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표절, version=93, source=한국어 위키백과)] [include(틀:친선고속 계열사)] [include(틀:충청북도의 시외버스 회사)]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P3203869.jpg|width=100%]] || [[파일:친선.jpg|width=100%]] || || 구도색 || 현재 사용중인 도색 || ||<-2> {{{+3 친선고속(주) }}} || ||||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C1%A6%B8%F1_%BE%F8%C0%BD-1.png|width=200]] || ||'''상호'''|| 친선고속(주) || ||'''주소'''|| [[충청북도]] [[충주시]] 대림9길 11 (문화동) || ||'''대표이사'''|| 이종선 || ||'''설립일자'''|| 1951년 12월 15일 || ||'''업종'''|| [[시외버스]] || [목차] == 개요 == {{{+2 親善高速}}} [[충청북도]] [[충주시]]의 [[시외버스]] 업체이며[* 충청북도의 고속.시외버스 회사 중 경기도 번호판을 달고있고 안성 죽산을 본사로 뒀지만 실 본사는 진천인 경일여객을 제외하고 이 회사만 유일하게 본사가 청주시가 아닌 충주시에 있다.][* [[서울고속(충북)|서울고속ㆍ새서울고속]], [[충북리무진]], [[코리아와이드 대성]]은 본사가 청주에 있다.] 시외버스 인가대수는 '73대'로 비교적 소규모 회사다. 계열사로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인 [[도선여객]]이 있다. 1951년 친선버스라는 이름으로 창립되어 오랜 시간동안 충주지역의 향토업체로 자리잡고 있으며, 1981년까지는 [[충주시 시내버스|충주]], [[제천시 시내버스]]와 단양 군내버스를 보유하고 있었으나 1979년~1981년 사이 각각 [[충주교통]], [[제천교통]], [[단양버스]]로 분리 독립하였고, 2001년 친선고속으로 이름을 변경했다. == 노선 == [[충주공용버스터미널|충주]], [[청주시외버스터미널|청주]][* 충주-청주를 잇는 버스는 무정차와 음성/증평 등을 경유하는 직행, 수안보/칠성/괴산/증평 등을 경유하는 완행이 있는데 완행은 이 회사 독점, 직행 및 무정차는 일부 시간대에 이 회사가 운행 중이다.], [[제천버스터미널|제천]]을 중심으로 [[단양시외버스공영터미널|단양]], [[괴산시외버스공용터미널|괴산]] 등 충청북도/[[대전복합터미널|대전복합]] 등 [[대전광역시]] 관내를 운행하는 지선과 [[수원버스터미널|수원]]을 중심으로 충주, [[점촌터미널|점촌]], [[제천버스터미널|제천 방면]]으로 운행하는 수원노선([[KD 운송그룹]]과 공동배차, 1회는 [[장호원버스터미널|장호원]] 경유 완행으로 운행, 1회는 [[서수원시외버스터미널|서수원]]에서 출발.), [[인천종합버스터미널|인천]]을 중심으로 [[청주북부정류장|북청주]]([[서울고속(충북)|서울고속]], [[금남고속]]과 공동배차), [[진천시외버스터미널|진천]]([[경일여객]], [[삼흥고속]]과 공동 배차), [[음성공용버스터미널|음성]], [[충주공용버스터미널|충주]], [[증평시외버스터미널|증평]], [[문경버스터미널|문경]], [[점촌터미널|점촌]], [[상주종합버스터미널|상주]] 방면으로 운행하는 인천 노선으로 나눌 수 있다. 그 외 [[청주시외버스터미널|청주]]에서 출발하여 [[점촌터미널|점촌]] 방면으로 운행하는 버스도 있다. 또한 [[충주공용버스터미널|충주]]에서 출발하여 [[영월버스터미널|영월]]로 가는 버스도 이 회사가 보유 중이다. [[제천버스터미널|제천]]에서 [[영월버스터미널|영월]]로 가는 버스도 일부 시간대지만[* [[경기고속]], [[영암고속]]과 공동배차.] 운행 중이다. 