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 츠마부키 사토시 관련 둘러보기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호리프로 소속 연예인)] || '''{{{#fff 츠마부키 사토시의 출연 작품}}}'''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NHK 대하드라마 시리즈 주연(2000년대))] ---- }}} || || '''{{{#fff 츠마부키 사토시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e5d85c '''역대 [[일본 아카데미상|{{{#e5d85c 일본 아카데미상}}}]]'''}}} || ||<-5> [[파일:japan-academy-prize.png|width=180]] || ||<-5> [[일본 아카데미상/남우주연상|{{{#e5d85c '''최우수 남우주연상'''}}}]] || || '''제32회[br]([[2010년]])''' || {{{+1 → }}} || '''제33회[br]([[2011년]])''' || {{{+1 → }}} || '''제34회[br]([[2012년]])''' || || [[와타나베 켄]][br](지지 않는 태양) || {{{+1 → }}} || '''츠마부키 사토시[br]([[악인#영화]])''' || {{{+1 → }}} || [[하라다 요시오]][br](오시카 마을 소동기) || ||<-5> || || '''제45회[br]([[2022년]])''' || {{{+1 → }}} || '''제46회[br]([[2023년]]) ''' || {{{+1 → }}} || ''' 제47회[br]([[2024년]]) ''' || || [[니시지마 히데토시]] [br] ([[드라이브 마이 카(영화)|드라이브 마이 카]]) || {{{+1 → }}} || '''츠마부키 사토시 [br] (한 남자)''' || {{{+1 → }}} || -[br](-) || ||<-5> {{{#e5d85c '''최우수 남우조연상'''}}} || || '''제39회[br]([[2016년]])''' || {{{+1 → }}} || '''제40회[br]([[2017년]])''' || {{{+1 → }}} || '''제41회[br]([[2018년]])''' || || 모토키 마사히로[br]([[일본 패망 하루전]]) || {{{+1 → }}} || '''츠마부키 사토시[br]([[분노(영화)|분노]])''' || {{{+1 → }}} || [[야쿠쇼 코지]][br]([[세 번째 살인]]) || ||<-5> || ----- ||<-5>
{{{#ffffff '''[[블루리본상|{{{#ffffff 블루리본상 남우주연상}}}]]'''}}} || || '''제52회[br]([[2010년]])''' || {{{+1 → }}} || '''제53회[br]([[2011년]])''' || {{{+1 → }}} || '''제54회[br]([[2012년]])''' || || [[쇼후쿠테 츠루베]][br](우리 의사 선생님) || {{{+1 → }}} || '''츠마부키 사토시[br]([[악인]])''' || {{{+1 → }}} || [[타케노우치 유타카]][br](태평양의 기적-폭스라 불렸던 남자-) || ||<-5> || ---- ||<-5> {{{#e5d85c '''역대 [[키네마 준보|{{{#e5d85c 키네마 준보 베스트 텐}}}]]'''}}} || ||<-5> [[파일:키네마준보.png|width=180]] || ||<-5> [[키네마 준보/연도별 베스트|{{{#e5d85c '''남우주연상'''}}}]] || || '''제76회[br]([[2003년]])''' || {{{+1 → }}} || '''제77회[br]([[2004년]])''' || {{{+1 → }}} || '''제78회[br]([[2005년]] ''' || || [[사나다 히로유키]][br]([[황혼의 사무라이]] / [[복수는 