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칠레의 대외관계)] [include(틀:이스라엘의 대외관계)] || [[파일:칠레 국기.svg|width=100%]]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100%]] || || [[칠레|{{{#ffffff '''칠레'''}}}]] || [[이스라엘|{{{#fff '''이스라엘'''}}}]] || [목차] [clearfix] == 개요 == [[칠레]]와 [[이스라엘]]의 관계에 대한 문서다. 양국은 이스라엘 건국 이후에 수교했다. 양국은 [[OECD]]에 가입돼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79/0002153359?sid=101|#]] 칠레에는 [[유대인]]들이 거주하고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2454003?sid=103|#]] == 역사적 관계 == === 21세기 === 칠레와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문제와 관련해서 일부 갈등이 존재한다. 2008년 12월 29일, 산티아고시에서 반 이스라엘 시위가 일어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2446321?sid=102|#]] 2010년 11월 10일, 이스라엘이 칠레 광산에서 생존한 광부들을 초청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4755587?sid=102|#]] 2011년 1월 10일, 피녜라 대통령이 이스라엘을 방문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4859331?sid=100|#]] 8월 6일과 8월 9일에는 경제적 위기로 인한 청년층들의 시위가 양국에서 일어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6/0000025224?sid=104|#]] 2012년 1월 2일, 칠레의 토레스 델 파이네 국립공원에서 화재가 일어나 칠레 경찰은 화재의 유력한 용의자로 이스라엘인 관광객을 지목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4274872?sid=104|#]] 칠레 검찰은 이스라엘 남성 관광객을 방화 혐의로 체포했다가 출국 금지를 조건으로 석방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5450915?sid=102|#]] 1월 3일, 이스라엘이 칠레 국립공원의 복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4277122?sid=104|#]] 이스라엘의 가자 지구 공습과 관련해 칠레를 포함한 중남미 국가들이 이스라엘을 규탄했다. 2014년 7월 15일, 프랑스와 독일, 칠레 등에서 반 이스라엘 시위가 일어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5/0000281948?sid=104|#]] 7월 31일, 브라질, 에콰도르, 니카라과, 칠레, 페루, 엘살바도르 등이 가자 지구 상황을 파악한다며 텔아비브 주재 대사들을 불러들였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7046300?sid=100|#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5991126?sid=104|#2]][[http://kor.theasian.asia/archives/112408|#3]] 2015년 1월 15일, 에랄도 무노스 칠레 외무장관은 유엔과 미국, 유럽연합(EU), 러시아 등 4개 당사자 외에 아랍연맹과 기타 다른 당사자들도 이스라엘-팔레스타인 회담에 많이 참가해야 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6307562?sid=104|#]] 2018년 1월 7일, 이스라엘 정부는 팔레스타인 점령에 저항하는 보이콧 NGO 20곳을 입국금지시켰는데 미국과 영국, 프랑스, 남아공, 칠레의 NGO가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9796569?sid=104|#]] 트럼프 행정부 당시, 온두라스, 칠레, 과테말라가 예루살렘으로 대사관 이전을 검토한 적이 있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4754158?sid=104|#]] 2019년 12월 11일, 칠레군의 실종된 공군기 수색에 아르헨티나, 브라질, 우루과이, 미국, 이스라엘이 참여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1270933?sid=104|#]] ==== 2020년대 ==== [[코로나19]]가 전세계로 퍼지며 혼란이 일어났고 양국에서 시위가 일어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1569204?sid=104|#]] 칠레가 [[코로나19]] 백신 접종에서 이스라엘을 제치고 1위를 기록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11004379?sid=104|#]] 2021년 5월 4일, 이스라엘에서 칠레발, 브라질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가 확인됐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0481476?sid=104|#]] 2022년 9월 16일, 가브리엘 보리치 칠레 대통령이 주 칠레 이스라엘 대사의 신임장을 거부해 논란이 일어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444199?sid=104|#]] == 여담 == 양국은 기름을 짜기 위한 [[아보카도]]를 생산하고 있다.[[https://news.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19040310264035024e4869c120_1/article.html?md=20190403110447_U|#]] 이스라엘에서는 [[와인]]을 즐겨마시지만,[* 한국에도 이스라엘산 와인이 일부 수입된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4655167?sid=101|#]]] 자국에서 생산되는 [[코셔]] 와인만으로는 수요를 충당하기 어려워 칠레에서 코셔 와인을 수입하고 있다. == 관련 문서 == * [[칠레/외교]] * [[이스라엘/외교]] * [[OECD]] * [[칠레/경제]] * [[이스라엘/경제]] * [[칠레인]] / [[이스라엘인]] / [[유대인]] * [[스페인어]] / [[히브리어]] * [[대국관계일람/아메리카 국가/남아메리카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서아시아 국가]] [[분류:칠레의 대국관계]][[분류:이스라엘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