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쇄된 교통시설)] || {{{+1 [ruby(上, ruby=かみ)][ruby(雄信, ruby=おのっぷ)][ruby(内, ruby=ない)][ruby(駅, ruby=えき)]}}} || {{{+1 Kami-Onoppunai Station}}} || ||<-3> {{{#!wiki style="margin: -0px -5px;" [[JR 홋카이도|[[파일:JRH_Wlogo.svg|height=50&align=left]]]]}}}[[JR 홋카이도|{{{#d8d8d8 JR 홋카이도}}}]][br]'''{{{+2 {{{#d8d8d8 카미오놋푸나이역}}} {{{#ffffff (폐역)}}}}}}'''|| ||<-3>[include(틀:지도, 장소=44.907778 141.961944, 너비=100%, 높이=300px)]|| ||<-3> '''다국어 표기''' || || 일본어 ||<-2> 上雄信内[br](かみおのっぷない) || || 영어 ||<-2> Kami-Onoppunai || ||<-3> '''주소''' || ||<-3> [[홋카이도]] 테시오군 [[호로노베초]] 유코[br]北海道天塩郡幌延町字雄興 || ||<-3> '''역 운영기관''' || || [[소야 본선|{{{#ffffff 소야 본선}}}]] ||<-2> [[JR 홋카이도|[[파일:JR 홋카이도 로고.svg|width=180]]]] || ||<-3> '''개업일''' || ||<-3> 1956년 5월 1일 || ||<-3> '''폐업일''' || ||<-3> 2001년 7월 1일 || ||<-3> '''노선거리표''' || || [[아사히카와역|{{{#000000,#e5e5e5 {{{#!html
아사히카와 방면
}}}}}}]][[누카난역|누카난]][br]← 3.5 km || '''[[소야 본선]]'''[br]--카미오놋푸나이--[br]{{{#red (폐역)}}} || [[왓카나이역|{{{#000000,#e5e5e5 {{{#!html
왓카나이 방면
}}}}}}]][[오놋푸나이역|오놋푸나이]][br]2.2 km → || || [[파일:Kamionoppunai-pf.jpg|width=100%]][br]영업 마지막 날의 승강장. 사진에 안나오는 오른쪽에 목조 대합실이 있었다. || || [[파일:Kamionoppunai_ato.jpg|width=100%]][br]2005년의 역 터 || [목차] == 개요 == 일본 [[홋카이도]] 테시오군 [[호로노베초]]에 있었던 [[JR 홋카이도]] [[소야 본선]]의 [[폐역]]이다. 개업 당시 가승강장이었으며 1987년 국철분할민영화와 동시에 역으로 승격되었다. 1990년에는 폭풍으로 승강장이 뒤집히는(...) 사고가 있었고, 이용객 부족으로 2001년에 폐역되었다. 폐역 직전에도 열차는 하루에 왕복 2편성 밖에 정차하지 않았다. 폐역 직후 모든 시설이 철거되어 현재 역이 있던 자리는 풀만 무성하다. 역 주변은 영업 당시나 지금이나 목초지와 민가 몇 채 뿐이다.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a/a8/KamiOnoppunai_eki.jpg|1977년 위성지도]]를 보면 알 수 있겠지만 역으로 이어지는 도로가 아예 없어서 '''무조건 남의 목장을 가로질러 가야 했다.''' --사유지 무단침입-- == 승강장 == 단선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었다. ||<-2> ↑ [[누카난역|누카난]] || || ㅣ || {{{#c0c0c0 乗}}} || ||<-2> ↓ [[오놋푸나이역|오놋푸나이]] || ||<|2> {{{#c0c0c0 乗}}} ||<|2>--{{{#808080 ■}}} [[소야 본선]]--|| --상행-- ||--[[테시오나카가와역|테시오나카가와]] · [[오토이넷푸역|오토이넷푸]] 방면--|| || --하행-- ||--[[호로노베역|호로노베]] · [[왓카나이역|왓카나이]] 방면--|| [[분류:일본의 폐지된 철도역]][[분류:1956년 개업한 철도역]][[분류:2001년 폐지된 철도역]][[분류:소야 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