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한자로 쓰면 忠臣戀君之㾴[* 혹은 충신연주지사(忠臣戀主之詞)라고 한다. 의미 차이는 없다.] 그 뜻을 풀어보면 충신이 임금을 그리워 하는 노래, 즉 연군지정(戀君之情)을 노래한 작품이다. 작가들은 99.9% 남자인데 시적 정서를 극대화 하고 보편적 정서를 이끌어 내기 위해 여성의 목소리, 즉 여성적 어조(...)로 노래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이유로 대표적 작가인 정철이 동성애자라고 생각하는 수험생들도 많은데 근거 없는 설일 뿐이다.]. 주로 자신의 결백함을 주장하면서 임금을 향한 사랑을 표현하는데, 자연물에 빗대어 자신을 모략한 간신배를 비판하는 경우도 있다. == 대표작품 == 정철의 사미인곡, 속미인곡 정서의 정과정 === 고려시대 작품 === 고려시대의 시가들은 남아있는것 자체가 몇개 안되기 때문에 충신연군지사에 대한 작품도 몇개 없다. 정서의 [[정과정]]이 대표적이다. 이 곡 역시 임금을 그리워 하는 한편 자신은 과도 허물도 천만 없다고 주장 하는것으로 보아 유배지에서 썼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외에도 일각에서는 [[서경별곡]]이나 [[만전춘]]과 같은 남녀상열지사를 노래 한 작품들도 충신 연군지사로 해석 할 수 있다고 보는 견해도 있으나 서경별곡은 그렇다 쳐도 만전춘은 수위가 세다(...) [* 만전춘의 대략적인 내용은 얼음위에서라도 임과 함께만 누워있다면(...) 이밤이 더디게 갔으면 한다는 것이고, 서경별곡 역시 다른 여성을 취하겠다는 내용이 들어있어 충신연군지사로 해석하기엔 무리가 있다] [* 고려 속요의 경우 남녀상열지사의 내용을 담고 있었으나 고려 후기 속요들이 궁중무악이 되면서 남녀상열지사의 내용을 충신연군지사의 내용으로 해석하는 풍조가 생겼다는 연구가 있다.]. === 조선시대 작품 === 조선 시대 작품들은 보존도 잘되기도 했고, 조선자체가 유교사상이 바탕이 되었기 때문에 충을 노래하는 충신연군지사 작품들이 많다 --사실 유배지 아부용이지만--. 60만 수험생의 역적인 [[정철|그 분]] 과 시조의 왕자라 불리는 [[윤선도]]의 작품이 대표적이다. * 전후미인곡 60만 수험생의 역적인 [[정철|그 분]]의 작품으로 [[사미인곡]]과 속편 [[속미인곡]]을 말한다. 사미인곡은 독백체로서 임에 대한 그리운 마음을 노래 하고 있고, 속미인곡은 주인공 을녀가 갑녀와 대화를 나누는 형식이다. 두 작품에서 모두 여성 주인공은 천상계에서 미움을 받고 쫓겨나는 내용을 담고 있는데, 이는 유배중인 정철의 모습을 빗대어 표현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충신연군지사라는 배경지식이 없다면 남녀간의 사랑을 다룬 작품으로 보일 정도로 임을 사모하는 감정을 잘 묘사했다. * 견회요 시조의 왕자 [[윤선도]]의 작품이다. 앞의 [[정철|정모씨]]와는 달리 망령된줄 알면서도 할 일을 하다가 쫓겨났다는 것에서 임금에게 충언[* 이이첨의 횡포와 관련된 상소문을 올렸다가 쫓겨났다.]을 하다가 쫓겨난 것을 알 수 있다. 오직 임금을 향한 사랑과 충성만을 쓰는 정철의 작품과 달리 후반부에선 부모님에 대한 그리움에 대해서 노래한 부분도 있다. 내용 자체도 앞의 전후미인곡보다 충신연군지사라는 것을 유추하기가 쉬운 편이다. [[분류:문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