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오오속]][[분류:인간에 의해 멸종된 생물]] ||<-2> '''{{{#fff {{{+1 카우아이오오}}}[br]Kauaʻi ʻōʻō}}}'''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우아이오오.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Moho braccatus'' '''[br]Cassin, 1855 || ||<-2><#f96>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 ^^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 ^^Chordata^^||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새|조강]] ^^Aves^^||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분류:참새목|참새목]] ^^Passeriformes^^|| || {{{#000 '''아목'''}}} ||참새아목 ^^Passeri^^|| || {{{#000 '''하목'''}}} ||딱새소목 ^^Muscicapida^^|| || {{{#000 '''상과'''}}} ||여새상과 ^^Bombycilloidea^^||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오오(동물)|오오과]] ^^Mohoidae^^||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오오속 ^^''Moho''^^||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카우아이오오 ^^''M. braccatus''^^'''|| ||<-2> '''{{{#000 멸종위기등급}}}''' || ||<-2> [[파일:멸종위기등급_절멸.svg|width=240px]] || [목차] [clearfix] == 개요 == [[오오(동물)|오오]]의 일종. == 특징 == 몸길이 20cm 정도로 오오 중 가장 작은 종이자 오오과의 종 중 가장 마지막까지 생존했던 종으로, 카우아이 섬에서만 서식했었다. 20세기 초반까지는 그래도 흔한 편이었다. 하지만 그 후로 외래종 포식동물과 모기가 옮기는 질병, 서식지 파괴[* 모기들의 위협으로부터 그나마 안전한 곳이 고산지대의 삼림이었지만, 막상 그런 삼림에는 번식에 쓸만한 나무 구멍의 수가 적었고 자연히 번식 가능한 개체의 수의 감소로도 이어졌다.]에 의해 개체수가 감소하여 1960년대 초반에는 34마리만 남았다가, 1981년에는 겨우 암수 한쌍만 발견되었으나, 1982년에 카우아이에 불어닥친 [[허리케인]] 이와가 최후의 일격을 날려, 오오의 번식에 필요한 고목들을 쓰러트렸고, 이 때 목숨을 잃었는지 마지막 암컷마저 자취를 감추었으며, 유일하게 남은 수컷도 1985년에 마지막으로 발견된 이후로 1987년에 [[https://youtu.be/3pqz_ZCjWkc|녹음된 울음소리]][* 영상 자체는 1985년에 촬영되었고, 영상 내 울음소리만 1987년의 그 울음소리다.] 하나만을 남기고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비극적인 것은, 생물학자들에 따르면 마지막으로 녹음된 저 울음소리는 바로 수컷이 짝짓기를 위해 암컷을 부르는 소리였다고 한다.[* 저 시점에서는 모든 카우아이오오 암컷이 멸종되었음을 생각해보면 저 울음소리는 영원히 돌아오지 않을 짝을 찾는 절규에 가까웠던 것이다.] 그 후, 1989년의 조사 당시에는 한 마디로 발견되지 않은 데다가 1992년에 또 다른 허리케인인 이니키가 카우아이를 강타, 그나마 이와 이후 살아남은 카우아이의 삼림을 다시 한 번 초토화시켰고, 결국 2000년에 IUCN에서 카우아이오오의 멸종을 공식으로 선포, 이 종은 물론 오오과가 영원히 자취를 감추고 말았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오오(동물), version=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