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카눈(태풍))] [include(틀:사건사고)] [목차] == 개요 == [include(틀:2012년 태풍)] || [[2012년|{{{#FFF '''2012년'''}}}]] [[태풍|{{{#FFF '''태풍'''}}}]] || || 제6호 [[독수리(태풍)#s-2|독수리]] → '''제7호 카눈''' → 제8호 [[비센티#s-3]] || |||||| '''{{{+5 {{{#!html 2012년 제7호 태풍 카눈}}}}}}''' || || {{{#ffffff 진로도}}} ||<-2>[[파일:1207track.png|width=100%]] || || {{{#ffffff 활동 기간}}} ||<-2> 2012년 7월 16일 15시 ~ 2012년 7월 19일 9시 || || {{{#ffffff 영향 지역}}} ||<-2> [[일본]], [[중국]] 지린 성, '''[[대한민국]]''', [[북한]] || || {{{#white 태풍 등급}}} ||<-2><:> {{{#000 '''열대폭풍'''}}}[*JTWC] || || {{{#white 10분 등급}}} ||<-2><:> {{{#000 '''강한 열대폭풍'''}}}[*JMA] || || {{{#ffffff 태풍 크기}}} ||||<-2> '''중형(직경 800 km)''' || ||<#3594D3> {{{#ffffff 최저 기압}}} ||<-2> '''985 hPa''' || ||<|2><#3594D3> {{{#ffffff 최대 풍속}}} || 1분 평균 || '''28 m/s''' || || 10분 평균 || '''26 m/s''' || 2012년 제7호 태풍 '카눈'은 2012년 7월 16일 15시 일본 오키나와 동남동쪽 부근 해상(24.1N 136.2E)에서 발생하였으며, 북서방향으로 진로를 잡아 한반도 서해 방향으로 북상하기 시작했다. 이 태풍은 TY급으로 발달하진 않았으며 TS(열대폭풍)급을 유지한 채 18일 21시경 제주도를 거쳐 전남 진도 일대에 상륙하였다. 2010년 제7호 태풍 '[[곤파스(2010년 태풍)|곤파스]]'와 유사한 경로로 제주도와 남부지방은 물론, 중부지방에도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5707252|피해를 입혀]] 정전이나 결항, 차량 통제 등이 있었으나 곤파스에 비하면 태풍의 강도가 크지 않아 그만큼 큰 피해는 입지 않았다. 그러나 태풍이 북한까지 진출하면서 [[북한]]에서 88명이 사망하였고, 식량난이 심화되었다는 보도가 나왔다. 카눈은 2012년 7월 19일 9시, 속초 북북서쪽 약 160km 부근 해상에서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여담으로 카눈은 장마 전선을 소멸시켜 한반도의 장마를 강제로 종료시켰다. 원래는 7월 하순까지 지속되어야 할 장마 전선이 카눈 덕택에 깡그리 날아가는 바람에 한반도는 8월 초순까지 최고기온이 37도에 달하는 지옥의 폭염에 시달려야만 했다.[* [[서울]]도 최고극값이 '''36.7°C'''에 달했으며, 8월 초순 평균기온도 [[2018년]] 다음으로 가장 높은 '''30.5°C'''를 기록하였다.] 그리고 [[2023년|11년 후]], [[카눈(2023년 태풍)|또 다른 카눈]]이 한반도를 방문했다. == 경과 == || 발표 시각 || 1분풍속 || 10분풍속 || SSHS 등급 || JMA 등급 || || 7월 16일 15시 || 30kn || 35kn ||<#5ebaff> 열대저기압 ||<|6><#00faf4> 약 || || 7월 16일 21시 || 35kn || 35kn ||<|10><#00faf4> 열대폭풍 || || 7월 17일 3시 || 35kn || 35kn || || 7월 17일 9시 || 40kn || 45kn || || 7월 17일 15시 || 50kn || 45kn || || 7월 17일 21시 || 50kn || 45kn || || 7월 18일 3시 || 50kn || 50kn ||<|2><#ccffff> 중 || || 7월 18일 9시 || 50kn || 50kn || || 7월 18일 15시 || 50kn || 45kn ||<|3><#00faf4> 약 || || 7월 18일 21시 || 45kn || 40kn || || 7월 19일 3시 || 40kn || 35kn || || 7월 19일 9시 || 25kn || - ||<#5ebaff> 열대저기압 ||<#fff> '''소멸''' || || 7월 19일 15시 ||<-4><#fff> '''소멸 및 감시 종료''' || == 기록 == ||<|13> 순간최대풍속(m/s) || 제주 || 제주 26.5 서귀포 24.9 고산, 성산 23.9 || || 전남 서해안/내륙 || 진도(첨찰산) 28.1 목포 24.7 흑산도 22.1 광주, 영광 18.3 해남 17.7 || || 전남 남해안 || '''완도 30.0''' 여수 27.8 강진 23.2 고흥 21.9 순천 20.9 보성 20.7 장흥 19.2 광양 18.9 || || 전북 || 고창(무) 28.7 군산 18.1 부안 17.8 순창 16.7 전주 16.6 임실 16.4 고창(구) 16.1 정읍 14.3 장수 14.1 남원 10.4 || || 충남 || 대전 19.9 보령 18.6 천안 15.7 부여 15.1 금산 13.8 서산 12.8 || || 충북 || 추풍령 17.9 충주 17.1 청주 14.6 제천 14.2 보은 13.9 || || 경기 || 양평 16.6 인천 16.0 서울 15.2 수원 13.6 강화 12.0 이천 11.8 파주 11.1 백령도 10.6 || || 경남 서부 || 거창 18.0 산청 16.7 진주 15.8 의령 13.9 통영 12.3 함양 11.9 합천, 남해 11.4 || || 경남 동부 || 북창원 17.0 거제 16.2 창원 16.0 부산 14.6 양산 14.5 김해 13.5 울산 12.4 밀양 12.3 || || 경북 서부 || 상주 15.5 문경 14.0 구미 13.5 영주 12.3 안동 10.1 || || 경북 동부 || 울릉 15.6 울진 15.5 영덕 13.1 포항 12.2 경주 11.4 봉화 10.7 || || 강원 내륙 평지 || 원주 18.0 정선 15.7 영월 14.9 인제 14.0 철원 12.8 춘천 12.6 홍천 12.3 || || 강원 동해안/산지 || 대관령 18.5 속초 16.5 강릉 12.7 태백 12.4 북강릉 11.4 || |||| '''비공식 순간풍속 기록'''(AWS) || || 제주 || 지귀도 33.2 진달래밭 31.6 || || 전라 || '''무등산 37.4''' 신지도 30.0 || || 수도권 || 목덕도 25.1 || ||<|4> 강수량(mm) [* 7월 18일~19일 누적] || 제주/전남 || '''순천 135.0''' 제주 127.4 장흥 112.0 보성 82.0 고흥 67.0 영광 65.0 해남 63.5 광양 57.5 완도 57.0 강진 55.5 서귀포 51.5 || || 전북/충청 || 장수 82.0 군산 66.4 고창(구) 63.0 임실 61.5 부여 52.5 || || 경기 || 인천 131.8 파주 98.0 서울 78.5 이천 75.0 동두천 66.5 양평 65.5 백령도 56.5 강화 50.0 || || 경상/강원 || 산청 79.5 홍천 67.0 함양 59.0 철원 56.0 춘천 51.0 거창 50.5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카눈(태풍), version=70, paragraph=3)] [[분류:2012년 태풍]][[분류:태풍/대한민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