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충북대학교/대학원)]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충북대학교/학부)] [include(틀:대한민국의 법학전문대학원)] [include(틀:대한민국의 전문대학원)] [include(틀:충북대학교)]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0163a, #ba2255, #ba2255, #80163a)" {{{+2 '''충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br]忠北大學校 法學專門大學院[br]'''CBNU Law School'''}}} || || '''개원''' ||'''2009년 3월 1일''' || || '''원장''' ||'''장석천 교수''' || || '''주소''' ||[[충청북도]] [[청주시]] [[충대로]]1 충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include(틀:지도, 장소=충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높이=180px, 너비=100%)]|| || '''링크''' ||[[https://lawschool.cbnu.ac.kr/|공식 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충북대학교]]의 [[법학전문대학원]]. [[2009년]] [[3월 1일]]에 출범하였다. 기존의 [[충북대학교/학부|충북대학교 법과대학]] 법학부의 교수진, 물적 시설을 그대로 승계하였다. == 입학 == 입학 정원은 70명으로, 해마다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대체로 남학생이 상대적으로 더 많은 편이다. [[법학적성시험|법학적성시험(LEET)]] 성적이 중요하기는 하지만 LEET 점수가 낮더라도 면접이나 자기소개서, 학부 성적 등에서 그것을 뒤집는 경우가 왕왕 있을 정도이며 면접과 자기소개서의 중요성 또한 크다. 그리고 논술시험에서도 출신 학교를 평가하지 않는다. 논술시험에서 백지 답안을 제출하거나 전혀 엉뚱한 답안을 제출하지 않는 한, 기본점수가 부여되기 때문에 논술에서 고득점한 사람과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받은 사람 간에 큰 점수 차이가 나기 어려운 구조이다. == 캠퍼스 및 생활환경 == 넓고 평탄한 캠퍼스를 자랑한다. 그래서 산책하기도 좋다. 특히 날씨가 좋은 날이나 밤에 캠퍼스를 거니는 사람들이 제법 있다. 정문에서 연못, 대운동장까지 이어지는 등이 주요 산책로이다. 최근 신축된 스포츠센터에 수영장, 실내골프장, 운동시설이 잘 되어 있어서 체력 관리하기 좋다. 식사의 경우 기숙사(계영원) 식당 이용을 신청하게 되면 평일 식사를 해결할 수 있다. 학교 주변 정문 및 중문에 음식점들이 많아 이용하기도 한다. == 시설 == 법학전문대학원 건물은 [[충북대학교]] 정문 쪽에 있다. 법학전문대학원 건물은 N2로, 장애학생센터 및 기초교육원과 같이 쓴다. [[충북대학교 중앙도서관]] 분관으로 법학도서관을 두고 있다. == 교수진 == === 민법 === * 장석천 교수 * 현 원장 * 이은희 교수 * * 이재목 교수 * * 김판기 교수 * * 정현수 교수 * 가족법 전공 * 오지용 교수 * 민사법 실무 === 민사소송법 === * 김건호 교수 * 민사소소송 실무 전공 * 고려대학교 법학과 졸업 * 김원태 교수 * 민사소송법 전공 === 상법 === * 신병동 교수 * 상사법실무 전공 * 동국대학교 법학과 졸업 * 1997년 제39회 사법시험에 합격, 2000년 사법연수원 29기로 수료하였다. * 임수민 교수 * 보험법 전공 * 김광록 교수 * 상법 전공 === 형사법 === * 박재평 교수 * 형사실무 전공 * 한양대학교 법학과에서 학사, 석사학위 취득 후 박사수료하였다. * 검사 * 이경재 교수 * 김재중 교수 * 형사법 실무 === 공법 === * 이국현 교수 * 공법실무 전공 * 연세대학교 법학과 학사, 동대학원 석사학위 취득 후 박사수료 하였다. * 정부법무공단 근무. === 헌법 === * 김수갑 교수 * 신정규 교수 === 행정법 === * 이비안 교수 * 최선웅 교수 === 국제법 === * 장진보 교수 * 중국법 전공 === 사회법 === * 김태현 교수 * 노동법 전공 * 서울대학교 법학과에서 학사, 고려대학교에서 법학전문석사, 충북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 법무법인(유) 화우 * 이동원 교수 * 경제법 전공 === 과학기술법 === * 신혜은 교수 *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졸업 후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박사 졸업 * 변리사 * 류화신 교수 * 윤종민 교수 == 전직 교수 == * == 특징 == 충북대 로스쿨은 ‘과학기술 및 의료생명법’을 특성화 분야로 지정하고 해당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춘 법조인 양성하는 것을 기치로 내걸고 있다. 수업 과정에서도 과학기술과 관련한 특허법·생명윤리법 등 다양한 과목을 개설하고 있다. == 주요 동문 == 아래는 충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졸업자를 기준으로 작성한 것이다. * [[신장식]] [[분류:충북대학교]][[분류:법학전문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