 플레이오프 1승까지 도합 5승 3패를 거두어 팀을 구해냈다. == 성적 == === [[/2010년|2010년]] === [include(틀:상세 내용,문서명=최호선(프로게이머)/2010년)] === [[/2011년|2011년]] === [include(틀:상세 내용,문서명=최호선(프로게이머)/2011년)] === [[/2012년|2012년]] === [include(틀:상세 내용,문서명=최호선(프로게이머)/2012년)] == 은퇴 == 결국 팀을 나왔는데, 마침 [[소닉 스타리그#s-2.3|제8차 아이템베이 소닉 스타리그]] 32강 C조에서 [[하늘#s-2.1.1]]이 [[Run#s-2]]을 시전해서 자리가 남던 상황. 빈 자리를 채우기 위해 최호선이 해당 조에 들어갔고, [[염보성]], 노재상을 꺾고 2연승으로 16강에 진출했다. 그리고 8강에서 지난 시즌 준우승자 ~~준우스운자~~ [[임홍규]]를 세트 스코어 3:1로 꺾으며 [[조일장]]과 함께 4강에 진출했다. 그러나 4강 상대는 전에 슈퍼매치 8강에서 자신을 삼대떡으로 압살한 [[박준오]][* [[http://blog.naver.com/vnq123?Redirect=Log&logNo=90166986593|사이트]].]였고, 결국 또 삼대떡으로 압살당했다(…). 2014년말에는 [[제10차 스베누 스타리그]]에 참가하여, 결승전에서 [[김성현(프로게이머)|김성현]]을 3:2로 꺾고 우승하였다. 결승전이 치러졌던 날짜가 2015년 2월 15일인데 이 항목은 무려 1달 가까이 전혀 갱신되지 않았다(...). [[스베누 스타리그 시즌2]]에서는 16강 재재경기 끝에 지난 시즌 우승자답지 않은 모습으로 아쉽게 탈락했다.[* 사실 지난 시즌 테란빨이였다는 당시 맵 선정도 있었지만, 동족전만 수차례 치른 최호선이 정작 이번 시즌 재경기 당시에는 무기력한 모습을 몇차례 보여줬다.] 현재 피쉬서버 래더랭킹 1위, 피쉬의 경우 BJ들이 래더랭킹 C부터 S 사이에 포진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byebye'라는 아이디가 최호선이며, 방송 컨셉 또한 S급 테란 최호선. 그러나 실력에 비해서 시청자가 적은게 지못미... 2015년 7월 31일 김택용과 서킷 브레이커에서 랜덤전을 했는데 최호선은 주종인 테란이 나왔고 김택용은 저그가 나왔다. 하지만 저글링 난입을 허용해서 발업도 안 된 저글링에게 마린이 도륙당하더니 결국 후반으로 가면서 경기를 져버렸다! 새벽 3시가 다 되던 시각에 꽤나 충격을 받았는 지 [[이등병의 편지]]를 틀어놓고 한참을 멍때리다가 아프리카 방송제목을 "취미 유저"로 바꾸는 장면 또한 백미. == BJ활동 == [[파일:최호선 아리연습중 술먹방.jpg]] 2017년 현재까지, 아프리카TV(개인방송 플랫폼)에서 스타크래프트 개인 방송을 한다. 술먹방이 주 컨텐츠라는 말이 있을정도로 술을 잘 먹는다. [[새콤달콤]] 안주로 소주 5병을 비웠다는 무용담이 커뮤니티에서 전설처럼 회자된다. 2017년에 열린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3]]에서는 16강에서 저그에게 다소 유리한 맵이었던 [[안드로메다(스타크래프트)|안드로메다]]에서 [[이제동]]을 꺾고, 승자전에서는 최근 기세가 좋은 [[김성현(프로게이머)|김성현]]을 연파하며 8강에 진출했다. 8강에서는 과거 같은 SK텔레콤 T1 소속이었던 [[김택용]]과 맞붙어 접전 끝에 2:3으로 패배하였다. 아프리카TV로 넘어와 오프리그에서 우승하는 등, 꾸준한 테란 강자 자리를 유지하였고 온라인 스폰빵 성적도 좋아 이영호 다음 가는 테란에 손꼽힌 적도 있었다. 이 소식을 전해들은 전 SK텔레콤 최연성 감독은, "그 쫄보가?"하며 신기해했다. 2018년 2월 1일 [[사회복무요원]]으로 기초 군사 훈련에 입소했다. 2019년 12월 27일부로 소집 해제되면서 다시 BJ로 복귀하였다. 2020년 11월 김택용의 픽업으로 [[멸망전 스타크래프트 2020 시즌 2]]에 참가하게 되었다. [[랜딩(인터넷 방송인)|랜딩]][* 랜딩은 89E스포츠 이후 계속해서 조커티어 최강자였다], [[라박이]], [[송병구]], [[김택용]], [[남덕선]]과 팀이 되었다. 일단 본인, 랜딩, 라박이부터 정치력이 있으며 [[김택용|기모딱]]은 뭐... 송병구, 남덕선은 앞의 사람들보다 말이 많은건 아니지만 할 말은 하는 성격이며, 디스코드 조화가 아주... 