나의 일]]) || {{{+1 → }}} || '''츠마부키 사토시[br]([[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 || {{{+1 → }}} || [[기타노 다케시]] [br] ([[피와 뼈]]) || ||<-5> || ---- [include(틀:역대 엘란도르상 신인상 수상자)] ---- }}} || ---- }}} || ||<-2> '''{{{+1 츠마부키 사토시}}}[br][ruby(妻, ruby=つま)][ruby(夫, ruby=ぶ)][ruby(木, ruby=き)] [ruby(聡, ruby=さとし)] | Satoshi Tsumabuki'''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uki_0.png|width=100%]]}}} || ||<|2> '''출생''' ||[[1980년]] [[12월 13일]] ([age(1980-12-13)]세) || ||[[후쿠오카현]] [[야나가와시]][* 외가는 [[사가현]] [[토스시]]에 있다. THE 밤연회에서 사쿠라이 쇼, 사토 류타와 함께 큐슈 여행 로케를 가던 중 즉흥적으로 들린 적이 있다.]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 '''신체''' ||172cm[* 프로필상으로는 171cm이지만, 본인이 직접 172cm라고 밝혔다.], 55kg, [[O형]] || || '''가족''' ||부모님, 형 츠마부키 신야^^(1978년 5월 19일생)^^ || || '''배우자''' ||마이코[* 1985년 3월 15일생 미국계 일본인으로 이쪽도 역시 배우이다.]^^(2016년 결혼 ~ 현재)^^ || || '''자녀''' ||첫째^^(2019년생)^^ [br] 둘째^^(2022년생)^^ || || '''직업''' ||[[배우]]^^(1998년~)^^ || || '''소속사''' ||[[호리프로]] || || '''링크''' ||[[http://www.horipro.co.jp/tsumabukisatoshi/#|[[파일:호리프로 아이콘.png|width=30]]]] [[https://www.instagram.com/satoshi_tsumabuki_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배우. [[후쿠오카현]] [[야나가와시|야나가와시]] 출신이다. 애칭은 '''붓키'''. == 데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F81083D-D54A-4B43-8A66-E4211ED907F6-26379-00001467C398EEE3.jpg|width=15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84611903-254B-4BC3-B79D-385DC1F8B5E1-25594-000013F714C41FCA.jpg|width=15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605BB9E6-2367-45EF-BD8C-940C93A4117B-26379-000014667B6DAB44.jpg|width=150]]}}} || || '''스타 기계 앞에서''' || '''그랑프리 수상''' || '''독자 모델 시절''' || 1997년에 일본 게임 센터(오락실)에 등장한 세계 최초의 스타 발굴 어트랙션 "스타 오디션"을 이용했다가 연예계에 들어왔다. 게임을 하다가 자신이 찍힌 사진이 전송되고, 그걸 바탕으로 심사를 한 심사위원들이 연락을 주면 오디션에 참가하게 되는 기기였는데, (어린이나 할아버지 등) 모든 참가자를 합치면 참가 인원이 300만 명이 되었었다고 한다. 츠마부키는 이 오디션의 초대 그랑프리 출신. 데뷔 전 잡지 'vip고교생'의 모델으로도 활약했다. 