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gba(50%, 50%, 50%, 30%) 0%, transparent)" {{{+1 {{{#000000,#e5e5e5 ''' 독일의 前 축구감독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eldkamp.webp|width=100%]]}}} || ||<-2> {{{#002b7f,#e5e5e5 ''' 이름 ''' }}} || {{{+1 '''카를하인츠 펠트캄프'''}}} [br]'''Karl-Heinz Feldkamp''' || ||<|2><-2> {{{#002b7f,#e5e5e5 ''' 출생 ''' }}} ||[[1934년]] [[6월 2일]]|| ||[[나치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br][[오버하우젠]] || ||<-2> {{{#002b7f,#e5e5e5 '''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독일)] || ||<-2> {{{#002b7f,#e5e5e5 ''' 직업 ''' }}} ||축구선수 ([[미드필더]] / ^^은퇴^^)[br][[축구 감독]] || ||<|2> {{{#002b7f,#e5e5e5 ''' 소속 ''' }}} || {{{#002b7f,#e5e5e5 ''' 선수 ''' }}} ||[[로트바이스 오버하우젠]] (1952~1967)|| || {{{#002b7f,#e5e5e5 ''' 감독 ''' }}} ||[[SG 바텐샤이트 09]] (1972~1975)[br][[FC 귀터슬로]] (1975~1976)[br][[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1976~1978)[br][[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1978~1982)[br][[보루시아 도르트문트]] (1982~1983)[br][[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1983~1984)[br][[KFC 위어딩겐 05]] (1984~1987)[br][[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1987~1988)[br][[알 아흘리 SC(이집트)|알 아흘리 SC]] (1988~1989)[br][[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1978~1982)[br][[갈라타사라이 SK]] (1992~1993)[br][[베식타스 JK]] (1999)[br][[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2002/^^단장^^)[br][[갈라타사라이 SK]] (2007~2008)[br][[갈라타사라이 SK]] (2008~2009/^^테크니컬디렉터^^)[br]|| [목차] [clearfix] == 개요 == [[독일]]의 축구선수이자 감독. == 선수 경력 == 52/53 시즌 [[로트바이스 오버하우젠]]에서 데뷔한 이래 316경기 42골을 기록한 레전드이다. 구단의 20세기 베스트 일레븐으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 감독 경력 == 1974년, [[SG 바텐샤이트 09]]를 [[2. 분데스리가]]로 승격시키며 감독으로서 커리어를 시작했다. 그러나 [[2. 분데스리가]]에서 7위에 그쳤다. [[분데스리가]] 승격을 원했던 보드진의 바램과는 달리, 75/76 시즌 14라운드에 8위에 그치자, [[헬무트 비테]] 감독으로 대체되었다. 이후 리그 라이벌 [[FC 귀터슬로]]에 부임했으나, 여기에서도 승격에는 실패하였다. 76/77 시즌 [[2. 분데스리가]]의 [[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의 감독이 되었다. 이전 시즌 9위의 팀을 2위로 이끌며 시즌을 마쳤고, 승격 플레이오프에서 [[TSV 1860 뮌헨]]을 만났다. 첫 경기, 홈에서 4대0으로 승리하며 승격이 확실시 되는 듯 했으나, 원정 경기에서 4대0으로 패배했다. [[도이체 방크 파르크|발트슈타디온]]에서 벌어진 승격 결정전에서 2대0으로 패배하며 결국 승격에 실패했다. 