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과거 역명이 춘양역이었던 경전선의 폐역, rd1=석정리역)] [include(틀:프로젝트 문서2,프로젝트1=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프로젝트2=나무위키 대경권 프로젝트)] ||<-6><:> {{{+2 '''춘양역'''}}} || ||<:><-2><|2>[[정동진역|{{{#!html
정동진 방면}}}]][[임기역|임 기]][* 부전 방면 무궁화호는 [[현동역]]에 정차한다. 역간거리 14.8 ㎞.][br]← 9.7 ㎞||<:><-2><|2>[[무궁화호|{{{#!html
영동선
무궁화호
}}}]]||<-2><:>[[부전역(동해선)|{{{#!html
부전 방면}}}]][[동대구역|{{{#!html
동대구 방면}}}]]|| ||<|2><-2><:>[[봉화역|봉 화]][br]23.2 ㎞ →|| ||<-2><|2><:>[[정동진역|{{{#!html
정동진 방면}}}]][[석포역|석 포]][br]← 38.9 ㎞||<-2><|2><:>[[무궁화호|{{{#!html
경북선
무궁화호
}}}]]|| ||<:><-2>[[부산역|{{{#!html
부산 방면}}}]]|| ||<:><-2>[[서울역|{{{#!html
서울 방면}}}]][[봉화역|봉 화]][br]← 23.2 ㎞||<:><-2>[[중부내륙순환열차|{{{#!html
O-train}}}]]||<:><-2>[[철암역|{{{#!html
철암 방면}}}]][[분천역|분 천]][br]21.4 ㎞ →|| ||<:><-2>[[영주역|{{{#!html
영주 방면}}}]][[봉화역|봉 화]][br]← 23.2 ㎞||<:><-2>[[백두대간협곡열차|{{{#!html
V-train}}}]]||<:><-2>[[철암역|{{{#!html
철암 방면}}}]][[분천역|분 천]][br]21.4 ㎞ →|| ||<-6><:>[include(틀:지도,장소=춘양역,너비=100%,높이=225px)]|| ||<-6><:><#c0c0c0>'''다국어 표기'''|| ||<:><-2>[[영어]]||<:><-4>Chunyang || ||<:><-2>[[한자]]||<:><-4>春陽|| ||<:><-2>[[중국어]]||<:><-4>春阳|| ||<:><-2>[[일본어]]||<:><-4>チュニャン|| ||<-6><:><#c0c0c0>'''주소'''|| ||<-6><:>[[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운곡길 22-2[br](舊 의양리 152)|| ||<:><-6>'''관리역 등급'''|| ||<:><-6>[[관리역]][br]([[한국철도공사|코레일]] 경북본부)|| ||<-6><:><#c0c0c0>'''일반철도'''|| ||<:><-3>[[영동선]] 개업일||<:><-3>1955년 7월 1일|| ||<:><-3>[[무궁화호]] 영업개시일||<:><-3>1984년 1월 1일|| ||<:><-3>[[중부내륙순환열차|O-train]] 영업개시일||<:><-3>2013년 4월 12일|| ||<-6><:>'''열차거리표'''|| ||<:><-2>[[영주역|{{{#!html
영주 방면}}}]][[법전역|법 전]][br]← 5.2 ㎞||<:><-2>'''[[영동선]]'''[br]춘 양||<:><-2> [[강릉역|{{{#!html
강릉 방면}}}]][[녹동신호장|녹 동]][br]4.8 ㎞ →|| ||<-6><:> [[춘양역 #s-3|{{{#ffffff '''↓ 여객열차 운행계통 보기 ↓'''}}}]] || {{{+1 春陽驛 / Chunyang Station }}} [[파일:attachment/chunyang.jpg|width=650]] [목차] == 소개 == [[영동선]]의 [[철도]]역.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운곡길 22-2 (舊 의양리 152번지)에 위치해 있다. 현재 쓰는 역사는 1998년 새로 만든 것이다. 승강장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단출한 편이다. 아쉽게도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역은 아니었지만, [[중부내륙순환열차]]의 개통 이후 스탬프가 생겼다. 헌데 '''3급인 주제에 그룹대표역이다.''' 원래 '춘양역'이란 이름은 저 멀리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에 있는 역이 가지고 있었지만 이 역이 개업하면서 이름을 강탈해왔다. 화순에 있던 그 역은 이후 석정리역으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2008년 폐역. 비슷한 사례로 매포읍에 있어 '[[매포역]]'으로 개업했다가, [[경부선]]에 개업한 다른 역에 이름을 빼앗긴 [[중앙선]] [[도담역]]이 있다. 덤으로 영동선이 직진하지 않고 우회하게 된 원인. 드리프트로 까일 여지가 충분하지만, 오히려 이 동네가 첩첩산중 봉화군에서 그나마 수요가 있다는 걸 반증하는 예이기도 하다. == 억지춘향? 억지춘양? == [[파일:attachment/춘양역/Chunyang.jpg]] 억지춘(향)양의 발원지가 이 동네라는 설이 있다. 원래 [[영암선]](영동선의 전신)이 부설될 때 춘양면을 통과하지 않기로 되어 있었으나 억지로 선로를 꺾어가면서 이 동네를 거치게 했다는 설인 것. 지도로 보면 실제로 직선으로 뚫고 갈 법도 한 곳을 S자도 아니고 아예 '''깊은 요철형'''으로 지나가고 있다. 