그 잡지는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의 소품으로 쓰이기도 했다. == 밴드 활동 == 데뷔 2년후인 1999년, 츠마부키 사토시의 친형 츠마부키 신야와 함께 BASKING LITE를 결성, 사토시는 [[보컬]]과 [[베이스]]를 맡았다.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라 팬들도 이 사실에 대해 알게 되면 놀라기도 한다. 하지만 작은 규모의 프로젝트였는지 곡을 찾아 듣기는 힘들다. 구글링을해도 잘 나오지 않는다... 하지만 앨범세트가 [[이베이]] 경매에서 꽤 자주 보인다. 가격은 사악하지만 관심이 있다면 참고바람. 사토시는 지금 더 이상 밴드 활동을 하지 않지만 형은 계속 다른 밴드활동을 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베이스]]에 관심이 많아 아직도 즐겨 친다.[* 밴드 [[쿠루리]]의 팬으로 뮤직비디오에 참여하기도 했다.] 보컬 실력이 궁금하다면 영화 '보트'를 참고하면 된다. == 한국에서 == 일드팬들에게는 [[런치의 여왕]]의 잘생긴 셋째(...)와 오렌지 데이즈 주인공으로 유명하고, 영화팬들에게는 [[워터보이즈]],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 그리고 [[기묘한 이야기(일본 드라마)|기묘한 이야기]] 시리즈 중 하나인 '미녀캔'에 출연하여 이름을 알렸다. 한국배우/감독과의 교류가 많은 편이다. [[부산국제영화제]]에 내한해 [[이병헌]]과 토크쇼를 가지기도 했고, 2009년에는 [[하정우]]와 함께 한일합작영화 '보트'에 출연하기도 했으며[* 직접 [[https://www.youtube.com/watch?v=UgGaJ3URVOQ|한국어 대사]]를 치기도 했다. --그러쳐--], '황금을 안고 튀어라'에서 [[최강창민]]과 호흡을 맞추기도 했다. 또한 재일교포 영화감독 [[이상일(영화 감독)|이상일]]의 작품에 자주 주연을 맡는데, [[무라카미 류]]의 자전적 소설을 영화화한 [[69(소설)|69]]에서 이상일 감독과 처음 만난 후 감독이 마음에 들었는지 2010년작 '[[악인]]', 2016년 '[[분노(영화)|분노]]' 등 계속해서 그 인연을 이어나가고 있다. 2018년에는 [[우행록: 어리석은 자의 기록]]의 홍보차 내한했다.[[https://www.news1.kr/photos/details/?3460310|#]] == 여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E56BF2F-FE16-416D-97D8-B3862A4979CF-12220-000017390EA606D5.gif|width=100%]]}}} || * 눈물이 많아 영화 시사회에서 출연 소감을 말할 때 자주 운다. 실제로 슬픈 내용의 다큐멘터리나 영화를 보면 자주 운다고 한다.[* 2006년 작 [[눈물이 주룩주룩]]에서의 오열신은 애드립 연기로 큰 호평을 받았다. --사실 조제.. 때부터 오열신엔 일가견이 있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8af7e8ffd5ac976099f9aa64dd6955f0.jpg|width=100%]]}}} || * 고슴도치 머리조차 소화하는(...) 얼짱 졸업사진으로 나름 유명했다. * 과거 배우 [[시바사키 코우]]와 3~4년간 연애를 했었다. 당시 두 배우는 핫한 청춘스타였고, 드라마에서 보여준 케미로 헤어진 후에도 열애설만 나면 서로가 소환되곤 했다. 현재는 마이코라는 배우와 결혼했다. * 연기력이 괜찮은 편이라, 역할이 생각보다 한정되는 상당수 꽃미남 배우들과 달리 배우로서의 스펙트럼이 굉장히 넓은 편이다. 백수, 찌질이부터 사이코 형사, 무사, 천재 살인마까지 다양한 역으로 지금까지 활약 중. * 영화 [[분노(영화)|분노]] 촬영을 위해 상대역인 [[아야노 고]]와 2주간 호텔에서 동거한 경험이 있다. [[이상일(영화 감독)|이상일]]이 커플이 아니라 각개의 배우로 보인다는 말에 짧지만 실제로 같이 살면서 게이 커플처럼 보일 수 있게 노력했다고. * 항상 [[퀴어영화]]를 찍고 싶다는 열망이 있었다고 말했다. [[분노(영화)]]로 게이 캐릭터를 연기할 수 있어서 좋았지만 그래도 아쉬웠는지 또 다른 퀴어영화에 출연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다. 