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초계정, rd1=충무공함, other2=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rd2=충무공 이순신급 구축함)] [include(틀:현대전/한국 함선)]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hung_mu_00ma.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hung_mu_ham.jpg|width=100%]]}}}|| || {{{#000,#fff {{{-1 충무함의 기동 사진.[br]초기에는 함번이 DD-91이었으나 DD-911로 재지정되었다.[* 아래의 것은 실제 촬영된 사진이고, 위쪽의 사진은 충무함 공여 이전, USS Erben 시절의 사진에서 도장을 합성한 것.]}}}}}} || >'''무쇠보다 굳세고 비호같이 달린다''' >'''창파를 쪼개고 노도를 뚫는다''' >'''타겟 엔게이지드!''' >'''포화를 뿜어라''' >'''스티어 바이 인디케이터!''' >'''어뢰를 갈겨라''' >'''우리는 충성스런 구축함의 세일러''' >'''솟아 솟아 솟아오르는''' >'''충무함의 세일러''' >----- > 충무함가, [[https://www.youtube.com/watch?v=u2DxPCkZxhU|'구축함의 세일러']]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해군]]의 '''첫 번째 [[구축함]]'''이다.[* [[광개토대왕급 구축함]]을 [[대한민국]] 최초의 구축함으로 알고 있는 사람이 있으나, 광개토대왕급은 최초의 국산 구축함이지 최초의 구축함은 아니다.] [[1963년]] [[5월 16일]] [[미합중국 해군]]의 [[플레처급 구축함]] USS 에르벤(DD-631)을[* 플레처급 116번함이었다.] 인도받아, [[1993년]] 퇴역하기까지 31년간 한국의 바다를 지켰다. 93년 퇴역 당시 한국은 9척의 [[울산급]] 호위함을 동시에 운용하고 있었으므로, 배 자체로서는 굉장히 오랫동안 활약한 셈이다. 한국의 첫 번째 전투함인 [[백두산함]]은 [[6.25 전쟁]]에서 활약하였던 적이 있으나, 전후 10년이 지나 한국함대가 설립되고 나서도 대한민국 해군의 전력은 지극히 초라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충무함의 도입은 큰 힘이 되었다. [[1968년]]에는 동급함인 DD-912 서울함, DD-913 부산함이 추가로 도입되었으며, 이들 함정은 72년 [[알렌 M. 섬너급 구축함]]과 [[기어링급 구축함]]이 미군으로부터 이양되기 전까지 한국 해군의 기함이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hung_mu_01a.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hung_mu_03z.jpg|width=100%]]}}}|| ||<-2> {{{#000000,#ddd {{{-1 충무함의 승조원.}}}}}} || [[대한해협 해전]] 등에 참전했던 [[최영섭(군인)|최영섭]] 대령도 충무함의 함장을 역임한 바 있다. 최 대령은 2021년 7월에 향년 93세로 타계했고 [[최재형]] 전 감사원장이 그의 차남이다. == 제원 == || 함명 ||'''DD-631 어빈'''(미국, 1943~1963)[br]'''DD-91 충무함'''(1963~1979)[br] '''DD-911 충무함'''(1979~1993) || || 함급 ||[[플레처급 구축함]] || || 한국 해군 내[br]동급함 ||DD-912 서울함(퇴역)[br]DD-913 부산함(퇴역) || || 이전급 ||[[글리브스급 구축함]] || || 다음급 ||[[알렌 M. 섬너급 구축함]] || || 다음 한국해군[br]동급 전투수상함 ||[[울산급 호위함]] || || 기준 배수량 ||2,050톤 || || 만재 배수량 ||2,500톤 || || 길이 ||376.6ft(114.7m) || || 폭 ||39.8ft(12.1m) || || 흘수[* 수면아래 잠기는 부분] ||17.9ft(5.4m) || || 최고속도 ||36노트 || || 함포 ||[[5인치 38구경장 양용포|5인치 38구경장 양용포 단장포]] x 5[br][[보포스 40mm 포]] x 3(x 4)[* 1문 제거][br][[오리콘 대공포|오리콘 20mm 기관포]] x 2(x 4)[* 2문 제거]|| || 어뢰 ||533mm(21in) 중어뢰 발사관[br]324mm(12.75in) 대잠어뢰 발사관[br]폭뢰투사기 x 2 || || 승조원 ||300명~330명 || || 총함 수 ||3척 || || 퇴역함 수 ||3척 || == 전과 == 충무함(DD-91/911)의 전과 대한민국 해군으로 편입된 후 영해를 지키기 위한 다양한 작전을 수행하였고 전과를 올렸다. 1965년 3월, 거진 근해 침투 간첩선 나포 및 간첩 8명 생포 1966년 10월, 울릉도 근해 간첩선 격침 1968년 8월, 서귀포 근해 간첩선 격침 및 간첩 3명 생포, 11명 사살 1969년 6월, 어청도 근해 간첩선 1척 나포, 간첩 11명 사살 1971년 6월, 소흑산도 근해 70톤급 간첩선 격침 1974년 7월, 어청도 근해 간첩선 격침, 간첩 10명 사살 == 기타 == [[파일:FB_IMG_1511831814598.jpg]] [[월드 오브 워쉽 ]]에서 범아시아 구축함 트리 9티어로 등장한다. [[전함소녀]]에서는 [[강원(전함소녀)|강원]]과 [[울산(전함소녀)|울산]]의 대사로 언급되다가 2019년 2월말 글로벌서버에 처음 [[충무(전함소녀)|등장했다.]] [[파일:Seoul.png]] [[워쉽 플릿 커맨드]]에서 [[충무함]]의 자매함인 [[서울함]]이 등장한다. 충무함은 1963년 5월 16일 미국에서 인수되어 3개월여의 항해를 거쳐 9월 5일 진해항에 입항하여 환영행사를 가졌다. 최초의 구축함이라는 점으로 신문에서도 대서특필되는 등 뜨거운 관심을 받았으며, 9월 21~22일 간 인천항에 정박해 서울/인천시민들에게 함정 공개행사를 가졌는데 인기가 엄청났는지 21일은 서울시민, 22일은 인천시민 대상으로 나누고 관람객을 하루 2천 명으로 제한할 정도였다고 한다. == 둘러보기 == === 관련 문서 === * [[대한민국 해군]] * [[구축함]] * [[구축함/계보]] [[분류:구축함]][[분류:해상 병기/현대전]][[분류:대한민국 국군/군함]][[분류:1963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