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youtube(2Q33yPyC6EA)] 柏田真一郎 일본의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경력 == [[J.C.STAFF]] 출신. [[아즈망가 대왕/애니메이션|아즈망가 대왕]]의 [[제작진행]]으로 업계 활동을 시작했으며, 회사 선배이자 제작본부장 [[마츠쿠라 유지]]에게 사사해 프로듀서 활동을 시작했다. 여러 작품, 특히 미소녀 애니메이션을 많이 히트시켰으며 이후 [[A-1 Pictures]]로 이적해 여기서도 [[소드 아트 온라인/애니메이션|소드 아트 온라인]] 등 히트작을 다수 배출했다. 그 공로로 A-1의 대표이사 사장 자리까지 올라갔다. 그러나 지나치게 높은 퀄리티의 작품을 추구하다 여러 작품의 스케줄을 붕괴시키고 회사에 큰 손해를 안긴 책임으로 [[리코리스 리코일]]을 히트시켰음에도 2022년 사장에서 퇴임하였다. 이 때문에 A-1에서 분사했던 [[CloverWorks]]의 대표이사 시미즈 아키라(清水 暁)가 카시와다를 이어 A-1의 사장도 겸직하게 되었으며, 카시와다가 기획하고 프로듀싱을 맡았던 작품들의 후속작 기획과 제작에 난항이 생겼다.(ex: [[86 -에이티식스-/애니메이션|86 -에이티식스-]], [[리코리스 리코일 시리즈|리코리스 리코일 속편]]) 이후로는 [[애니플렉스]]에서 기획본부장 일을 하고 있다고 한다. == 특징 == 미소녀 애니메이션 프로듀스가 특기. 미소녀를 잘 묘사하는 연출가와 애니메이터를 잘 알고 있어서 다른 건 몰라도 그의 작품은 미소녀 작화와 귀여운 연출은 훌륭하다는 평을 받았다. 애니메이터들 말로도 캐릭터의 외모를 엄청 깐깐하게 체크한다고 한다. 미소녀 애니메이션을 좋아하는 팬덤에서는 그가 담당한 작품만 찾아보는 팬도 있었다. 예쁜 미소녀가 나오는 작품을 보고 싶다면 추천할 프로듀서이다. 주로 남성 타겟의 미소녀 애니메이션을 만들었지만 그가 아는 애니메이터들이 미소년을 잘 묘사하기도 해서 여성 팬도 꽤 있었다. 액션 애니메이터 인맥도 많아서 액션이 훌륭한 작품도 많다. 다만 작품성은 보장하지 못하니 주의. 작화는 확실히 예쁘지만 스토리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잦다. 그리고 작화 매니아들이 미소녀 애니메이션은 평가절하하는 경향이 있어 객관적으로 작화 관리를 잘 하는 프로듀서임에도 작화 매니아들은 그다지 관심을 주지 않는다.[* 카시와다가 밀어주는 [[카와카미 테츠야]], [[야나기 류타]] 같은 애니메이터들은 업계에선 높게 평가하지만 다른 나라 작화 매니아들은 전혀 관심을 주지 않는다. 다만 한국의 애니메이션 팬들은 세계의 작화 매니아의 취향과 별개로 움직임보다는 그림체를 중시해서 그나마 관심을 가져주는 편이다.] 만화 원작보다 소설, [[라이트 노벨]]의 애니화를 선호한다. 만화는 그림이므로 만화 원작을 애니로 만들면 십중팔구 원작과 작화, 연출을 비교 당하고 연출이 제한되기 때문이라고 한다. 애니화 하는 작품 선정 기준은 "글을 봤을 때 영상이 떠오르는 작품." 