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함정 카드.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DarkSpiritoftheSilent-JP-Manga-DM-color.png]] || 한글판 명칭 ||'''침묵의 다크 스피리트''' (원작 코믹스)[br]'''침묵의 사악령'''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일어판 명칭 ||'''[ruby(沈黙, ruby=ちんもく)]の[ruby(邪悪霊, ruby=ダーク・スピリット)]'''|| || 영어판 명칭 ||'''Dark Spirit of the Silent'''|| ||<-2> 지속 함정 {{{-2 (원작)}}}[br]일반 함정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2>상대 몬스터가 공격을 선언했을 때에 발동! 사악령은 그 몬스터에 빙의하여 공격 명령을 다른 몬스터 1마리와 교체할 것을 골라도 된다.|| 원작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배틀 시티 본선 편|배틀 시티 본선 편]]에서 [[어둠의 바쿠라]]가 사용. 상대인 [[어둠의 유우기]]의 필드엔 공격 표시의 [[마그넷 워리어|마그넷 워리어 γ]]와 [[블랙 매지션 걸]]이 있었고, 바쿠라는 몬스터가 없는 상태였다. 그러나 [[어둠의 유우기]]는 [[암흑의 문]]의 효과로 몬스터 1장으로밖에 공격할 수 없었고, 마그넷 워리어와 블매걸 둘 중 하나엔 [[암흑 성역]]의 원령이 빙의돼 있어 잘못 선택하면(원령이 빙의된 몬스터로 공격하면) 오히려 유우기의 라이프가 깎이는 상황. [[어둠의 유우기]]는 고민하다 예리한 감으로 원령이 빙의되지 않은 마그넷 워리어를 찍어 제대로 공격 선언했다. 이에 어둠의 바쿠라도 감탄했으나 그것도 잠시, 침묵의 사악령으로 마그넷 워리어의 공격 선언을 무효로 하고 대신 원령이 빙의돼 있던 블랙 매지션 걸을 공격시키는 바람에 공격이 불발로 끝났고 '''스피릿 번!'''으로 라이프도 깎였다. 그러나 최후반에 유우기가 몬스터 세 마리를 제물로 삼아 [[오시리스의 천공룡]] 한 마리만 남게 되면서 결국 이 효과를 쓸 기회를 잃고 그대로 바쿠라의 패배로 이어졌다.[* 바쿠라 본인은 앞면 표시 몬스터가 또 한 마리 있었다면 오시리스에게도 통한다고 생각했던 모양이지만, 이미 [[다크 네크로피어]]의 원혼도 빙의할 수 없었기에 그의 추측이 틀렸을 가능성도 있다. 애초에 신의 카드는 육망성의 저주나 성스러운 방어막 거울의 힘같은 함정카드도 안통한다. 애니에서는 암흑 성역의 원령을 빙의시키려고 했으나 신에게 잡령따위가 빙의될리가 없었기에 실패.]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OCG 사양으로 바뀌면서 여러 장이 쓰이는 것으로 나온다. 후반부에는 원작과 같은 상황을 조성하기 위해서인지 세트하면서 이 카드의 정체를 굳이 알려주는 행위를 했다. 바쿠라는 다음 턴에 유우기는 [[위저 보드]]를 막지 못해 패배할거라고 조롱했지만 역시나 오시리스의 천공룡이 나와서 패배한다. 참고로 이 효과로 대신 공격한 몬스터는 해당 배틀 페이즈에 1번 더 공격이 가능한 셈이 된다. 일러스트의 사악령은 마찬가지로 바쿠라가 쓴 카드인 [[폴터 가이스트(유희왕)|폴터 가이스트]]에서 가져온 것.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DarkSpiritoftheSilent-BE02-JP-C.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 명칭=침묵의 사악령, 일어판 명칭=沈黙(ちんもく)邪悪霊(ダーク・スピリット), 영어판 명칭=Dark Spirit of the Silent, 효과1=상대 배틀 스텝에만 발동할 수 있다. 공격 몬스터 1장의 공격을 무효로 하여\, 상대의 다른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신 공격시킨다(대상이 수비 표시일 경우에는 공격 표시로 한다.))] 상대 몬스터의 공격을 무효로 하고, 다른 상대 몬스터를 대신 공격시키는 효과를 가진 일반 함정. 발동 조건을 자세히 보자면 '상대 필드 위에 앞면 표시의 몬스터가 2장 이상 존재할 때,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로부터 데미지 스텝에 들어가기까지의 사이에 발동할 수 있다' 정도가 된다. 즉 상대 필드에 2장 이상의 몬스터가 없을 경우엔 발동할 수 없다. 또한 공격 선언한 몬스터 1장과 다른 상대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지정하는 효과이다. 몬스터의 공격을 막겠다면 [[화목의 사자]] 같은 더 유용한 카드가 있다. 그러니 다른 몬스터에게 공격을 강제시킨다는 점을 주목하는 편이 좋다. 상대의 낮은 공격력의 몬스터를 공격시키거나, 자신의 [[사령 조마]], [[아마조네스의 검사]]에 높은 공격력의 몬스터를 공격시켜 큰 반사 데미지를 노릴 수 있다. 하지만 그 용도로 써봤자 상대 공격에 기대는 수밖에 없으며, 여러 장의 몬스터의 공격을 강제시키는 [[배틀매니아(유희왕)|배틀매니아]] 쪽이 상성이 좋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악몽의 미궁|悪夢の迷宮]] || LN-28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DUELIST LEGACY Volume 3 || DL3-111 || [[노멀]] || 일본 || ||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2(4기)]] || BE2-JP013 || [[노멀]] || 일본 || 절판 ||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2(7기)]] || BE02-JP013 || [[노멀]] || 일본 || || || [[악몽의 미궁|Labyrinth of Nightmare]] || LON-079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비기너즈 팩|Dark Beginning 2]] || DB2-EN013 || [[노멀]] || 미국 || || || Retro Pack 2 || RP02-EN044 || [[노멀]] || 미국 || || || [[악몽의 미궁]] || LON-KR079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비기너즈 팩|비기너즈 팩 Vol.2]] || BP2-KR013 || [[노멀]] || 한국 || || == 관련 카드 == [[듀얼리스트 팩|듀얼리스트 팩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5-]]에서 [[바쿠라 료|어둠의 바쿠라]]의 카드들을 지원하면서 등장한 카드들. === [[말살의 사악령]] === === [[원한의 사악령]] === === [[폴터 가이스트(유희왕)|폴터 가이스트]] === [[분류:유희왕/OCG/일반 함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