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한민국의 축구선수]][[분류:대한민국의 축구선수]][[분류:북한의 축구선수]][[분류:일본의 축구선수]][[분류:재일교포]] [목차] == 개요 == 재일교포 출신 축구선수들을 따로 정리해 놓은 문서. 재일교포 축구선수들은 크게 [[대한민국]] 국적, 혹은 [[북한]] 국적을 선택하여 활동하며 드물게 [[조선적]]을 유지하고 있는 사실상의 [[무국적]] 상태의 선수들도 있다. 야구와는 다르게 일본식 [[통명]]이 없으나, [[일본]]으로 귀화하는 경우도 있다. 다만 각국 대표팀에 소집되는 경우가 아닌 한 실제 국적, 특히 조선적 여부는 정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일본은 북한 국적을 인정하지 않는 데다 조선적이 본인의 정체성과 결부된 것이다 보니 구별이 썩 명확하지는 않다. 아래에 북한 국적으로 기재된 사람들도 '''한국 및 일본의 행정상으로는 어디까지나 조선적'''이다. 한국 정부과 [[조총련]](북한 대리)은 재일교포에 대해 간첩 활동 등이 의심가는 경우가 아닌 한 큰 제약을 두지 않고 여행증명서를 발급하고 있는데, 극단적으로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상태로 북한 대표에 소집되어 양쪽의 여권을 들고 있는 [[정대세]]의 경우가 있다. 스스로를 조선적으로 인식하는 [[안영학]]도 [[http://www.yeonghag.info/k/faq.html|한국, 북한, 일본의 여행증명서를 모두 소지]]했다.] 이들은 과거 [[일본축구협회]] 선수 등록 규정에서 일본에서 태어나 의무교육을 이수한 선수들을 팀당 한 명씩 인정하는 쿼터가 있어 외국인 적용을 받지 않고 등록되는 경우가 많았다.[* 현재 일본어 위키피디아 등에서는 '재일 쿼터'(在日枠)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다만 JFA가 공식적으로 재일교포 쿼터라고 한 적은 없으며, 여기에는 브라질 출신자들도 많다.] 2019년에는 J리그에 외국인 쿼터 자체가 폐지되어 경기 엔트리 등록 쿼터([[J1리그]] 5명, [[J2리그|J2]]/[[J3리그|J3]] 4명)에만 구애를 받는다. 이들을 국적을 구별하지 않고 링크와 함께 간략한 설명을 넣어 정리하는 문서. 특히 K리그와 J리그에서 활약했던 재일교포 선수들은 따로 표를 통해서 정리한다. == 선수 목록 == === 현역 === ==== [[J리그]] 활약 선수 ==== ||<-6> '''{{{#ae000f,#c0bdbd J리그에서 뛰었던 재일교포 선수들}}}''' || || '''{{{#ae000f,#c0bdbd 이름 }}}''' || '''{{{#ae000f,#c0bdbd 포지션 }}}''' || '''{{{#ae000f,#c0bdbd J리그 경력 }}}''' || '''{{{#ae000f,#c0bdbd 성적 }}}''' || '''{{{#ae000f,#c0bdbd 국가대표팀 }}}''' || '''{{{#ae000f,#c0bdbd 비고 }}}''' || || [[량용기]] || MF || [[베갈타 센다이]] (2004~2019, 2022~) [br] [[사간 도스]] (2020~2021) || J1 297경기 29골 [br] J2 254경기 47골 || [[파일:북한 국기.svg|width=30]] 24경기 7골 || [* 북한 대표로 [[2011 AFC 아시안컵 카타르|2011]], [[2015 AFC 아시안컵 호주|2015]] 두 번의 아시안컵에 출전했다.] || || 김기수 || DF/MF || [[미토 홀리호크]] (2005~2007) || J2 40경기 2골 || 없음 || [* 후쿠시마 유나이티드로 2008년 이적해 2013년까지 팀을 지역 2부리그에서 JFL까지 끌어올린 멤버 중 한 명이다.] || || [[김정야]] || DF || [[감바 오사카]] (2011~2012, 2014~2017) [br] [[사간 도스]] (2013) [br] [[베갈타 센다이]] (2018~2020) [br] [[후지에다 MYFC]] (2021) || J1 119경기 4골 [br] J3 9경기 1골 || 없음 || [* 현재 자유계약 신분이다.] || || 