이라고 한다. == 인맥 == * [[마츠쿠라 유지]] - [[J.C.STAFF]] 시절의 선배 프로듀서이자 스승. * [[아다치 신고]] * [[아베 노조무]] * [[이이즈카 하루코]] * [[이와타키 사토시]] * [[이토 토모히코]] - 이토 토모히코는 천재라고 생각해 밀어주었다고 한다. * [[카와카미 테츠야]] * [[사사키 마사카츠]] * [[타나카 히로노리]] * [[칸자키 히로]] * [[칸베 히로유키]] * [[이시다 카나]] * [[오노 마나부]] * [[카메이 칸타]] * [[오하라 마사카즈]] * [[타케우치 테츠야]] * [[나카니시 카즈야]] * 야마시타 유(山下 祐) * [[토리이 타카시]] * [[오자와 카즈노리]] * [[나카무라 나오토]] * [[야나기 류타]] * [[마츠모토 켄고]] * [[토쿠다 히로타카]] * [[사이토 아츠시]] * [[나가타 노부히로]] * 스즈키 고(鈴木 豪) * [[오쿠다 요스케]] * [[사토 토시유키]] * [[노나카 마사유키]] * [[모리 히로타카]] * 코노 토시야(河野敏弥) * [[사와다 켄지(애니메이터)|사와다 켄지]] * 지미 스톤(ジミー・ストーン) * 타키야마 마사아키(滝山真哲) * 코노 아야코(河野亜矢子) * [[사쿠마 타카시(애니메이션 감독)|사쿠마 타카시]] * [[야마모토 유미코]] * [[이와나미 요시카즈]] == 작품 == * [[스카이 걸즈]] (감독: [[이와사키 요시아키]]) (2006) - 애니메이션 제작 프로듀서 * [[닌자의 왕]] (감독: [[스기시마 쿠니히사]]) (2008) - 애니메이션 제작 프로듀서 * [[사후편지]] (감독: [[사토 타츠오]]) (2008) - 애니메이션 제작 프로듀서 *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애니메이션 1기)|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감독: [[니시키오리 히로시]]) (2008~2009) - 애니메이션 제작 프로듀서 * [[하야테처럼!!]] (감독: [[이와사키 요시아키]]) (2009)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다이쇼 야구 소녀]] (감독: [[이케하타 타카시]]) (2009) - 애니메이션 제작 프로듀서 * [[어떤 과학의 초전자포(애니메이션 1기)|어떤 과학의 초전자포]] (감독: [[나가이 타츠유키]]) (2009~2010) - 애니메이션 제작 프로듀서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애니메이션|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감독: [[칸베 히로유키]]) (2010) - 어소시에이트 프로듀서 *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감독: [[신보 아키유키]]) (2011) - 어소시에이트 프로듀서 * [[A채널]] (감독: [[오노 마나부]]) (2011) - 어소시에이트 프로듀서 * [[Fate/Zero/애니메이션|Fate/Zero]] (감독: [[아오키 에이]]) (2011, 2012) - 어소시에이트 프로듀서 * [[니세모노가타리]] (감독: [[신보 아키유키]]) (2012) - 어소시에이트 프로듀서 * [[소드 아트 온라인(애니메이션 1기)|소드 아트 온라인]] (감독: [[이토 토모히코]]) (2012) - 프로듀서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애니메이션|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2기]] (감독: [[칸베 히로유키]]) (2013) - 프로듀서 * [[세계정복 ~모략의 즈베즈다~]] (감독: [[오카무라 텐사이]]) (2014) - 프로듀서 * [[류가죠 나나나의 매장금]] (감독: [[카메이 칸타]]) (2014) - 프로듀서 * [[마법과고교의 열등생(애니메이션 1기)|마법과고교의 열등생]] (감독: [[오노 마나부]]) (2014) - 프로듀서 * [[시원찮은 그녀를 위한 육성방법(애니메이션 1기)|시원찮은 