그 외에도 [[부천터미널 소풍|부천]]에서 출발하여 [[안양시외버스정류장|안양]], [[영월버스터미널|영월]]등을 경유한 후 [[태백시버스터미널|태백]]으로 가는 노선도 [[영암고속|영암/화성고속]]과 공동 배차 하고 있으며[* 코로나19로 인해 2020년 3월 6일에 운행중지], --청주에서 출발하여 [[안동터미널|안동]]으로 가는 노선도 운행 중이다.-- 이 외에는 [[부천종합터미널|부천]]에서 출발하여 [[제천버스터미널|제천]] 방면으로 운행하는 버스, [[안산종합버스터미널|안산]]에서 출발하여 [[제천버스터미널|제천]], [[단양시외버스공영터미널|단양]]으로 가는 버스[* [[대원고속]]과 공동배차중.]를 보유하는 등 충북 북부 지역 및 경기도 서남부 지역에서는 꽤나 활발한 편이다. 다만 다른 충북 시외버스 업체들이 서울행 노선을 보유하고 있는 것과 다르게 친선고속에는 서울행 노선이 없는 것이 특징인데, 과거에는 충주에서 출발하여 완행으로 [[서울남부터미널|남서울(서울 남부)]]까지 운행하는 노선도 있었으나 KD 운송그룹의 [[동서울터미널|동서울]], [[센트럴시티|강남]] [[전환고속]] 노선과 차량, 소요시간 등의 서비스 경쟁에서 밀려 사라진 흑역사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 서울행 노선이 없는 것은 아쉬운 부분이다. 참고로 현재 충주에서 서울남부로 가는 노선은 [[KD 운송그룹]]에서 운행 중이다.[* 하루 1회 운행 중인 시외버스 노선이며, 무정차 고속버스 노선인 동서울, 강남과는 달리 주덕, 일죽을 경유한다. 소요 시간은 [[고속버스 동서울-충주|동서울]], [[고속버스 서울호남-충주|강남행 고속버스]]보다 약 15~20분 정도 더 걸리며 차량 상태도 고속버스에 비해 좋지 않다. 현재는 코로나19로 인해 운행중단 되었다.] 또한 경북도 점촌, 상주, 문경, 예천, 안동에만 진출했지 [[울진종합버스터미널|울진]] 등 동해안북부 지역이나 [[구미종합터미널|구미]], 대구, [[경주시외버스터미널|경주]], [[포항터미널|포항]] 등 대구경북에서 큰 지역이라고 불리는 지역은 들어가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구미는 2007년에 진출했었으나 2010년 초중반에 철수했다. 시흥시화-청주 노선중 일부시간대를 구미로 연장해서 운행했었다.] 또한 청주에서 [[부평역시외버스정류장|부평역]], [[시흥종합버스터미널|시화(시흥)]]으로 가는 노선도 있었으나 서울고속에 노선을 양도했고[* 최근 서울고속도 운행을 중단한 상태.], 청주에서 [[화정터미널|고양(화정)]]으로 가는 노선은 KD 운송그룹에 양도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로 인해 타 회사보다 더 큰 타격을 입었다. [[서울고속(충북)|서울고속]], [[금남고속]] 등 타 충청권 회사보다 더 많이 줄였으며, 특히 주요 노선 중 하나였던 [[시외버스 부천-태백|부천-태백 노선]][* [[영암고속]], [[화성고속]]과 공동배차.]은 2020년 3월 6일에 운행을 중지했다가 2023년 4월 20일에 재개하였다. [[제천버스터미널|제천]]발 [[충주공용버스터미널|충주]], [[청주시외버스터미널|청주]]행 대부분을 이 회사가 운행하고 있었는데 2회만 남기고 전멸했다.[* 2021년 12월 기준으로 친선고속 외 운행회사는 1회는 [[서울고속(충북)|서울고속]], 1회는 [[코리아와이드 대성]]에서 운행한다.] 꽤 많은 배차를 가지고 있던 수원-점촌도 [[경기고속]]으로 넘겼다. 2023년 12월, 코스표를 개편하면서 제천 ~ 수원, 수원 ~ 음성 / 충주에 우등버스가 들어가기 시작했으며, 특히 제천 ~ 수원 '''직행'''은 우등할증을 시행한다고 한다. 동시에 제천/태백 ~ 부천 및 제천 ~ 수원 노선에 대한 요금인하가 실시되었다. 