김성기 || DF || [[세레소 오사카]] (2011~2013) [br] [[비셀 고베]] (2013) [br] [[미토 홀리호크]] (2014~2015) [br] [[FC 마치다 젤비아]] (2016~2017) [br] [[후지에다 MYFC]] (2018) || J1 2경기 [br] J2 87경기 3골 [br] J3 8경기 1골 || [[파일:북한 국기.svg|width=30]] 8경기 1골 || [* 2017 동아시안컵과 [[2019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 대회에 참여한 경력이 있다.][* 형 김영기 또한 축구선수로 J리그에서 활약했다.] || || [[안병준]] || FW || [[가와사키 프론탈레]] (2013~2015) [br] [[JEF 유나이티드 지바]] (2015) [br] [[츠에겐 가나자와]] (2016) [br] [[로아소 구마모토]] (2017~2018) || J1 7경기 1골 [br] J2 94경기 19골 || [[파일:북한 국기.svg|width=30]] 8경기 0골 || [* 북한 대표로써 2015, 2017 동아시안컵에 출전했고, 2017년에는 대한민국과 맞대결 때 출장하기도 했다.][* 북한 대표로 2007 FIFA U-17 월드컵에 참가해 대한민국 땅을 일찍이 밟은 적이 있다.] || || [[리영직]] || DF/MF || [[도쿠시마 보르티스]] (2013~2014) [br] [[V-파렌 나가사키]] (2015~2016) [br] [[카마타마레 사누키]] (2017) [br] [[도쿄 베르디]] (2018~2019) [br] [[FC 류큐]] (2020~) || J1 5경기 1골 [br] J2 187경기 15골 || [[파일:북한 국기.svg|width=30]] 20경기 1골 || [* [[2014 인천 아시안게임]] 축구 결승전에 출전해 대한민국 팬들에게 인상적인 경기력을 선보인 바 있다. 또한 [[2015 AFC 아시안컵 호주|2015]], [[2019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2019]] 두 차례의 아시안컵에서 주전으로 뛰었다.] || || [[오노철환]] || GK || [[JEF 유나이티드 지바]] (2016~2019) [br] [[도치기 SC]] (2020) [br] [[FC 기후]] (2021~) || J2 9경기 [br] J3 - || 없음 || [* 특이하게도 일본식 성씨와 한국식 이름을 혼용한 이름을 가지고 있다.] || || 박승리 || GK || [[자스파쿠사츠 군마]] (2016~2018) [br] [[아술 클라로 누마즈]] (2019~2020) || J2 출전기록 없음 [br] J3 3경기 || 없음 || || || [[우상호(축구선수)|우상호]] || MF || [[FC 기후]] (2018) [br] [[에히메 FC]] (2018~2019) [br] [[도치기 SC]] (2020) || J2 43경기 0골 || 없음 || [* 프로데뷔는 몬테네그로 [[프르바 CFL]]에서 했다. 또한 K리그 경력이 있다.] || || 김성선 || MF || [[FC 류큐]] (2018~2019) || J2 10경기 [br] J3 14경기 || [[파일:북한 국기.svg|width=30]] U-23 || [* [[2015 FIFA U-20 월드컵 뉴질랜드]] 대회에 출전했고, [[2018 AFC U-23 챔피언십 중국]] 대회에도 나선 바 있다.] || || [[한용태]] || FW || [[마쓰모토 야마가 FC]] (2019~2020) [br] [[가고시마 유나이티드]] (2019) [br] [[도치기 SC]] (2020) [br] [[이와테 그루야 모리오카]] (2021~) || J2 50경기 12골 [br] J3 16경기 1골 || [[파일:북한 국기.svg|width=30]] U-23 || || || [[손대하]] || DF || [[사간 도스]] (2021~) || J1 - || 없음 || [* J리그에서는 본인의 이름을 일본식으로 읽은 '''손 타이가'''란 등록명으로 뛰고 있다.] || || [[량현주]] || FW || [[FC 이마바리]] (2021) || J3 12경기 1골 || [[파일:북한 국기.svg|width=30]] U-23 || [* 2015년 FIFA U-17 월드컵부터 시작해 2016 AFC U-19 챔피언십, 2018 자카르타 아시안게임과 [[2020 AFC U-23 챔피언십 태국]] 대회 등 연령별 엘리트 코스를 모두 밟은 유망주다.] || || [[현리오]] || MF || [[도쿠시마 보르티스]] (2022~) || J2 - || 없음 || || || 한용기 || FW || [[YSCC 요코하마]] (2022~) || J3 - || 없음 || [* [[한용태]]의 동생으로 2022년 3부리그에 데뷔하며 프로축구선수로 첫 발을 내딛었다.] || || [[문인주]] || MF || [[가이나레 돗토리]] (2022~) || J3 - || [[파일:북한 국기.svg|width=30]] U-23 || [* [[2020 AFC U-23 챔피언십 태국]] 대회에 출전했었다.] || ==== [[K리그]] 활약 선수 ==== ||<-6> '''{{{#ae000f,#c0bdbd K리그에서 뛰었던 재일교포 선수들}}}''' || || '''{{{#ae000f,#c0bdbd 이름 }}}''' || '''{{{#ae000f,#c0bdbd 포지션 }}}''' || '''{{{#ae000f,#c0bdbd K리그 경력 }}}''' || '''{{{#ae000f,#c0bdbd 성적 }}}''' || '''{{{#ae000f,#c0bdbd 국가대표팀 }}}''' || '''{{{#ae000f,#c0bdbd 비고 }}}''' || || [[안병준]] || FW || [[수원 FC]] (2019~2020) [br] [[부산 아이파크]] (2021~2022) [br] [[수원 삼성 블루윙즈]] (2022~현재) || K2 77경기 52골 || [[파일:북한 국기.svg|width=30]] 8경기 0골 || [* [[수원 FC]]와 [[부산 아이파크]]에서 각각 한 번씩 [[K리그2]] 득점왕에 올랐다.] || || [[한호강]] || DF || [[전남 드래곤즈]] (2022) [br] [[수원 삼성 블루윙즈]] (2023~현재) || - || 없음 || [* 2023년 현재 [[수원 삼성 블루윙즈]] 소속] || ==== 이외의 선수, 인물 목록 ==== * [[강유미(축구선수)|강유미]] - 현 WK리그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여자 축구단]] 소속. 일본명은 '''오무라 히로미'''다.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A매치 28경기 8골을 기록중이며, [[2015 FIFA 여자 월드컵 캐나다]] 대회 16강 진출 멤버 중 한 명이다. * 김광호 - 재일교포 최초의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였다. 2010년 북한 대표팀 코치로써 44년만의 북한의 월드컵 본선진출에 기여하기도 했다. 아들이 밑에 나오는 축구선수 김성용. * 김동수 - 전 축구선수. JFL과 지역리그에서 주로 뛰었고 은퇴 후 [[FC 오사카]]의 코치로 재직중. * 김종욱 - 전 축구선수. JFL에서 주로 활동했던 미드필더. 2010년 은퇴. * 류명기 - 전 축구선수. [[제프 유나이티드]] 2군 팀에 있었고, 이후 라트비아 1부리그에 진출하기도 했다. * 리청경 - 현 축구지도자. 재일교포들로 구성된 팀 FC 코리아의 감독 및 이사장을 역임했다. 2002년 JFA의 S급 라이센스[* KFA의 P급 라이센스 개념.]을 취득한 최초의 재일교포가 되었다. * 문태수 - 현 [[대만 프리미어 리그]] [[타이중 후투로 FC]] 소속 선수. 이전에 독일 5부리그와 일본 JFL FC 오사카에서 뛴 적이 있다. * 손민철 - 전 축구선수. 북한 U-23 대표로 4경기 출장한 경력이 있는 공격수 출신. 일본에서는 프로 데뷔에 실패했으나 이후 인도, 태국, 홍콩 등 다양한 국가의 프로리그에서 활약했다. 2018년 은퇴. * [[양세나]] - 현 [[리가 포르투갈 2]] [[아카데미쿠 드 비제우 FC]] 소속. [[SC 브라가]] 유스팀을 거쳐 포르투갈에서 프로 무대에 데뷔했다. 일본에서는 [[사간 도스]] 유소년 팀에 속해있었다. 