다행히도, [[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를 이끌어 다음 시즌에는 [[분데스리가]]로 승격했다. 1978년에서 1981년까지는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의 지휘봉을 잡았다. 78/79 시즌, 리그 3위를 기록했고, 1981년에는 [[DFB-포칼]] 결승에도 올랐으나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에 3:1로 패배했다. 79/80, 80/81, 81/82 시즌 동안 3연속으로 리그 3위를 지켰내어 유럽대항전에 꾸준히 진출하였다. 81/82 시즌 UEFA 컵에서는 [[레알 마드리드 CF]]를 홈에서 5:0으로 꺾으며 준결승에 올랐으나 [[IFK 예테보리]][* [[IFK 예테보리]]는 결국 [[함부르크 SV]]를 결승에서 꺾으며 우승을 차지한다.]에 탈락하였다. 82/83 시즌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의 감독으로 부임했으나 7위에 그치며 유럽대항전 진출에 실패했다. 다음 시즌 [[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감독으로 복귀하여 리그 8위를 기록했다. 1984년부터는 [[KFC 위어딩겐 05]][* 당시에는 [[SC 바이어 05 위어딩겐]]이었다.]의 지휘봉을 잡았다. 첫 시즌 [[DFB-포칼]] 결승에서 [[FC 바이에른 뮌헨]][* [[FC 바이에른 뮌헨]]의 [[DFB-포칼]] 결승에서의 첫 패배이다.]을 2:1로 이기며 우승을 차지했다. 리그에서는 7위, 3위, 8위를 기록하였다. 87/88 시즌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감독을 맡아 [[DFB-포칼]] 결승에서 [[VfL 보훔]]을 상대로 1:0으로 승리하며 우승했다. 리그는 9위에 그쳤다. 이후 이집트의 [[알 아흘리 SC(이집트)|알 아흘리 SC]]의 감독으로 떠났다. [[이집트 프리미어 리그]]와 이집트컵에서 우승하며 더블을 기록했다. 89/90 시즌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에 중도 부임하여 팀을 강등위기에서 잔류시키는데 성공했다. 또한 [[SV 베르더 브레멘]]과의 [[DFB-포칼]] 결승에서 3대2로 승리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90/91 시즌에는 승점 48점으로, 승점 45점의 2위 [[FC 바이에른 뮌헨]]을 누르고 [[분데스리가]]에서 우승했다. 91/92 시즌 리그는 5위에 그쳤고, [[유러피언컵]]에서는 [[요한 크루이프]] 감독의 [[FC 바르셀로나]][* 결국 해당 대회에서 우승했다.]에 홈 원정 합산 5:1로 패하며 탈락했다. 92/93 시즌에는 터키의 [[갈라타사라이 SK]]를 맡아 [[쉬페르리그]]와 튀르키예 쿠파에서 우승했다. 이후 은퇴를 선언하고 7년간의 휴식기를 가졌다. 휴식기 동안 [[ZDF]] 월드컵 중계를 하기도 했으며 1996년부터 1997년까지는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보드진에서 일하기도 하였다. 98/99 시즌, [[베식타스 JK]]는 리그 마지막 10경기를 남겨둔 상황에서 펠트캄프를 선임했다. 10경기에서 8승 2무를 기록하며 선전했으나 2위에 그치며 챔피언스리그 진출권에 만족해야 했다. 2002년,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의 풋볼 디렉터 자리를 잠시 맡기도 했으나, 빠르게 그만두었다. 07/08 시즌 [[갈라타사라이 SK]]의 감독으로 복귀했으나 29경기만에 사임하였고, 이후 1년간 갈라타사라이의 테크니컬 디렉터로 일했다. [[분류:1934년 출생]][[분류:1952년 데뷔]][[분류:1967년 은퇴]][[분류:오버하우젠 출신 인물]][[분류:원클럽맨]][[분류:독일의 축구선수]][[분류:독일의 축구감독]][[분류:SG 바텐샤이트 09/역대 감독]][[분류:FC 귀터슬로/역대 감독]][[분류: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역대 감독]][[분류:1. FC 카이저슬라우테른/역대 감독]][[분류:KFC 위어딩겐 05/역대 감독]][[분류:알 아흘리 SC/역대 감독]][[분류:보루시아 도르트문트/역대 감독]][[분류: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역대 감독]][[분류:갈라타사라이 SK/역대 감독]][[분류:베식타스 JK/역대 감독]][[분류:로트바이스 오버하우젠/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