예정되어 있던 제천 ~ 영월 운행중단은 철회하는 대신 무정차 운행으로 전환하였다. == 면허 체계 == * 충북 '''5''' 아 '''16##'''호(1996년 이전) * 충북 '''71''' 아 '''16##'''호(1996년 이후) 특이하게 예를 들어 1647호라면 중간에 6을 빼고 147만 측면에 적는다. == 차량 관련 == 유니버스와 그랜버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현대버스를 선호하며 기아버스는 2018년부터 아주 가끔 뽑는다.][* 1970~80년대 후반만 해도 전신인 친선버스 시절에 새한/대우자동차의 차종을 운행한 적이 있었는데 1970년대 후반에는 BF101 시외완행 중문형을 도입했으나, 1987년~1988년에 도입한 대우 BV113Q 2기형을 끝으로 자체적으로 대우자동차의 차량 도입을 중단했으며 전부 현대자동차의 버스로 대차. 2000년대 초반 [[자일대우버스 BH|대우 BH113 로얄에이스]]를 소수를 중고로 도입한 바 있었으나 2000년대 중반에 [[현대 에어로버스|현대 에어로 스페이스 LD, LS]]로 거치고 2010년대 중후반에 [[현대 유니버스|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스페이스 럭셔리]] 차량으로 대차됐다.], 수원/인천노선 등 [[고속도로/대한민국|고속도로]] 운행 노선에는 일부 예비차를 제외하면 새차를 투입하며, 수원/인천노선에서 3~4년가량 운행하면 단거리 지선으로 옮겨서 운행한다. 도색은 2023년 이전까지는 현대 유니버스 카탈로그 도색을 사용했다.[* 이 외에 [[금강고속]]이 유니버스 출시 이후 프리미엄 버스를 제외하면 유니버스 카탈로그 기본 도색인 하늘색 대신 빨간색으로 변형해서 사용한다.] 2023년 신차부터 순차적으로 고유 도색을 사용한다. 코로나19로 인해 2020년 3월을 마지막으로 신차 소식이 한동안 없었지만 2023년 6월에 나온 신차는 유니버스 럭셔리의 단종으로 유니버스 엘레강스로 도로 회귀했으며 창립 이래 처음으로 [[자동변속기]]로 출고했다. 우등버스는 [[시외버스 부천-태백|부천-태백선]]에 투입됐다가 코로나19로 인해 운행이 중지되면서 휴차했다 2023년 4월 14일부터 제천-부천에 2회 투입해 다시 운행하며 4월 20일부터는 태백-부천 재개에 따라 다시 우등버스가 추가로 들어간다. === 현재 보유차량 === ==== [[현대자동차]] ==== * [[현대 유니버스|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스페이스 럭셔리 디젤]] * [[현대 유니버스|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엘레강스 디젤]] * [[현대 유니버스|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럭셔리 디젤]] ==== [[기아]] ==== * [[기아 그랜버드|기아 뉴 그랜버드 그린필드 디젤]] === 과거 보유차량 === ==== [[현대자동차]] ==== * [[현대 HD버스|현대 HD160 디젤]] * [[현대 HD버스|현대 HD170 디젤]] * [[현대 에어로버스|현대 에어로 600 디젤]] * [[현대 에어로버스|현대 에어로 이코노미 디젤]] * [[현대 에어로버스|현대 에어로 스페이스 LD 디젤]] * [[현대 에어로버스|현대 에어로 스페이스 LS 디젤]] * [[현대 유니버스|현대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 디젤]] * [[현대 유니버스|현대 유니버스 스페이스 럭셔리 디젤]] ==== [[자일대우버스]] ==== * [[새한 BD|새한 BD098 디젤]] * [[자일대우버스 BF|새한 BF101 디젤]] * [[자일대우버스 BV|대우 BV113Q 디젤]] * [[자일대우버스 BH|대우 BH113 로얄에이스 디젤]] ==== [[KG모빌리티]] ==== * [[동아 HA/HR버스|동아 HA20L 디젤]] [[분류:충청북도의 시외버스 회사]][[분류:1951년 설립]][[분류:친선고속 계열사]][[분류:충주시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