대한민국 국적의 해외파 선수들 중 현재 유일하다시피한 재일교포 선수다. * 이국수 - [[베르디 가와사키]]의 감독을 역임했던 인물. 1970년대 축구선수로 활동했으며 홍콩 리그에서 1시즌을 소화하기도 했다. 현역 시절 [[일본 사커 리그]]의 [[도쿄 베르디|요미우리]]와 [[요코하마 플뤼겔스|ANA 축구단]]에서 활약했고, 1987년부터 10년간 가나가와의 도인학원 고교 축구부에서 [[모리오카 류조]], [[토다 카즈유키]]를 발굴해냈다. 1999년부터 2000년까지 J리그 [[베르디 가와사키]] 총감독으로써 [[장외룡]] 감독과 함께 팀을 이끌어 당시 재정적으로 어렵던 팀을 중상위권까지 끌어올리는 수완을 발휘했었다. * 전륭법 - 전 축구선수, '''현 배우''' 선수시절 JFL과 지역리그을 오갔던 무명이었으며 2011년 은퇴. 은퇴 이후 '''다나카 류지'''라는 이름으로 배우 활동 중이라고 한다. * 제대일 - 전 축구선수. 2004년 [[부산 아이파크]] 2군에 소속되었었다. 2006년 [[자스파쿠사츠 군마]]를 마지막으로 근황이 없다. * 최인수 - 전 축구선수. 2007년 [[도치기 SC]]에 입단했으나 1년만에 방출 뒤 근황이 없다. * [[윤종태]] - [[대구 FC]]에 소속됬었던 선수. 계약 해지 이후엔 핀란드에서 활약하고 있다. === 은퇴 === ==== [[J리그]] 활약 선수 ==== ||<-6> '''{{{#ae000f,#c0bdbd J리그에서 뛰었던 재일교포 선수들}}}''' || || '''{{{#ae000f,#c0bdbd 이름 }}}''' || '''{{{#ae000f,#c0bdbd 포지션 }}}''' || '''{{{#ae000f,#c0bdbd J리그 경력 }}}''' || '''{{{#ae000f,#c0bdbd 성적 }}}''' || '''{{{#ae000f,#c0bdbd 국가대표팀 }}}''' || '''{{{#ae000f,#c0bdbd 비고 }}}''' || || 신재범 || DF || [[JEF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1993~1995) || 18경기 1골 || 없음 || [* 조선학교 출신 최초의 J리거] || || [[조귀재]] || DF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1994~1995) [br] [[비셀 고베]] (1997) || 70경기 0골 || 없음 || [* 민단 출신 최초의 J리거][* 폭력 사태로 물의를 빚은 흑역사가 있다.] || || 김종성 || FW || [[주빌로 이와타]] (1995) || 2경기 0골 || [[파일:북한 국기.svg|width=30]] 20경기 2골 || [*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아시아 예선에 북한대표로써 참가했었다.][* [[FC 류큐]] 감독으로 J3리그 우승을 일궈낸 바 있다. 현 [[가이나레 돗토리]] 감독][* [[이충성]]이 그의 조카다.] || || 현신철 || FW || [[베르디 가와사키]] (1996~1998) [br] [[세레소 오사카]] (1999) || 16경기 4골 || 없음 || || || [[박강조]] || MF || [[교토 퍼플 상가]] (1998~1999) [br] [[비셀 고베]] (2003~2012) || J1 209경기 20골 [br] J2 43경기 10골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5경기 1골 || [* 재일교포 선수로 최초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출전한 선수.] || || 박성기 || DF || [[비셀 고베]] (1998~1999) || 출전기록 없음 || 없음 || [* 비셀 고베에서 이른 은퇴를 하고 후에 [[최성용]] 등 고베의 한국인 선수들의 통역을 도맡았다.] || || 김황정 || FW || [[JEF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1998~2000) [br] [[반포레 고후]] (2000~2001) || J1 9경기 1골 [br] J2 35경기 5골 || 없음 || || || 박영호 || DF/FW || [[사간 도스]] (1999~2000) || J2 20경기 1골 || 