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충청남도교육청]]의 전신 == 1991년 [[충청남도교육청]]이 설치되기 전에 존재하던 교육자치기구이다. === 연혁 === * 1964. 01. 01. 교육자치제 실시(교육법 개정 법률 제1435호)에 따른 합의제 집행기관인 충청남도교육위원회 설치 * 1991. 03. 26. 시.도단위 교육자치제 실시(법률 제4347호)에 따른 독임제 집행기관인 충청남도교육감으로 개편 * 심의의결기관인 충청남도교육위원회 설치 == [[충청남도교육청]]의 심의의결기관 == 1991년부터 2010년까지 존재하던 [[충청남도]]의 교육관련 심의의결기관이다. [[충청남도교육청]]에서 시행하는 정책 및 예산을 심의의결하고, 교육감과 산하 기관에 대한 감사와 조사 역할을 했다. 초대만 15명이고 이후 총원은 9명이다. 그러다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선출된 [[교육의원]]들이 이 업무를 담당하면서 폐지되게 되었다. 이들은 기존의 교육위원과 달리 [[충청남도의회]] 의원이었고 교육상임위원회의 과반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교육의원#s-2|피선거권 등 여러 문제로 인하여]] 처음이자 마지막 선거 이후 교육의원제도는 사라졌고 일반 광역의원들이 이 역할을 하게 되었다. === 연혁 === * 1991. 09. 02. 제1대 충청남도교육위원회 개원 * 1995. 09. 06. 제2대 충청남도교육위원회 개원 * 1998. 09. 01. 제3대 충청남도교육위원회 개원 * 2002. 09. 01. 제4대 충청남도교육위원회 개원 * 2006. 09. 01. 제5대 충청남도교육위원회 개원 * 2010. 08. 31. 충청남도교육위원회 폐지(의사국 포함) * [[충청남도의회]] 교육위원회로 이관. === 역대 위원 === ==== 제1대 충청남도교육위원회 위원 ==== * [[오재욱]] (후반기 의장) * 민병달 (전반기 의장) * 신현균 (전반기 부의장) * 조명호 (후반기 부의장) * 신재덕 (후반기 부의장) * 김용철 * 김종문 * 오경환 * 우선구 * [[유환준]] * 이영휘 * 이종분 * 임중호 * 정영진 * 최동환 ==== 제2대 충청남도교육위원회 위원 ==== * 최승기 (전반기/후반기 의장) * 공경남 (전반기/후반기 부의장) * [[강복환]] * 김종문 * [[오재욱]] * 이인준 * 채광호 ==== 제3대 충청남도교육위원회 위원 ==== * [[강복환]] (전반기 의장) * 손성래 (전반기/후반기 의장) * 이병학 (전반기 부의장) * 채광호 (후반기 부의장) * 길기은 * 김종문 * 송재빈 * 신동진[*보궐] * 이인준 * 이제상 ==== 제4대 충청남도교육위원회 위원 ==== * 양기택 (전반기/후반기 의장)[*a 2004년 11월 2일 의장 사퇴의사를 밝혔고 8일 새 의장이 선출되었다.] * 손성래 (후반기 의장)[*a] * 남우직 (전반기 부의장) * 최우범 (후반기 부의장) * 고성환 * 김한국 * 박종칠 * 이강화 * 이병학 ==== 제5대 충청남도교육위원회 위원 ==== * 채광호 (전반기 의장) * 장광순 (후반기 의장)[*a 2009년 9월 14일 제242회 임시회를 개최하고 전임 의장단 사임 동의 및 후임 의장단 임명.] * 남우직 (후반기 의장)[*a] * 이은철 (전반기 부의장) * 이성구 (후반기 부의장)[*a] * 송규행 (후반기 부의장)[*a] * [[김지철(교육인)|김지철]] [[분류:충청남도교육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