그럼 상대배우는 누구를 원하냐는 대만 인터뷰어의 질문에 친분이 있는 [[장첸(배우)|장첸]]이라고 답했다. 장첸이 원하지 않아도 본인은 장첸을 원한다고.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G_0225.gif|width=100%]]}}} || * 대만 배우 [[장첸(배우)|장첸]]과 국경을 넘어선 우정을 자랑한다. 자객 섭은낭에서 만나기 전부터 친구 관계였으며 장첸이 종종 일본에 놀러가 츠마부키와 식사를 할 정도로 친하다고 한다. * SNS를 하나도 하지 않아 상당수 팬들이 답답해했는데, 2020년 10월 [[https://www.instagram.com/satoshi_tsumabuki_official/|드디어 인스타그램을 하기 시작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rashi-japonism-arena-tsumabuki-5.jpg|width=275]]}}}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sumabukiuchiwa.jpg|width=200]]}}} || * [[아라시(아이돌)|아라시]]의 남팬이다. 대부분의 콘서트에 참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팬 용품을 사기도 한다고. 그중에서도 [[사쿠라이 쇼]]와는 아주 절친한 사이로 알려져있다.[* [[사쿠라이 쇼]], 츠마부키 사토시, [[사토 류타]] 이 세 명은 연예계에서도 손 꼽히는 친구다. 사쿠라이 쇼가 막내고 전부 한 살 [[터울]]이고, 모두 [[키사라즈 캣츠아이]]에 출연한 바 있지만 사실 드라마 천국에 가장 가까운 남자에서 처음 함께 일했다.--키사라즈만 적어둔거 누구야-- 사쿠라이 쇼가 진행하는 방송인 밤연회에서 셋이서 18년도에 술집에서 이야기를 나누며 여행가고 싶다는 말이 나오더니, 19년도부터 3년 간 세 번 여행을 다녀온 적 있다.(1탄은 큐슈, 2탄은 키사라즈, 3탄은 군마)] * 관련 서적으로는 필모그래피와 '그, 츠마부키 사토시'가 있다. 필모그래피는 시중에서 구하기 쉬운 반면 후자는 희귀하여 [[이베이]]에서 높은 가격에 거래된다. 참고로 필모그래피는 (일본어) 인터뷰+포토앨범 몇 장이기 때문에 일본어 능력이 뛰어나지 않는 이상 큰 기대를 하지 말자. 여기서의 포토앨범에서도 베이스를 치는 모습이 나온다. * 홍콩, 대만, 동남아시아 등지에서도 팬들이 제법 있는 편이다. * 취미는 [[요리]]와 [[베이스]], [[조깅]]이며, 음식 중엔 [[낫토]]와 [[소바]]를 좋아한다고 한다. * [[영어]] 울렁증이 있다. * 곱슬머리로 습한 날씨면 메이크업 담당자들이 힘들어 한다고 한다. * 신체 사이즈는 172cm, 55kg인데 이것만 봐서는 많이 왜소하고 말랐을 것 같지만 [[워터보이즈]]에서 노출몸매를 보면 의외로 어깨깡패이다. * 전성기 때는 일본 20~30대 여성팬층에서 인기가 많았고, 한국에도 제법 내한해 꽤 호감도 높은 일본 배우였다. * 2016년 동료 배우 '마이코'와 4년간의 열애 끝에 결혼했다. * 2019년 12월 첫 아이가 태어났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60804-tsumabukimaiko02_full.jpg|width=100%]]}}} || * 글씨체가 굉장히 귀엽다. 자필 편지로 결혼 발표의 심경을 전했는데 글씨체가 귀엽다며 화제가 되기도 했다. * [[동안]]이라 30대에 고등학생 역을 맡기도 했다. '아이와 마코토'라는 뮤지컬 영화. 