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삼니움 전쟁]][[분류:지상전]] [include(틀:삼니움 전쟁의 전투)] [목차] [clearfix] == 개요 == 제3차 [[삼니움 전쟁]] 시기인 기원전 295년, [[로마군]]이 [[켈트]] 계열인 세노네스족의 습격으로 궤멸된 전투. == 상세 == 기원전 296년 총독으로서 작전을 수행하던 [[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 룰리아누스]]는 집정관 [[루키우스 볼룸니우스 플람마 비올렌스]]로부터 루카니아에서 소요를 일으킨 평민들을 진압하라는 지시를 받들어 루카니아로 남하해 반란을 진압했다. 이후 비올렌스의 지시에 따라 에트루리아 전선으로 이동해 또다른 집정관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카이쿠스]]와 합류한 뒤 휘하 병사들을 [[레가투스(로마)|레가투스]](Legatus, 군단장)를 맡고 있던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바르바투스]]에게 넘긴 뒤 로마로 귀환했다. 기원전 296년 말, 삼니움-에트루리아-움브리아인들이 대군을 편성했고 켈트계 종족인 세노네스족까지 대규모 병력을 파견했다는 소식이 로마에 전해졌다. 로마는 지금껏 수많은 전투를 치렀지만 네 개의 종족 연합군과 맞서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다. 로마인들은 이에 대응하기 위해 수많은 전투에서 승리해 가장 뛰어난 군사령관으로 인정받고 있던 룰리아누스를 기원전 295년도 집정관에 재선임하고, 이례적으로 [[제비뽑기]]를 하지 않고 에트루리아 전선으로 낙점했다. 여기에 비올렌스를 집정관에 재선시켜서 룰리아누스와 함께 하도록 했다. 하지만 룰리아누스는 이를 거부하고, 자신과 오랫동안 함께 한 동지인 푸블리우스 데키무스 무스를 동료 집정관으로 삼게 해달라고 요청했다. 원로원은 이를 받아들이고, 그 대신 비올렌스의 임페리움을 1년 연장해 삼니움에서 작전을 계속 수행하게 했다. 그러나 룰리아누스가 로마에 가 있느라 자리를 비운 사이, 카메리눔에 주둔하고 있던 로마군이 세노네스족의 습격을 받았다. 바르바투스는 방어에 좀더 유리한 언덕으로 군대를 이동시키려 했지만 적에게 포위되어 궤멸되는 것을 막지 못했다. [[티투스 리비우스 파타비누스]]에 따르면, 세노네스족은 전사한 로마인의 머리를 말 목에 걸거나 창에 꽂았다고 한다.[* 리비우스는 카메리눔의 식량 채집원들이 움브리아족의 습격을 받아 패퇴했다는 또다른 이야기도 전한다.] 다만 바르바투스 본인은 목숨을 건졌다. 룰리아누스는 생존병들을 수습한 뒤 무스의 군단과 합세했다. 이후 에트루리아인, 삼니움인, 움브리아인, 세노네스인으로 구성된 연합군과 센티눔 평원에서 조우하면서 이탈리아의 패권이 갈릴 [[센티눔 전투]]의 막이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