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cameo_1.webp|width=150]] ||{{{#DD1E14 '''{{{+1 Cameo}}}'''[br]{{{-2 카메오}}}}}} ||}}} || ||<-2>{{{#!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cameo_2.jpg|width=100%]]}}}|| ||<|2> '''결성''' ||1974년|| ||[[미국]] [[뉴욕주]] [[뉴욕시]]|| || '''멤버''' ||래리 블랙몬[br]앤서니 로켓[br]아론 밀스[br]제프 넬슨|| || '''전 멤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토미 젠킨스[br]네이선 레프트넌트[br]제릴 브라이트[br]그레고리 B. 존슨[br]아넷 레프트넌트[br]찰리 싱글턴[br]로버트 브랜치[br]케니 헤어스턴[br]마이클 버넷[br]토마스 캠벨[br]웨인 쿠퍼[br]메르베 드 페이어[br]게리 도우[br]에릭 더햄[br]그레고리 존슨[br]커트 지터[br]존 켈로그[br]케빈 켄드릭[br]데이먼 멘데스[br]스티븐 무어[br]윌리엄 모리스[br]에릭 넬슨[br]윌리엄 레비스[br]찰스 샘슨[br]로버트 L. 스미스[br]멜빈 웰스[br]폴 앤드류스[br]아자 메아[br]아놀드 램지[br]도미닉 크리스티[br]해롤드 갠더[br]팻 뷰캐넌}}}|| || '''장르''' ||[[펑크(음악)|펑크(Funk)]], [[소울 음악|소울]], [[컨템퍼러리 R&B|R&B]], [[디스코]], [[힙합 음악|힙합]]|| || '''활동''' ||1974년 ~ 2001년, 2016년 ~ 현재|| || '''링크''' ||[[https://www.cameonation.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CameoNation, 크기=20)] [[https://www.instagram.com/cameonatio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www.facebook.com/CameoNation/|[[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CameoVEVO/featured|[[파일:VEVO 로고.svg|width=55]]]] || [목차] [clearfix] == 개요 == 카메오(Cameo)는 미국의 펑크(Funk) 밴드이다. == 상세 == 1974년, 밴드의 프론트맨인 래리 블랙몬에 의해 [[뉴욕시]]에서 결성되었다.[* 80년대 중반부턴 [[애틀랜타]]로 거점을 옮긴다.] 결성 당시 이름은 뉴욕 시티 플레이어스(New York City Players)였는데, 이 이름이 당시 미국에서 큰 인기를 끌던 [[Ohio Players|오하이오 플레이어스]](Ohio Players)의 이름과 너무나도 유사한 탓에 오하이오 플레이어스의 머큐리 레코드 측으로부터 명칭 변경을 요구받았다고 한다. 때문에 래리는 캐나다 여행에서 본 담배 브랜드 카메오(Cameo)에서 따와 밴드명을 변경하게 되었고, 이것이 현재까지 이어지게 되었다. 1979년에 발매한 싱글 "I Just Want to Be", "Sparkle"의 성공으로 80년대부터 본격적인 전성기를 누리게 된다. 이 시기에 발매한 대표적인 싱글로는 "Shake Your Pants", "We're Goin' Out Tonight", "Freaky Dancin", "[[She's Strange]]", "Attack Me with Your Love", "Single Life", "[[Candy(싱글)|Candy]]", "[[Word Up!]]", "Back and Forth" 등이 있으며, 모두 미국 대중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특히 1986년에 발매한 앨범, Word Up!은 [[빌보드 200]] 8위와 [[빌보드 R&B/힙합 차트|빌보드 R&B/힙합 앨범 차트]] 1위를 기록하며 밴드의 전성기를 더욱 화려하게 빛내주었다. 그러나 90년대부터 앨범 발매가 점점 뜸해지더니, 2000년에 발매한 Sexy Sweet Thing와 2001년 [[머라이어 캐리]]의 "[[Loverboy]]" 피쳐링 참여를 끝으로 음악 활동이 끊기게 되었다. 이후 오랫동안 카메오의 소식을 들을 수 없었으나, 2016년 3월, 웨스트게이트 라스베이거스 리조트의 레지던시 쇼를 1년간 맡으며 다시 활동을 재개했다. == 디스코그래피 == === 앨범 === * Cardiac Arrest (1977) * We All Know Who We Are (1978) * Ugly Ego (1978) * Secret Omen (1979) * Cameosis (1980) * Feel Me (1980) * Knights of the Sound Table (1981) * Alligator Woman (1982) * Style (1983) * She's Strange (1984) * Single Life (1985) * Word Up! (1986) * Machismo (1988) * Real Men... Wear Black (1990) * Emotional Violence (1992) * In the Face of Funk (1994) * Sexy Sweet Thing (2000) === 싱글 === ==== [[빌보드 R&B 차트]] 1위 ~ 10위 ==== * I Just Want to Be (1979) - 3위 * Sparkle (1979) - 10위 * Shake Your Pants (1980) - 8위 * Keep It Hot (1980) - 4위 * Freaky Dancin' (1981) - 3위 * Flirt (1982) - 10위 * [[She's Strange]] (1983) - 1위 * Attack Me With Your Love (1985) - 3위 * Single Life (1985) - 2위 * [[Word Up!]] (1986) - 1위 * [[Candy(싱글)|Candy]] (1986) - 1위 * Back and Forth (1987) - 3위 * You Make Me Work (1988) - 4위 * Skin I'm In (1988) - 5위 * I Want It Now (1990) - 5위 * [[Loverboy]][* [[머라이어 캐리]]의 곡에 피쳐링으로 참여.] (2001) - 1위 ==== [[빌보드 핫 100]] 1위 ~ 40위 ==== * [[Word Up!]] (1986) - 6위 * [[Candy(싱글)|Candy]] - 21위 * [[Loverboy]][* [[머라이어 캐리]]의 곡에 피쳐링으로 참여.] (2001) - 2위 ==== 빌보드 핫 100 41위 ~ 100위 ==== * [[She's Strange]] (1983) - 47위 * Back and Forth (1987) - 50위 * You Make Me Work (1988) - 85위 == 여담 == [[분류:카메오(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