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나폴레옹 보나파르트)] ||<-3> '''{{{+1 카를로 부오나파르테}}}[br]Carlo Buonaparte''' ||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harles-Marie Bonaparte.jpg|width=100%]]}}} || ||<|2> '''이름''' || 이탈리아어 ||카를로 마리아 부오나파르테[br](Carlo Maria Buonaparte)|| || 프랑스어 ||샤를마리 보나파르트[br](Charles-Marie Bonaparte)|| || '''출생''' ||<-2>[[1746년]] [[3월 27일]][br][[제노바 공화국]] [[코르시카]] [[아작시오]]|| || '''사망''' ||<-2>[[1785년]] [[2월 24일]] (향년 38세)[br][[프랑스 왕국]] 몽펠리에|| || '''배우자''' ||<-2>레티치아 라몰리노 ,,(1764년 결혼),,|| || '''자녀''' ||<-2>[[호세 1세]],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나폴레옹 1세]], 뤼시앵, 엘리자, [[루이 보나파르트|로데베이크 1세]], 폴린, 카롤린, [[제롬 보나파르트|제롬]]|| || '''아버지''' ||<-2>주세페 마리아 부오나파르테|| || '''어머니''' ||<-2>마리아 사베리아 파라비치니|| || '''형제''' ||<-2>마리아 게트루드, 세바스티아노|| [목차] [clearfix] == 개요 == 18세기 [[유럽]]의 [[제노바 공화국]]령 코르시카 출신 인물로 유럽을 일시적으로 통일한 [[나폴레옹 1세]]의 부친이다. == 생애 == 1746년 3월 27일 주세페 마리아 보나파르트(Giuseppe Maria Buonaparte)와 마리아 사베리아 파라비치니(Maria Saveria Paravicini)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주세페는 코르테 공의회에 참여하는 등 법조계에 종사하던 법조인이으로 샤를 역시 부친의 뒤를 따라 피사 대학교에서 공부하여 법조인([[변호사]])가 되고자 했으나 1763년 부친이 많은 유산을 물려준 채 사망, 재산을 관리하기 위해 가족에게 돌아갔다. 1764년 6월 2일 [[롬바르드족]]의 후손인 마리아와 혼인하였고 아내 역시 방앗간과 빵집을 통해 경제적으로 여유를 가지고 있어 풍족한 생활을 누렸다. 이후 샤를은 제노바 공국에 병합된 코르시카 독립운동을 주도하던 [[파스콸레 파올리]]의 개인 비서로 재직하였으며 동년 파올리의 명으로 교황 [[클레멘스 13세]]와 협상을 주도하기도 했다. 다만 그가 귀국했을 당시 제노바 공국이 코르시카를 프랑스에 팔아넘겼고 그에 따라 프랑스의 압도적인 군사력으로 독립운동이 진압당했기에 파올리와 그를 따르던 무리들은 도주하였으나 샤를은 프랑스 정부를 받아들인 후 1769년 9월 20일, 아작시오와 인근 지역의 세무원(Assessor)에 임명되었다. 1769년 8월 15일 훗날의 황제로 즉위하는 나폴레옹을 낳았고, 동년 11월 27일 피사 대학교에서 [[법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샤를은 프랑스 정부에 의해 귀족이 되었고 많은 고위직을 역임하였으나 도박에 빠져 그동안 모아온 재산을 탕진하였고 1782년 건강이 급격히 나빠지더니 1785년 2월 24일 위암으로 사망하였다. == [[보나파르트 가문|가족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보나파르트 가문)] [[분류:1746년 출생]][[분류:1785년 사망]][[분류:보나파르트 가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