과거에는 춘양에서 질 좋은 [[목재]]가 많이 생산되어[* 춘양목이라고 불리는 목재가 바로 그것이다. 해송과 육송의 자연교잡종으로 태백산 일대에 자라는 우량 [[소나무]]가 벌목되면 춘양에 보내져서 전국각지로 배송된 이유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지금도 춘양이 유명한 목재의 산지라는 걸 알려주는 듯, 춘양에 가면 한국산림과학고등학교라는 비범한 이름의 고등학교가 있다. --물론 본질은 '''춘양[[상고]]'''--] 그나마 화물수요는 꾸준히 있었기에 [[http://me2.do/FE6rX2I8|아주 억지로 지은 것만은 아니다]]. 하지만 억지춘향이란 말은 이 역이 개업한 [[1955년]]보다 훨씬 전에 이미 쓰이고 있었으며 확실히 '''억지春香'''이라고 표기하고 있다. ||<#eeeeee> "格에맛지안는 地方部社會部, 經濟部椅子에 턱턱걸어안저서 '''억지春香'''의 붓대勞働을 머리골치가띙하게 終日하고잇다." - [[1927년]], [[동아일보]][[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29103000209204007&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29-10-30&officeId=00020&pageNo=4&printNo=3305&publishType=00020|#]] "이러케 '''억지春香'''을 꾸며노타싶이한 K君이 機械的으로움즉여야할 拘束된 店員生活에 調和되지안흘것은 定한 理致다." - [[1938년]], 동아일보[[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37072200209106004&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37-07-22&officeId=00020&pageNo=6&printNo=5710&publishType=00010|#]] "머리채를느러트리든옛시절로 거슬러올나가도못쓰겟지만 노란머리아닌털을 '''억지춘향'''으로구비치게한들 어쩔거시여" - [[1949년]], 동아일보[[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49042800209202048&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49-04-28&officeId=00020&pageNo=2&printNo=7888&publishType=00020|#]]" || 그 시절 발간된 국어사전에도 "억지춘향이" 라는 표현이 등재되어 있다는 것은 이미 그 무렵 충분히 많은 사람들이 억지춘향이란 표현을 쓰고 있었다는 걸 의미한다. 따라서 어느 한쪽으로 성급히 단정짓기는 어려울 듯하다. [[http://terms.naver.com/entry.nhn?cid=85&docId=982823&mobile&categoryId=2641|#]] == 여객열차 운행계통 == ||||||||||||<#FFFFFF><:> {{{#000000 '''급행여객열차'''}}} || ||||||||||<:><#f55839> '''[[무궁화호|{{{#ffffff 영동선 무궁화호}}}]]''' || ||<:> [[정동진역|{{{#gray 정동진}}}]] {{{#gray 방면}}}[br][[현동역|{{{#000000 현 동}}}]] ||<:> {{{+1 ←}}}[br] 14.8 km ||<|2><:> {{{#000000 '''춘 양''' }}} ||<:> {{{+1 → }}}[br] 23.2 km ||<:>[[부전역(동해선)|{{{#gray 부전}}}]] {{{#gray 방면}}}[br][[봉화역|{{{#000000 봉 화}}}]]|| ||<:> [[정동진역|{{{#gray 정동진}}}]] {{{#gray 방면}}}[br][[임기역|{{{#000000 임 기}}}]] ||<:> {{{+1 ←}}}[br] 9.7 km ||<:> {{{+1 → }}}[br] 23.2 km ||<:>[[동대구역|{{{#gray 동대구}}}]] {{{#gray 방면}}}[br][[봉화역|{{{#000000 봉 화}}}]]|| ||||||||||<:><#f55839> '''[[무궁화호|{{{#ffffff 경북선 무궁화호}}}]]''' || ||<:> [[정동진역|{{{#gray 정동진}}}]] {{{#gray 방면}}}[br][[석포역|{{{#000000 석 포}}}]] ||<:> {{{+1 ←}}}[br] 38.9 km ||<:> {{{#000000 '''춘 양''' }}} ||<:> {{{+1 → }}}[br] 23.2 km ||<:>[[부산역|{{{#gray 부산}}}]] {{{#gray 방면}}}[br][[봉화역|{{{#000000 봉 화}}}]]|| ||||||||||||<#FFFFFF><:> {{{#000000 '''관광열차'''}}} || ||||||||||<:><#7ac141> '''[[중부내륙순환열차|{{{#ffffff 중부내륙순환열차}}}]]''' || ||<:> [[서울역|{{{#gray 서울}}}]] {{{#gray 방면}}}[br][[봉화역|{{{#000000 봉 화}}}]] ||<:> {{{+1 ←}}}[br]23.2 km ||<:> {{{#000000 '''춘 양''' }}} ||<:> {{{+1 → }}}[br] 21.4 km ||<:>[[철암역|{{{#gray 철암}}}]] {{{#gray 방면}}}[br][[분천역|{{{#000000 분 천}}}]]|| [[분류:대한민국의 철도역]] [[분류:영동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