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춘천시의 시내버스/폐선]] [include(틀:토막글)][[분류:토막글/버스]] [include(틀:폐선)] [목차] == 노선 정보 == ||<-6><#0075C8> {{{#ffffff 춘천시 시내일반버스 6번}}} || ||<-2> 기점 || 강원도 춘천시 후평동(후평동종점) ||<-2> 종점 || 강원도 춘천시 후평동(후평동종점) || ||<|2> 종점행 || 첫차 || ? ||<|2> 기점행 || 첫차 || - || || 막차 || ? || 막차 || - || ||<-2> 평일배차 || ? ||<-2> 주말배차 || ? || ||<-2> 노선 ||<-4> 후평동종점 - 춘천소방서 - 세경3차아파트 - 시의회.[[한림대학교]] - 춘천시청 - 강원일보 → 보건소 → 공지사거리 → 온의금호1차 → [[춘천시외버스터미널]] → 남춘천초.중교 → 퇴계현대1차 → 퇴계우성아파트 → 중앙하이츠1차 → 홈플러스 → 퇴계금호.한주아파트 → 현진에버빌2차 → 퇴계현대3차 → 석사동주민센터 → [[춘천교육대학교]] → 거두리주공아파트 → 강원지방경찰청 → 그랜드아파트 → 석사부영.대우아파트 → 청실아파트 → 후평주공4단지 → 후평주공6단지 → [[강원대학교|강원대후문]] → 동부시장 → 육림고개 → 강원일보 → 이후 역순 || ||<-6><#0075C8> {{{#ffffff 춘천시 시내일반버스 6-1번}}} || ||<-2> 기점 || 강원도 춘천시 후평동(후평동종점) ||<-2> 종점 || 강원도 춘천시 후평동(후평동종점) || ||<|2> 종점행 || 첫차 || 06:30 ||<|2> 기점행 || 첫차 || - || || 막차 || 21:10 || 막차 || - || ||<-2> 평일배차 || 10~60분 ||<-2> 주말배차 || 10~60분 || ||<-2> 노선 ||<-4> '''6번과 역순으로 운행.''' || == 개요 == 춘천시 시내버스 노선 중 하나였다. == 역사 == * 실제로 예전에도 6번이 존재하였었는데, 후동리를 경유하여 가정리로 가는 노선이었으나, [[춘천 버스 5(폐선)|5번]]으로 흡수되어 폐선되었다. * 2010년 5월 4일에 6-1번의 하루 운행횟수가 13회에서 20회로 늘어났다. * 경춘선 전철화 공사로 인해 경춘선이 이설되면서, 퇴계동 과선교가 기능을 상실하였다. 이에 따라 철거공사가 시작된 2011년 5월 16일에 두 노선 모두 퇴계휴먼시아1~2차와 퇴계주공1~2단지 경유로 변경되었다. * 과선교 철거공사가 부분 완료되면서, 2011년 6월 15일에 6번만 기존 노선으로 환원되었다. * 과선교 철거가 완료되면서, 2011년 7월 1일에 6-1번도 기존 노선으로 환원되었다. * 2012년 9월 3일 개편 때 폐선되었다. 대체 노선으로 [[춘천 버스 100(폐선)|100번]]과 [[춘천 버스 200(폐선)|200번]]이 신설되었다. == 특징 == * 춘천시가 2007년에 강원도 최초로 시내버스에 [[저상버스]](2대)를 도입했을 때 6번에 가장 먼저 투입하였다. 춘천 시내버스 가운데 처음으로 저상버스 차량이 운행하기 시작한 노선이기도 하다. 시내 구석구석 훑고 다니는 노선이다 보니 홍보효과를 노린 듯. * 도입된 저상버스는 2대 모두 BS110CN NGV 모델이었고, 차호는 1079호 및 1272호였다. 1079호는 내구연한 만료 후 면허가 말소되었고, 1272호는 2017년형 뉴 슈퍼 에어로 시티 F/L 저상으로 대차되었다. 회사 역시 2019년 7월 25일, [[춘천시민버스]]로 바뀌었다.[* 1079호는 면허가 말소되어서 알 수 없으나, 1272호는 대한운수 소속이었다.] == 연계 철도역 == 없음. [include(틀:포크됨2, title=춘천 버스 6, 6-1, d=2022-07-14 10:1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