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충주성심학교 야구부'''}}} || || '''모교''' || [[충주성심학교]] || || '''창단''' || [[2002년]] [[9월]] || || '''소속 리그''' || 충청권 || || '''감독''' || 고상우 || || '''우승 기록'''[* 4대 메이저 + 협회장기] || - || ||<-2> [include(틀:지도, 장소=충주성심학교, 너비=100%, 높이=225px)] || || '''대회''' || '''우승''' || '''준우승''' || '''4강''' || ||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대통령배]]''' || - || - || - || || '''[[청룡기 전국고교야구 선수권대회|청룡기]]''' || - || - || - || ||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황금사자기]]''' || - || - || - || ||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봉황대기]]''' || - || - || - || || '''[[대한야구협회장기 전국고교야구대회|협회장기]]''' || - || - || -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Xhz2CarLBLY)] [[파일:external/talkimg.imbc.com/G0SrxGxhPTp6634582642561614439.jpg]] 농학교인 [[충주성심학교]] 재학생들로 이루어진 [[http://www.korea-baseball.com/info/team/team_player?club_idx=107&season=2016&kind_cd=31&sports_club=|야구부]]. 2002년 9월에 57번째 고교야구팀으로 창단[* [[대한야구협회]]에 등록된 것은 2010년으로 53번째로 등록되었다.]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으며 농인들로만 구성된 최초의 야구팀이다. 충주야구장에서 훈련 및 경기를 가지게 되며 실력면에서 아쉬운 모습들이 나오는데 창단 이후 꾸준히 참가하고 있는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봉황대기]]의 경우 [[0승 클럽|10전 10패]]를 기록하고 있다.[* 2014년 기준.] 또 현재까지는 프로팀에 진출한 선수가 한 명도 없다.[* 2016년 기준으로 KBO리그에서 청각장애를 가지고 1군급 선수로 활약한 선수는 [[해태 타이거즈]]에서 지명타자로 뛰었던 [[박재용]] 정도밖에 없다. 일본의 경우 선천성 난청을 가진 이시이 유야(투수)가 [[일본의 사회인야구|미쓰비시중공업]]을 경유하여 2005년 주니치에 지명되었다.] == 운영 == 동문회나 연고프로구단이 운영비를 지원해주는 다른 고교야구팀과는 달리 충주성심학교 야구부를 관리하는 프로구단이 없고, 운영비 1억 5천만원 가량을 개인후원 및 졸업생들의 모임인 성심야구사랑회, 그리고 재직중인 교사들이 십시일반으로 모아서 운영하고 있으며 기업이나 야구선수들의 후원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병규(1974)|이병규]]는 이 학교에 재능기부와 용품 지원을 꾸준히 하기로 가장 유명한 선수이다.[* 2008년부터 충주성심학교 야구부를 위해 재능기부와 용품 지원을 이어나갔으며, 언론 보도상으로는 적어도 2021년까지는 이 봉사가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병규는 가끔 동료들을 데리고 봉사에 나서기도 했는데,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911281419355175|언론 보도]]에 따르면 2019년에는 [[경헌호]], [[김광삼]], [[김재윤(야구선수)|김재윤]], [[오지환]]이 이병규와 함께 참여하였다.] [[2013년]]에 [[아프로서비스그룹]]에서 실내연습장을 건설해 주었고[*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0252997|JTBC 뉴스]].] [[2014년]]에는 스템택 코리아에서 야구부를 후원해주기로 하였으며, [[김현수(1988)|김현수]] 등 야구선수들이 후원을 이어나가고 있다. [[2011년]]엔 [[최희]] 前 아나운서(現 방송인), [[추신수]]가 기부하기도 했으며 [[2014년]]엔 [[류중일]] [[삼성 라이온즈]] 감독이 후원금을 기탁하기도 했다. [[2016년]], [[2017년]] [[고교야구 주말리그]]에는 선수 등록 인원이 부족하여 불참했다. 