없음 || || || [[김명휘]] || DF || [[JEF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2000~2001) [br] [[반포레 고후]] (2000) [br] [[카탈레 도야마]] (2009~2010) [br] [[사간 도스]] (2011) || J1 출전기록 없음 [br] J2 37경기 1골 || 없음 || [* 2018년 [[사간 도스]]의 임시 감독직에 오른데 이어 2019년 정식 감독으로 임명되어 2021년까지 팀을 지휘했으나 갑질 논란 끝에 라이센스 강등 및 불명예 퇴진되었다.] || || [[량규사]] || FW || [[베르디 가와사키]] (2000) || J1 출전기록 없음 || [[파일:북한 국기.svg|width=30]] 6경기 3골 || [* 현재 [[파지아노 오카야마]] 1군 팀 코치로 재직중이다.] || || [[리한재]] || MF || [[산프레체 히로시마]] (2001~2009) [br] [[콘사도레 삿포로]] (2010) [br] [[FC 기후]] (2011~2013) [br] [[FC 마치다 젤비아]] (2014~2020) || J1 92경기 5골 [br] J2 194경기 5골 [br] J3 63경기 5골 || [[파일:북한 국기.svg|width=30]] 7경기 1골 || [* 북한 아시안게임 대표팀의 일원으로 [[2002 부산 아시안게임]]에 참가했었다.] || || 황학선 || MF || [[미토 홀리호크]] (2001~2003) || J2 34경기 1골 || 없음 || [* 2008년 현역 은퇴] || || 김위만 || DF || [[JEF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2002~2004) [br] [[도쿠시마 보르티스]] (2005~2006) || J1 출전기록 없음 [br] J2 69경기 3골 || 없음 || || || [[안영학]] || MF || [[알비렉스 니가타]] (2002~2004) [br] [[나고야 그램퍼스 에이트]] (2005) [br] [[오미야 아르디자]] (2010) [br] [[가시와 레이솔]] (2011~2012) [br] [[요코하마 FC]] (2014~2016) || J1 72경기 3골 [br] J2 103경기 7골 || [[파일:북한 국기.svg|width=30]] 39경기 3골 || [* 북한 국가대표팀 선수로 최초로 K리그에 입성한 인물이다. [[부산 아이파크]]와 [[수원 삼성 블루윙즈]]에서 활약했다.][*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공화국]] 본선에 출전했었다.] || || 정용대 || MF || [[나고야 그램퍼스 에이트]] (2002~2005) [br] [[세레소 오사카]] (2002) [br] [[가와사키 프론탈레]] (2005) [br] [[요코하마 FC]] (2006~2007, 2009) [br] [[콘사도레 삿포로]] (2007~2008) || J1 39경기 [br] J2 104경기 3골 || 없음 || [* 조선대학교 출신이지만 한국 국적을 소지하고 있다.] || || 김기수 || DF/MF || [[미토 홀리호크]] (2005~2007) || J2 40경기 2골 || 없음 || [* 후쿠시마 유나이티드로 2008년 이적해 2013년까지 팀을 지역 2부리그에서 JFL까지 끌어올린 멤버 중 한 명이다.] || || [[정대세]] || FW || [[가와사키 프론탈레]] (2006~2010) [br] [[시미즈 S펄스]] (2015~2020) [br] [[알비렉스 니가타]] (2020) [br] [[FC 마치다 젤비아]] (2021~) || J1 181경기 65골 [br] J2 96경기 40골 || [[파일:북한 국기.svg|width=30]] 33경기 15골 || [* [[대한민국]] 국적자이나 FIFA의 승인 아래 북한 여권을 받아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활동한 유일무이한 사례다.][* 2010년부터 2012년까지 독일로 진출해 [[2. 분데스리가]]와 [[분데스리가]]를 경험했다. [[VfL 보훔]]에선 주전 공격수로 맹활약했으나 [[1. FC 쾰른]]에서는 부진했다.][* K리그에서도 활약했는데 [[수원 삼성 블루윙즈]]에서 3시즌간 23골을 넣으며 주전 공격수로 뛰었다. 