그녀를 위한 육성방법]] (감독: [[카메이 칸타]]) (2015) - 프로듀서 * [[소드 아트 온라인 Ⅱ]] (감독: [[이토 토모히코]]) (2015) - 프로듀서 * [[학전도시 애스터리스크/애니메이션|학전도시 애스터리스크]] (총감독: [[오노 마나부]] / 감독: [[세토 켄지(애니메이션 감독)|세토 켄지]]) (2015) - 치프 프로듀서 * [[하이 스쿨 플릿]] (감독: [[노부타 유우]]) (2016) - 프로듀서 * [[극장판 소드 아트 온라인 -오디널 스케일-]] (감독: [[이토 토모히코]]) (2017) - 프로듀서 * [[에로망가 선생/애니메이션|에로망가 선생]] (감독: [[타케시타 료헤이]]) (2017) - 프로듀서 * [[시원찮은 그녀를 위한 육성방법 ♭]] (감독: [[카메이 칸타]]) (2017) - 치프 프로듀서 * [[마법과고교의 열등생: 별을 부르는 소녀]] (감독: [[요시다 리사코]]) (2017) - 프로듀서 * [[너의 췌장을 먹고 싶어(2018)|너의 췌장을 먹고 싶어]] (감독: [[우시지마 신이치로]]) (2018) - 프로듀서 * [[그랑크레스트 전기/애니메이션|그랑크레스트 전기]] (감독: [[오마타 신이치|하타케야마 마모루]]) (2018) - 치프 프로듀서 * [[소드 아트 온라인 얼터너티브: 건 게일 온라인(애니메이션 1기)|소드 아트 온라인 얼터너티브: 건 게일 온라인]] (감독: [[사코이 마사유키]]) (2018) - 제작총괄 * [[소드 아트 온라인 앨리시제이션]] (감독: [[오노 마나부]]) (2018~2019) - 1쿨 치프 프로듀서, 2쿨 제작총괄 * [[소드 아트 온라인 앨리시제이션: War of Underworld]] (감독: [[오노 마나부]]) (2019, 2020) - 제작총괄 * [[시원찮은 그녀를 위한 육성방법 피날레]] (총감독: [[카메이 칸타]] / 감독: 시바타 아키히사) (2019) - 치프 프로듀서 * [[극장판 하이 스쿨 플릿]] (감독: [[노부타 유우]]) (2020) - 제작총괄 * [[22/7 나나분노 니쥬니]] (감독: [[아보 타카오]]) (2020) - 제작총괄 * [[전익의 시그드리파]] (감독: [[토쿠다 히로타카]]) (2020) - 치프 프로듀서 * [[히프노시스 마이크 -Division Rap Battle- Rhyme Anima]] (감독: [[오노 카츠미]]) (2020) - 제작총괄 * [[86 -에이티식스-/애니메이션|86 -에이티식스-]] (감독: [[이시이 토시마사]]) (2021) - 제작총괄 * [[극장판 소드 아트 온라인 -프로그레시브- 별 없는 밤의 아리아]] (감독: 코노 아야코) (2021) - 제작총괄 * [[리코리스 리코일]] (감독: [[아다치 신고]]) (2022) - 제작총괄 * [[Engage Kiss]] (감독: [[타나카 토모나리]]) (2022) - 제작총괄 * [[극장판 소드 아트 온라인 -프로그레시브- 짙은 어둠의 스케르초]] (감독: 코노 아야코) (2022) - 카시와다가 제작총괄이었다는 증언이 있지만 개봉 연기의 책임을 진 것인지 스태프롤에서 제외되었다. * [[16bit 센세이션 ANOTHER LAYER]] (감독: [[사쿠마 타카시(애니메이션 감독)|사쿠마 타카시]]) (2023) - 협력으로 크레딧되었으며 인맥도 끌어오는 등 일을 하고 있으나 프로듀서 직함을 올리지 못할 정도로 좌천되었다. 현장에서 입지가 좁아져 프로듀서 직함까지 올릴 정도는 아니라서 다른 프로듀싱 작품에 비하면 퀄리티가 좋지 않다. [[분류:일본의 애니메이션 프로듀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