다만 2020년 기준 40대가 다가오면서 결국 세월의 힘을 이기지는 못했는지 이전에 비하면 눈가에 주름이 지는 등 노화가 진행되긴 했다. 근데 그게 또 꽃중년 느낌이 드는게 함정. --잘생기고 볼 일-- == 주요활동 == === 영화 === 다작하는 배우지만, 상대적으로 드라마보단 영화에 많이 출연하는 편이다. * 수수께끼의 전학생(1998, 이와타 코이치 역) * GTO (1999, 카와라자키 오이치로타 역) * 토미에 re-birth (2001, 아오야마 타쿠미 역) * [[워터보이즈]] (2001, 스즈키 역) [* 츠마부키 사토시가 본인의 대표작으로 꼽는 영화로, 풋풋했던 시절 츠마부키의 모습을 감상할 수 있다.] * SABU ~사부~ (2002, 사부 역) * Jam Films 〈JUSTICE〉 (2002, 토죠 역) * 안녕, 쿠로 (2003, 키무라 료스케 역) * 드래곤 헤드 (2003, 아오키 테루 역) *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 (2003, 츠네오 역) [* 일본영화평점순위 8위. 실제 츠마부키의 대표작 중 하나기도 하다.][* [[쿠루리]]가 ost 작업에 참여했다. ost 뮤직비디오에는 츠마부키 사토시가 참여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NyvSSVCABdk&list=PLw0L1DrZ1fV8_HFwF0ZUlVkKyC0wsUYXw|#]]] * 오늘의 사건 사고 a day on the planet (2004년, 나카자와 역) * [[69(소설)]] (2005, 야자키 겐스케 역) * 약 30개의 거짓말 (2004, 사사키 켄지 역) * 로렐라이 (2005, 오리카사 유키토 역) * 철인 28호 (2005, 풍경 판매원 역) * 한밤중의 야지 상 키타 상 (2005, 환상의 야지로베에 역) * 봄의 눈 (2005, 마츠가에 키요아키 역) * 부드러운 생활 (2006, 마음 약한 야쿠자 역) * [[The Fast and the Furious Tokyo Drift]] (2006, 카메오 역) [* 분노의 질주의 시리즈마다 나오는 스타트를 끊는 단역으로 출연, 원래는 꽤 비중있는 역으로 출연하려 했지만 스케줄상의 문제로 카메오로만 출연했다. ~~엔딩 크레딧에 나오는 배역 이름이 무려 Exceedingly Handsome Guy~~] * [[눈물이 주룩주룩]] (2006, 아라가키 요타로역) [* 이 영화를 모티브로 하여 만들어진 노래가 [[윤종신]] 작사/작곡, [[박정현]] 보컬의 '눈물이 주룩주룩'이다.] * 도로로 DORORO (2007,·핫키마루 역) * 츠키가미 (2007, 벳쇼 히코시로 역) * 콰이어트 룸에 어서오세요 (2007, 코모노 역) * 더 매직 아워 (2006, 빙고 역) * 어둠의 아이들 (2008, 요다 히로아키 역) * [[도쿄!]] (2008, 타케시 역) * 파코와 마법 동화책 (2008, 무로마치 역) * P짱은 내친구 (2008년, 호시 선생님 역) * [[블레임: 인류멸망 2011]] (2009,·마츠오카 츠요시 역) * 보트 (2009, 토우루 역) [* 한일 합작 영화로 [[하정우]]와 함께 주연, 대사의 2/3이 한국어라 힘들었는데 받침이 가장 힘들었다고 한다.] * 비욘의 아내~버찌와 민들레~ (2009, 오카다 역) * 악인 (2010, 시미즈 유이치 역) [* 연기에 너무 몰두한 나머지 본인의 실제 성격이 어땠는지 의아하게 됐다고 인터뷰에서 밝혔다. --진정한 연기파-- 실제 청춘스타 이미지가 강하던 츠마부키에게 전혀 다른 면모를 부각시킨 작품.] * 슈얼리 섬데이 (2010, 경관 A 역) * 마이 백 페이지 (2011, 사와다 역) * 스머글러 (2011, 키누타 역) * 아이와 마코토 (2012, 타이가 마코토 역) * 황금을 안고 튀어라 (2012, 코다 히로유키 역) * [[동경가족]] (2013, 히라야마 마사츠구 역) * 기요스 회의 (2013, 오다 노부카츠 역) * 져지! (2014, 오오타 키이치로 