잦은 음주+잠수로 문제되었지만 8강에서 팀플에서의 적절한 지령과 아이디어, 개인전에서 드랍십의 절묘한 찌르기로 모두 이겼고 팀도 4강으로 올라서 그날의 MVP가 되었다. 4강에서는 팀플도 무난히 이겼고 철구와의 경기도 선엔베 빌드로 무난히 이겼으나 마패를 박아버려서 경기직후 철빡이에게 시달렸다. 팀은 4:2로 이겨서 결승전에 가게 되었다. 팀밀리 오더를 적절히 내려서 팀을 결승까지 가는데도 공헌했고, 결승에서도 빛을 발하였다. 랜딩, 남덕선이 보혜, 하얀눈길 쪽 본진을 엘리시켰으며 김택용, 최호선네도 이영호, 전태양네 언덕을 장악하여 팀밀리 전승으로 승리를 얻었다. 개인전에서도 처음에는 자신은 팩더블을 가고 전태양은 투팩 벌처로 출발했다. 전태양이 타이밍 러시로 초반에 최호선에게 타격을 주어 인구수가 앞서 나갔으나 최호선의 이후 빠른 확장, 업그레이드 및 넓은 시야확보로 따라잡았고 전태양의 본진을 급습하여 날리면서 앞서나갔다. 전태양도 모아놓은 자원으로 역전의 기회를 만드려 했으나 최호선은 몰아붙여서 gg를 받아내었다. 이번 멸망전에서 본인은 개인전이든 팀플이든 전승을 하게 되었고 팀도 결승에서 4:2로 우승하게 되었다. 본인은 멸망전 첫 출전 우승인건 덤. 2021년 1월 ASTL 시즌2 의 [[임홍규|임홍규]]팀 2차지명 선수로 참가하게되었다. 임홍규의 팀은 소크라테스 떡볶이가 스폰서로, 팀 멤버는 [[임홍규]], [[김택용]], [[최호선]], [[박준오]], [[유진우]]이다. 1월 17일 개막전, 최호선은 4경기에 출전 예정이었으니 팀이 0:3 패배하며 출전하지 못했다. 경기 종료 직후, 예정 상대였던 [[정영재]]와 단판 스폰매치를 해 승리를 거두고 [[1승만 하라고|"1승만 해 이 양반들아~"]] 라며 농담하기도 했다. 2021년 6월 김윤중의 픽업으로 [[멸망전 스타크래프트 2021 시즌 1]]에 참가하게 되었다. 다른 팀원은 변현제, 채광진, 남덕선, 혜로로. 4강서 박준오에게 졌지만, 8강 한두열, 결승전 임진묵을 꺾었고 소속 팀인 SKTX탄덕로로가 우승하며 잭티어 신설 후 최초로 해당티어 2회 연속 우승을 했다. 2021년 8월에 열린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2|ASL 시즌12]] 2일차 예선에서 [[박준오]]를 꺾고 ASL 본선에 이름을 올렸고, [[도재욱]], [[배병우]], [[윤용태]]와 함께 B조에 포함되었다. 하지만 24강에서는 [[윤용태]]와 [[배병우]]에게 차례로 패하며 세 시즌 연속으로 24강에서 탈락했다. 2021년 12월에 열린 ASTL S3에 참가했다. 이번엔 변현제의 카라리요에 김성대, 황병영과 같이 합류했지만 지난 시즌보다도 처참하게 본인은 대회 출전 선수 중 가장 나쁜 5전 전패를 찍었고 팀도 꼴지로 마감했다. 거기에 같은 SKT 출신 테란인 정영재가 리그 1위, 김지성이 결승전 올킬을 달성해서 더 비교가 된 것도 문제. 꽤나 호탕하고 재밌는 성격으로, 동료 BJ들이 좋아하는 편이라고 한다. 방송도중 여자를 밝히는 모습을 보이나 BJ들 발언에 의하면 이는 방송멘트고 실제로는 쑥맥이라고 한다. --뭐야? 방송감..-- 스타대학교 활동은 이재호, 전상욱이 떠난 JSA서 교수를 했는데, 철감봉남 스타대학대전에서 NSU와의 단두대 매치 당시 담당인 만다에게 생더블을 지시했다가 박나닝의 9발링에 아작나면서 멍석 말이를 당했다. 친선전서 생더블 후 5팩 골리앗으로 이긴 전적이 있다고 시전했다가 잭티어 교수인 서문지훈, 방태수도 아닌 7티어 남순한테 개박살났다고 떡참배의 임진묵이 재평가 될 정도. ASL S15서는 패자전서 구성훈, 최종전서 변현제(!)를 잡고 16강에 진출했다. == 플레이 스타일 == 컨트롤, 생산, 최적화 모두 평범하지만 특유의 프리스타일 운영으로 꾸준히 상위권에 이름을 올리는 테란이다. 상대 종족을 불문하고 스타포트까지 생산건물을 다 올려놓은 뒤 필요한대로 유닛을 뽑아서 싸운다. 다시 말해 짬뽕 테란(...). 기본 스타일이 이렇다보니 똥게임을 자주 하고 또 잘 한다. '저그는 정석이 없고 테란은 사파가 없다'는 말을 무색케 할 정도로 사파 테란 그 자체. 다만 배럭, 팩토리, 스타포트를 다 올린다 뿐이지 2018년 등장한 이영호식 111과는 차이가 크다. 이영호식 111은 최적화된 다음 빌드로 넘어가기 위한 포석이라면, 최호선은 그냥 이 생산건물에서 꼴리는 대로 뽑는다(...). 이영호 본인도 "호선이 형의 111과 내 111은 아예 다르다"고 언급했다. == 관련 항목 == [include(틀:INSung)] [include(틀:JSA)] [각주] [[분류:최호선(프로게이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