또한 K리그를 떠난 후에도 한국 방송에 매우 자주 나오고 있으며, 부인 또한 한국인이다.] || || 김정훈 || DF/MF || [[사간 도스]] (2006) || J2 출전기록 없음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U-17 || [* 2003년 감바 오사카 유스팀 소속으로 FIFA U-17 월드컵 대한민국 대표팀에 선발되어 조별리그 3경기를 모두 출전했다. 하지만 성인 무대에서는 1군 진입에 실패하며 2006년 사간 도스에서 2부리그를 잠깐 경험하고 JFL 등 하부리그를 전전하다 2009년 은퇴했다.][* 현재 [[사간 도스]]의 통역관 겸 코치로 일하고 있다.] || || 김영기 || GK || [[쇼난 벨마레]] (2007~2012) [br] [[오이타 트리니타]] (2013) [br] [[아비스파 후쿠오카]] (2013) [br] [[AC 나가노 파르세이루]] (2014~2016) || J1 출전기록 없음 [br] J2 94경기 [br] J3 1경기 || 없음 || [* 동생 김성기 또한 축구선수로, 북한 국가대표까지 지냈다.] || || 강현수 || MF || [[교토 퍼플 상가]] (2007) [br] [[카탈레 도야마]] (2009~2010) || J2 48경기 1골 || 없음 || || || 리창강 || GK || [[파지아노 오카야마]] (2007~2011) || J2 40경기 || 없음 || [* 현재 [[파지아노 오카야마]]의 유소년 코치로 일하고 있다.] || || 이성호 || DF/MF || [[FC 기후]] (2008) || J2 출전기록 없음 || 없음 || || || 김성용 || FW || [[교토 퍼플 상가]] (2009~2011) [br] [[자스파쿠사츠 군마]] (2012) || J1 25경기 4골 [br] J2 47경기 3골 || [[파일:북한 국기.svg|width=30]] 3경기 1골 || [* 2013년 [[타이 리그 1]], 2014~2017년 [[인도 I리그]]를 경험했다.][* 현 [[이와테 그루야 모리오카]] 1군 코치][* 그의 아버지 김광호 또한 북한 국가대표로 활약했던 재일교포 선수출신이다.] || || 손정륜 || MF/DF || [[아비스파 후쿠오카]] (2009~2012) || J1 출전기록 없음 [br] J2 출전기록 없음 || [[파일:북한 국기.svg|width=30]] U-15 || || || 황성수 || DF/MF || [[주빌로 이와타]] (2010~2012) [br] [[자스파쿠사츠 군마]] (2013~2015) [br] [[오이타 트리니타]] (2016~2018) || J1 출전기록 없음 [br] J2 109경기 1골 [br] J3 8경기 || [[파일:북한 국기.svg|width=30]] U-20 || || || 이지성 || MF || [[도쿄 베르디]] (2010) || J2 출전기록 없음 || 없음 || || || 강성호 || DF/MF || [[오이타 트리니타]] (2010~2011) [br] [[시미즈 S펄스]] (2012~2014) [br] [[교토 상가 FC]] (2013) [br] [[도쿄 베르디]] (2014) [br] [[츠에겐 가나자와]] (2014) || J1 2경기 [br] J2 68경기 1골 [br] J3 7경기 || [[파일:북한 국기.svg|width=30]] U-20 || [* 현재 [[교토 상가 FC]]의 프런트로 일하고 있다.] || || 김성기 || DF || [[세레소 오사카]] (2011~2013) [br] [[비셀 고베]] (2013) [br] [[미토 홀리호크]] (2014~2015) [br] [[FC 마치다 젤비아]] (2016~2017) [br] [[후지에다 MYFC]] (2018) || J1 2경기 [br] J2 87경기 3골 [br] J3 8경기 1골 || [[파일:북한 국기.svg|width=30]] 8경기 1골 || [* 2017 동아시안컵과 [[2019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 대회에 참여한 경력이 있다.][* 형 김영기 또한 축구선수로 J리그에서 활약했다.] || || 오대륙 || FW || [[파지아노 오카야마]] (2012~2015) [br] [[블라우블리츠 아키타]] (2016) [br] [[SC 사가미하라]] (2017) || J2 출전기록 없음 [br] J3 48경기 4골 || 없음 || || || 황대성 || DF || [[교토 상가 FC]] (2012~2015) || J2 28경기 1골 || [[파일:북한 국기.svg|width=30]] 0경기 || [* 2009년 북한 국가대표팀에 소집되었으나 출전은 하지 못했다.] || || 황대준 || DF || [[자스파쿠사츠 군마]] (2013~2014) || J2 출전기록 없음 || 없음 || [* 황대성 선수의 동생이다.] || || 김용보 || FW || [[비셀 고베]] (2014~2015) [br] [[자스파쿠사츠 군마]] (2016) || J1 6경기 [br] J2 2경기 || 없음 || [* 2014년 12월 일본으로 귀화해 '''타시로 료스케'''란 이름으로 뛰고 있다. 현재 호주 지역리그에서 뛰고 있다.] || || 윤영승 || MF || [[미토 홀리호크]] (2014~2015) [br] [[자스파쿠사츠 군마]] (2015) || J2 6경기 1골 || 없음 || [* 재일교포지만 프로 데뷔는 [[대구 FC]]에서 2013년에 먼저 했다.] || || 고경태 || MF || [[AC 나가노 파르세이로]] (2014~2015, 2016) [br] [[그루야 모리오카]] (2015) || J3 1경기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U-18 || [* [[량용기]]와 사촌 관계다. 특이하게도 량용기가 북한 대표로 뛴 반면, 고경태는 대한민국의 청소년 대표까지 지냈다.] || || 김공청 || MF/FW || [[후쿠시마 유나이티드]] (2014~2017) || J3 51경기 3골 || 없음 || [* 류츠케이자이 대학 축구부 출신으로 JFL에 일찌감치 류츠케이자이 소속으로 뛴 경력이 있다. 또한 후쿠시마 유나이티드에서 2009년부터 활약하며 2번의 승격을 이끌었다.] || || 윤창수 || MF || [[FC 기후]] (2015) || J2 출전기록 없음 || 없음 || [* 현재 일본 여자축구 [[나데시코 리그]] 2부리그에 참여하는 키비 국제대학 축구부의 코치로 재직중이다.] || || 박리기 || MF || [[FC 류큐]] (2015~2018) || J3 85경기 11골 || 없음 || || || 김용황 || MF || [[SC 사가미하라]] (2016) || J3 출전기록 없음 || 없음 || [* 2011년 [[SV 베르더 브레멘]] 유소년 팀에 입단해 1년간 뛴 적이 있다. 또한 2013년 [[FC 의정부]]에 입단해 한국무대도 경험했었다.] || || 박승리 || GK || [[자스파쿠사츠 군마]] (2016~2018) [br] [[아술 클라로 누마즈]] (2019~2020) || J2 출전기록 없음 [br] J3 3경기 || 없음 || || || 리재근 || GK || [[후지에다 MYFC]] (2018) || J3 출전기록 없음 || 없음 || || || 김성선 || MF || [[FC 류큐]] (2018~2019) || J2 10경기 [br] J3 14경기 || [[파일:북한 국기.svg|width=30]] U-23 || [* [[2015 FIFA U-20 월드컵 뉴질랜드]] 대회에 출전했고, [[2018 AFC U-23 챔피언십 중국]] 대회에도 나선 바 있다.] || ==== [[K리그]] 활약 선수 ==== ||<-6> '''{{{#ae000f,#c0bdbd K리그에서 뛰었던 재일교포 선수들}}}''' || || '''{{{#ae000f,#c0bdbd 이름 }}}''' || '''{{{#ae000f,#c0bdbd 포지션 }}}''' || '''{{{#ae000f,#c0bdbd K리그 경력 }}}''' || '''{{{#ae000f,#c0bdbd 성적 }}}''' || '''{{{#ae000f,#c0bdbd 국가대표팀 }}}''' || '''{{{#ae000f,#c0bdbd 비고 }}}''' || || [[박강조]] || MF || [[성남 일화]] (2000~2002) || 69경기 1골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5경기 