역) * 작은 집 (2014, 아라이 타케시 역) * 우리의 가족 (2014, 와카나 코스케 역) * [[갈증]] (2014, 아사이 역) * [[도라에몽: 스탠바이미|STAND BY ME 도라에몽]] (2014, 청년 [[노진구|노비타]] 역) * 마이코는 레이디 (2014, 아카기 유이치로 역) * 밴쿠버의 아침 해 (2014, 레지 카사하라 역) * [[자객 섭은낭]] (2015, 마경소년 역) [* [[허우샤오셴]] 감독의 작품으로 서기가 출연한다.] * 동경가족: 두번째 이야기 (2016, 히라타 쇼타 역) [* 동경가족 감독과 출연진들은 모두 동일하나 동경가족의 후속편은 아니다. 원제는 '가족은 괴로워'. 그런데 국내에서 동경가족: 두번째 이야기로 번역되는 바람에 이 시리즈의 표기가 완전히 엉망이 되어버렸다.] * 나으리, 이자이옵니다! (2016, 아사노야 진나이 역) * 뮤지엄 (2016, 키리시마 사나에 - 개구리맨 역) * [[분노]] (2017, 후지타 유마 역) * [[우행록: 어리석은 자의 기록]] (2017, 타나카 역) * 토네이도 걸 (2017, 코로키 유지 역) * 왓 어 원더풀 패밀리! 2 (2017년, 히라타 쇼타 역) [* 가족은 괴로워2.] * 당인가탐안2 (2018, 노다 히로시 역) [* 당시 기준 중국 역대 박스오피스 흥행 3위. 절친한 --퀴어영화를 함께 찍고 싶은-- 대만 친구 [[장첸(배우)|장첸]]의 추천으로 출연을 결심했다고 한다. 이 영화에서 츠마부키는 중국어는 물론 영어도 한다. ~~영어울렁증 극복?~~] * 왓 어 원더풀 패밀리! 3 : 마이 와이프, 마이 라이프 (2018, 히라타 쇼타 역) [* 가족은 괴로워3.] * 울보 쇼탄의 기적 (2018, ) * [[온다(2018)|온다]] (2018) * 파라다이스 넥스트 (2019) * 아사다가족 (2020) * [[탐정 당안 3]] (2020, 노다 히로시 역) * 레드 (2020, 구라타 아키히코 역) * [[한번 죽어 봤다]] (2020, 크라운 호텔 지배인 역) * [[도라에몽: 스탠바이미 2|STAND BY ME 도라에몽 2]] (2020, 청년 [[노진구|노비타]] 역) * [[한 남자(영화)|한 남자]] (2022, 키도 아키라 역) === 드라마 === * 멋진 날들 (1998) * 미소녀H 2 (1999) * 호스테스의 꽃길 (1999, 나카타 역) * 사랑의 기적 (1999) * 무서운 동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1999, 마츠자와 역) * 슬로우 댄스 (2000) * [[IWGP 시리즈|이케부쿠로 웨스트 게이트 파크]] (2000, 사이토 후지오 역) * 리미트 ~만약, 우리 아이가~ (2000, 시오야 아츠시 역) * 카바치타레! (2001, 마치다 카즈야 역) * 학교 괴담 봄 원령 스페셜 〈우리의 문화제〉 (2001) * 천국에서 가장 가까운 남자 (2001, 오키노시마 타다시 역) * [[속도위반결혼(드라마)|속도위반 결혼]] (2001, 신죠 타쿠미 역) * 플라토닉 섹스 (2001, 츠지모토 슌 역) * 츄신구라 1/47 (2001, 타카다 군베에 역) * 롱 러브 레터~표류 교실~ (2002, 후지사와 류타 역) * 도쿄 지름길 걸 (2002, 아키라 역) * 키사라즈 캐츠아이 (2002, 리틀 야마다 역) * 웨딩 플래너 (2002, 나루미 슌헤이 역) * [[런치의 여왕]] (2002, 나베시마 준자부로 역) * [[IWGP 시리즈|이케부쿠로 웨스트 게이트 파크]] SP:뼈의 소리 (2003, 사이토 후지오 역) * [[블랙잭에게 안부를]] (2003, 사이토 역) * 블랙잭에게 안부를 (SP) (2004, 사이토 에이지로 역) * 희망 없는 자 (2004, 야시로 키이치로 역) * 오렌지 데이즈 (2004,유우키 카이 역) * 기묘한 이야기 <미녀캔> (2005, 유타 역) * 슬로우 댄스(2005, 세리자와 리이치 역) * 천국과 지옥 (2007, 타케우치 긴지로 역) * [[천지인(드라마)]] (2009, [[나오에 카네츠구]] 역) * 히가시노 게이고 미스테리즈 제 6화 <제스쳐 게임이 가득> (2012, 키타자와 타카노리 역) * 젊은이들 (2014, 사토 아사히 역) * 납치여행(단편) (2016, 아빠 역) * 이노센트 데이즈 (2018, 사사키 신이치 역) [* 우행록을 함께 한 이시카와 케이가 감독을 맡았다. 