등록 인원이 '''9명이 간신히 채워진 상태'''임을 보면 선수 확보에 어려움이 많은 듯. 그리고 야구부 해체 위기에 빠져 있는데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529&aid=0000013482|여기를 참고하자.]] 이 기사에 따르면 2017년 7월 현재 야구부원이 12명으로 그것도 그 중 가운데 5명은 ‘중등부 학생선수’이거나 20살을 넘긴 ‘전공과 학생’이었다. 7명만 전국고교대회에 참가 가능한 ‘고등부 학생선수’였다. 7명으론 경기는 고사하고, 선발 라인업도 짤 수 없는 상황이라고 한다. 학교 측의 투자 의지 감소는 물론 후원도 줄어든 상태로 이 때문에 14년 동안 팀을 이끌었던 박상수 감독이 물러나고 말았다.[* 군산상고-원광대를 졸업하고 1993년 쌍방울 레이더스 1차 지명을 받아 입단 후 외야수로 활약한 후 1994년 은퇴하여 2020년 서울학동초등학교 야구부 감독을 맡으면서 지도자로 복귀했다.] 선수 등록을 하지 못하면서 2016년에는 그나마 참가했던 봉황대기[* 당시 글로벌선진학교와 붙어 3:9로 패배했다. 그리고 KBSA 사이트 기준으로는 이 경기가 마지막 공식전으로 남아있다.]마저도 2017년에는 나가지 못했다. 이후 [[고양 원더스]]에서 뛰었던 김재현이 새 감독으로 오고 선수 숫자도 10명이 되면서 주말리그 출전까지는 가능한 상태가 됐지만 여전히 상황은 좋지 못하다.결국 2018년 주말리그 및 봉황대기에도 불참했으며 '''2019년부터는 아예 선수 등록을 하지 못했다.''' 이후로도 이렇다 할 소식이 들리지 않고 있으며 이대로라면 야구부가 계속 유지될 지도 불투명한 실정이다. 그러나, 2021년 제5회 진성로프배 전국농아인야구대회, 2022년 제1회 태백시장기 전국농아인야구대회와 2022년 5월 하순에 시작한 제13회 [[선동열]]배 OK전국농아인야구대회에 등에 참가한 것으로 미루어 고교 정규 대회에는 더는 못 나가지만 '''농아인 야구대회에는 꾸준히 참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제5회 진성로프배에는 예선탈락, 제1회 태백시장기에서는 준우승, 제13회 선동열배에서는 3위 입상의 성적을 거두었다. == 기타 == * 영화 [[글러브(영화)|글러브]]가 충주성심학교 야구부를 모델로 제작되었다. * 2011년 MBC에서 특집 다큐멘터리로 충주성심학교 야구부를 다뤘다.[[http://enews.imbc.com/News/RetrieveNewsInfo/52899|기사]] * 2014년에는 [[http://mobile.kyobobook.co.kr/showcase/book/KOR/9788952228369?partnerCode=NVM&orderClick=mW5|충주성심학교 야구부, 1승을 위하여]]라는 책이 나오기도 했다. [[파일:external/cphoto.asiae.co.kr/2015012117012993374_1.jpg]] * 2015년에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뛰고 있는 [[페르난도 로드니]]가 전지훈련장에 찾아와 1일 강습을 했다.[[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5012117020895616|#]] * 창단 후 첫 경기가 [[성남서고등학교 야구부]]와의 봉황대기 1회전이었으며 평일 낮임에도 지상파로 생중계됐다. 3루 주자가 나가 있는 상황에서 성심학교 타자가 투수 앞 땅볼을 쳤으나 성남서고 투수는 멈칫하더니 홈으로 충분히 토스할 수 있는 상황이었음에도 1루로 던지는 장면을 보여줬다. * 유니폼은 2013년 전까지는 검은 핀스트라이프에 노란색이 들어간, [[한신 타이거스]]를 연상케 하는 유니폼이었지만, 2013년 중 노란색의 자리를 주황색이 대체하는 옛 [[롯데 자이언츠]]의 분위기를 연상케 하는 유니폼으로 변한 것으로 보인다. 2021년 중에는 검은 핀스트라이프가 빠진 것으로 보이며, [[요미우리 자이언츠]]를 연상케 하는 유니폼이 되었다.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고교야구]][[분류:충주시 연고 구단]][[분류:2002년 창단]][[분류:청주가톨릭학원]][[분류:충청북도의 특수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