1골 || [* 재일교포 선수로 최초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출전한 선수.][* 재일교포 최초의 K리그 출전선수.] || || 정용대 || MF || [[포항 스틸러스]] (2001) || 출전기록 없음 || 없음 || || || 김황정 || FW || [[울산 현대]] (2001) || 12경기 || 없음 || || || [[량규사]] || FW || [[울산 현대]] (2001) || 출전기록 없음 || [[파일:북한 국기.svg|width=30]] 6경기 3골 || [* 현재 [[파지아노 오카야마]] 1군 팀 코치로 재직중이다.] || || [[김명휘]] || DF || [[성남 일화]] (2002) || 출전기록 없음 || 없음 || [* 2018년 [[사간 도스]]의 임시 감독직에 오른데 이어 2019년 정식 감독으로 임명되어 2021년까지 팀을 지휘했으나 갑질 논란 끝에 라이센스 강등 및 불명예 퇴진되었다.] || || [[안영학]] || MF || [[부산 아이파크]] (2006~2007) [br] [[수원 삼성 블루윙즈]] (2008~2009) || 57경기 7골 || [[파일:북한 국기.svg|width=30]] 39경기 3골 || [* 북한 국가대표팀 선수로 최초로 K리그에 입성한 인물이다.][*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공화국]] 본선에 출전했었다.] || || 김굉명 || MF || [[경남 FC]] (2008) || 1경기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풋살 국가대표 || [* 본래 일본식 한자로는 宏 (클 굉)자를 '''광'''으로 읽는다고 한다. 따라서 일본에서 내내 '''김광명'''으로 살다가 한국에 와서 김굉명이 되어 처음에 충격을 먹었었다는 인터뷰를 한 적이 있다.][* 2012년 풋살로 전향해 대한민국 국가대표에 선발된 적도 있다.] || || [[오카야마 카즈나리|강일성]] || DF/FW || [[포항 스틸러스]] (2009~2010) || 17경기 1골 || 없음 || [* 일본 귀화 후 K리그로 왔기 때문에 당시 [[아시아 쿼터제]] 외국인 선수로 등록되었다.] || || [[정대세]] || FW || [[수원 삼성 블루윙즈]] (2013~2015) || K1 72경기 23골 || [[파일:북한 국기.svg|width=30]] 33경기 15골 || [* [[대한민국]] 국적자이나 FIFA의 승인 아래 북한 여권을 받아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활동한 유일무이한 사례다.][* 2010년부터 2012년까지 독일로 진출해 [[2. 분데스리가]]와 [[분데스리가]]를 경험했다. [[VfL 보훔]]에선 주전 공격수로 맹활약했으나 [[1. FC 쾰른]]에서는 부진했다.][*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회와 [[2011 AFC 아시안컵 카타르]] 대회에 출전했다.] || || 윤영승 || MF || [[대구 FC]] (2013~2014) || K1 1경기 [br] K2 8경기 || 없음 || [* 재일교포지만 프로 데뷔는 [[대구 FC]]에서 2013년에 먼저 했다.] || || [[진창수]] || FW || [[고양 Hi FC]] (2013, 2015) [br] [[부천 FC 1995]] (2016~2018) [br] [[안산 그리너스]] (2019) || K2 184경기 36골 || 없음 || [* 일본에서는 JFL까지 올라가는데 그쳤으나, 대한민국으로 와서 K3부터 시작해 결국 프로 선수로 180경기 넘게 뛴 근성의 표본이다.][* 현 [[서울 이랜드 FC]] 장비담당관으로 재직중이다.] || || [[우상호(축구선수)|우상호]] || MF || [[대구 FC]] (2016~2017) || K1 17경기 [br] K2 17경기 1골 || 없음 || [* 프로데뷔는 몬테네그로 [[프르바 HNL]]에서 했다. 또한 K리그를 J리그보다 먼저 경험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