원작자의 작품 중 츠마부키가 가장 좋아하는 작품으로 아예 '팀 츠마부키'로 불릴 정도로 실사화가 되는 과정에 많은 기여를 했다. 여자주인공은 런치의 여왕, 봄의 눈에서 호흡을 맞췄던 타케우치 유코가 연기했다.] * 위험한 비너스 (2020, 테시마 하쿠로 역) [* 드라마 최종회 방영일이 2020년 12월 13일이었는데 이 날은 츠마부키의 40세 생일이어서 드라마 공계에서도 이를 축하해주었다.[[https://twitter.com/kikenna_venus/status/1338083833216811008?s=19|#]]] * [[겟 레디!]] (2022) === 수상내역 === || '''연도''' || '''수상''' || '''작품''' || || 2023 || 제46회 일본 아카데미상 최우수 주연 남우상 || 한 남자 || || 2017 || 제40회 일본 아카데미상 최우수 조연 남우상 || 분노 || || 2016 || 제29회 도쿄 국제 영화제 ARIGATŌ상 || 본인 || ||<|2> 2014 || 제6회 TAMA영화상 최우수 주연 남우상 || 우리들의 가족 외 || || 제37회 일본 아카데미상 우수 조연 남우상 || 동경가족 || ||<|2> 2011 || 제53회 블루리본상 주연 남우상 || 악인 || || 제34회 일본 아카데미상 최우수 주연 남우상 || 악인 || || 2010 || 제23회 닛칸 스포츠 영화 대상 주연 남우상 || 악인 || || 2007 || 제30회 일본 아카데미상 우수 주연 남우상 || 눈물이 주룩주룩 || || 2006 || 제29회 일본 아카데미상 우수 주연 남우상 || 봄의 눈 || ||<|4>2004|| 제2회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영화제 최우수 주연 남우상 ||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 || || 제29회 호치 영화상 최우수 주연 남우상 ||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 외 || || 제41회 더 텔레비전 드라마 아카데미상 최우수 주연 남우상 || 오렌지 데이즈 || || 제12회 하시다상 신인상 || 블랙잭에게 안부를 || ||<|4> 2003 || 제77회 키네마 준보 베스트 10 최우수 주연 남우상 ||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 || || 제25회 요코하마 영화제 최우수 주연 남우상 || 안녕, 쿠로 || || 제18회 타카사키 영화제 최우수 주연 남우상 ||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 || || 제37회 더 텔레비전 드라마 아카데미상 최우수 주연 남우상 || 블랙잭에게 안부를 || ||<|5> 2002 || 제25회 일본 아카데미상 신인 배우상 || 워터 보이즈 || || 제25회 일본 아카데미상 우수 주연 남우상 || 워터 보이즈 || || 제39회 골든 애로상 영화 신인상 || 워터 보이즈 || || 제26회 [[엘란도르상]] 신인상 || 워터 보이즈 || || 제34회 더 텔레비전 드라마 아카데미상 최우수 조연 남우상 || 런치의 여왕 || [[분류:일본 남배우]][[분류:1980년 출생]][[분류:1998년 데뷔]][[분류:야나가와시 출신 인물]][[분류:NHK 대하드라마 시리즈 주연배우]][[분류:호리프로 소속 연예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