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카를 바이어슈트라스}}}[br]Karl Weierstraß | Karl Weierstras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1273190243dff032e97a2f375b8f76ca.jpg|width=100%]]}}} || || '''본명''' ||카를 테오도어 빌헬름 바이어슈트라스[br]Karl Theodor Wilhelm Weierstraß|| ||<|2> '''출생''' ||1815년 10월 31일|| ||[[프로이센 왕국]] [[베스트팔렌]] 오스텐펠데|| ||<|2> '''사망''' ||1897년 2월 19일 (향년 81세)|| ||[[독일 제국]] [[프로이센]] [[베를린]]|| || '''국적''' ||[[프로이센|{{{#!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크기=27@px; padding: 1px; background: rgba(45, 47, 52, .2); vertical-align: middle" [[파일:프로이센 왕국 국기(1803-1892).svg|width=100%]]}}}]] [[프로이센]]|| || '''직업''' ||수학자|| || '''분야''' ||[[해석학(수학)|해석학]], [[미적분학]], [[대수학]]|| || '''종교''' ||[[가톨릭]]|| [목차] [clearfix] == 개요 == 독일의 [[수학자]]. 현대 [[해석학(수학)|해석학]]의 아버지라 불린다. 본 대학과 뮌스터 대학에서 수학했다. 본인의 업적도 뛰어나지만, 수많은 천재 수학자 제자들을 양성했다. == 업적 == === [[엡실론-델타 논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엡실론-델타 논법)] === [[균등수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균등수렴)] === 바이어슈트라스 치환적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치환적분, 문단=1.1.5)] '탄젠트 반각 치환'이 올바른 명칭이며, 바이어슈트라스가 살던 시대 이전부터 널리 사용되어 오던 치환법이다. '바이어슈트라스 치환'은 잘못된 명칭이다. 적분하기에 복잡한 삼각함수식을 대수적 변수로 치환해 적분하는 방식이다. === [[바이어슈트라스 분해 정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바이어슈트라스 분해 정리)] === 기타 === 철학 쪽으로는 연속성 개념이 [[미적분학|무한소]] 개념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하여 영향을 주었다. 1872년에는 전 구간에서의 [[병리적 함수]]를 발견하기도 했다. 당연히 그의 이름을 따서 [[바이어슈트라스 함수]]라고 명명되었다. ||<#ffffff>[math( f(x)=\displaystyle\sum_{n=0}^{\infty}a^{n}\cos\left(b^{n}\pi x\right))] 단, [math(01+\dfrac{3\pi}{2})]로 정의했는데, [[http://perso-math.univ-mlv.fr/users/jaffard.stephane/pdf/Hardy.pdf|1916년에]] [[G. H. 하디]]가 [math(ab>1+\dfrac{3\pi}{2})]를 [math(ab\ge 1)]로 확장해도 여전히 전 구간에서 미분불가능한 연속함수임을 증명했다. == 제자 == 학자로서도 엄청난 업적을 남겼지만, 키워낸 제자들도 업적이 어마어마한 사람이 수두룩하다. 아래는 그 명단의 일부다. O. Bolza (1857-1942) A. Brill (1842-1935) H. Bruns (1848-1919) KI H. Burkhardt(1861-1914) [[칸토어|G. Cantor]](1845 - 1918)(집합론의 창시자) F. Engel (1861-1941) R. Fricke (1861-1930) G. Frobenius(1849-1917)(프로베니우스의 정리) L. Fuchs (1833-1902)(Fuchsian 군) L. Gegenbauer (1849-1903) A. Gutzmer(1860-1924) K. Hensel (1861-1941)(P진 해석학) O. Holder (1859-1937)([[홀더 부등식]]) A. Hurwitz (1859-1919) W. Killing (1847-1923) A. Kneser (1862-1930) L. Konigsberger (1837-1921) S. Kovalevskaia (1850-1891) M. Lerch (1860-1922)(Lerch 제타함수) J. Liiroth (1844-1910) Hj. Mellin (1854-1933) F. Mertens (1840-1927) [[헤르만 민코프스키|H. Minkowski]] (1864-1909) [[예스타 미타그레플레르|G. Mittag-Leffler]] (1846-1927)(복소해석학, [[미타그레플레르 정리]]) H. v. Mangoldt (1854-1925)([[폰 망골트 함수]]) E. Netto (1846-1919) L. Pochhammer (1841-1920)(포흐하머 기호) A. Pringsheim (1850-1941) F. Rudio (1856-1929) C. Runge (1856-1927)(룽게-쿠타 방법) L. Schlesinger (1864-1933) A. Schonflies (1853-1928) F. Schottky (1851-1935) F. Schur (1856-1932) H.A. Schwarz (1843-1921)([[코시-슈바르츠 부등식]]) P. Stackel (1862-1919) L. Stickelberger (1850-1936) O. Stolz (1842-1905) E. Husserl (1859-1938) == 관련 문서 == * [[해석학(수학)]] [[분류:독일의 수학자]][[분류:독일의 가톨릭 신자]][[분류:1815년 출생]][[분류:1897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