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원작에서의 모습, rd1=카이바 세토)] [include(틀:유희왕 듀얼링크스/플레이어블 듀얼리스트)] [[파일:SetoKaiba-DSOD-DULI.png|width=300]] >'''한국판 소개''' >----- >한 때 [[유희(유희왕 듀얼링크스)|유희]]에게 깃들었던 [[어둠의 유희(유희왕 듀얼링크스)|왕의 영혼]]과 수많은 격렬한 싸움을 반복했던 고고한 듀얼리스트. 패배를 맛보게 되어 숙적이라고 정한 [[어둠의 유희(유희왕 듀얼링크스)|왕의 영혼]]은 그가 마지막까지 지켜보지 못한 채 명계로 돌아갔다. 쓰러트려야만 하는 상대를 잃은 그 집념은 [[유희왕 듀얼링크스|듀얼링크스]]를 완성하여, 듀얼리스트들을 새로운 싸움의 장소로 내몬다. [목차] == 개요 == [youtube(G6VKZn17EaM,width=480,height=270)] * '''한국판 성우''' : [[장성호(성우)|장성호]] * '''일본판 성우''' : [[츠다 켄지로]] == 해금 미션 == * '''게이트 출현 조건''' : 듀얼 월드(DSOD) 해금 * '''캐릭터 해금 미션''' : 듀얼 월드(DM) 스테이지 7 부터 진행 가능[* 캐릭터 해금 미션을 달성 시 듀얼 월드(DSOD)도 같이 해금] ||
'''미션1''' ||듀얼 월드 (DM) 에서 레벨 20 어둠의 유희(이벤트)를 상대로 승리하세요.[* 듀얼 월드 (DM) 스테이지 7 달성 시 어둠의 유희(이벤트)가 등장한다.][* 이때 플레이어의 캐릭터는 [[유희(유희왕 듀얼링크스)|유희]]로 고정되고, 덱은 사일런트 덱으로 고정된다.]||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yugioh&no=438087|대사가 나오는 카드]] == ||<-3>
{{{+2 '''{{{#white 대사가 나오는 카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zoDsSpFVnI,width=480,height=270)]}}}||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1z3hdbpr1c,width=480,height=270)]}}}||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FUfpyfnhF8,width=480,height=270)]}}}|| || {{{+1 '''한국어'''}}} || {{{+1 '''일본어'''}}} || {{{+1 '''영어'''}}} || [[https://www.evernote.com/shard/s395/sh/bf9c2ed3-1582-10b3-5eab-0601b5e8f93b/297e5c27edb4a2189c36ae33f4a3d9a2|음성이 존재하는 카드]] * '''몬스터''' : '''[[푸른 눈의 백룡]]''',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 '''[[오벨리스크의 거신병#s-3|오벨리스크의 거신병]]''', '''[[푸른 눈의 아백룡#s-2|푸른 눈의 아백룡]]''', [[푸른 눈의 카오스 MAX 드래곤]], [[푸른 눈의 쌍폭렬룡]], [[진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s-3|진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 [[궁극의 푸른 눈의 아룡]], [[푸른 눈의 카오스 드래곤]], [[하얀 영룡]], [[푸른 눈의 솔리드 드래곤]], [[딥아이즈 화이트 드래곤]], [[정의의 아군 카이바맨#s-4|정의의 아군 카이바맨]], [[VWXYZ#s-2.1.1|X-헤드 캐논]], [[VWXYZ#s-2.1.2|Y-드래곤 헤드]], [[VWXYZ#s-2.1.3|Z-메탈 캐터필러]], [[VWXYZ#s-2.2.1|XY-드래곤 캐논]], [[VWXYZ#s-2.2.2|XZ-캐터필러 캐논]], [[VWXYZ#s-2.2.3|YZ-캐터필러 드래곤]], [[VWXYZ#s-4.2.1|XYZ-드래곤 캐논]], [[ABC(유희왕)#s-3.1|A-어썰트 코어]], [[ABC(유희왕)#s-3.2|B-버스터 드레이크]], [[ABC(유희왕)#s-3.3|C-크러시 와이반]], [[ABC(유희왕)#s-4.1.1|ABC-드래곤 버스터]], [[AtoZ-드래곤 버스터캐논]], [[블러드 볼스#s-2.2|카이저 블러드 볼스]], [[어둠의 어릿광대#s-1|어둠의 어릿광대 사기]], [[팬더믹 드래곤]], [[크리스탈 드래곤(유희왕)|크리스탈 드래곤]], [[블러드 볼스#s-1|블러드 볼스]], [[어썰트와이반]], [[드래곤의 제왕#s-1|드래곤의 제왕]], [[드래곤의 제왕#s-2.1.5|드래곤의 통제자]] * '''마법''' : [[드래곤 자각의 선율#s-1|드래곤 자각의 선율]], [[멸망의 폭렬질풍탄]], [[빙고머신 GO! GO!]], [[융합(마법 카드)#s-1|융합]], [[코스트 다운#s-2.1|코스트 다운]], [[푸른 눈#s-16.3|파란 눈의 위광]], [[용의 투지]], [[카오스 폼#s-1|카오스 폼]], [[드래곤의 제왕#s-2.1|드래곤을 부르는 피리]], [[수축(유희왕)#s-1|수축]], [[침묵의 죽은자]], [[빛의 인도]], [[드래곤 부활의 광주#s-1|드래곤 부활의 광주]], [[죽은 자의 소생#s-1|죽은 자의 소생]], [[천성의 복종]], [[생명 단축의 패#s-2|생명 단축의 패]], [[푸른 눈#s-16.7|파란 눈의 격림]],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s-3.1|궁극의 우뢰탄]] * '''함정''' : [[대역의 암흑]], [[스킬 석세서#s-4|융폭]], [[가드 블록#s-2|카운터 게이트]], [[함정 몬스터#s-3.3.10|크리스탈 아바타]], [[클론 복제]], [[아공간 물질 전송장치#s-1.2|아공간 물질 전송장치]], [[마법 제거 세균 병기#s-1|마법 제거 세균 병기]], [[최후 돌격명령#s-2|최후 돌격명령]], [[푸른 눈#s-17.1|강인! 무적! 최강!]] == 시작 덱 == ||<-5>
{{{+2 '''{{{#white 시작 덱}}}'''}}} || ||<-5> {{{+2 '''{{{#white 메인 덱}}}'''}}} || || UR '''[[푸른 눈의 백룡]]'''[br]x1 || R [[스워드 스토커]][br]x1 || N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4|타크리미노스]][br]x3 || N [[외눈 거인]][br]x3 || N [[어둠의 어릿광대|어둠의 어릿광대 사기]][br]x3 || || N [[솔리튜드]][br]x2 || N [[가고일(유희왕)|가고일]][br]x2 || N [[악의 기사 드라고네스|외눈의 방패용]][br]x3 || R [[수비봉인#s-2|공격봉인]][br]x1 || R [[수비봉인#s-1|수비봉인]][br]x1 || ||<-5> {{{+2 '''{{{#white 엑스트라 덱}}}'''}}} || ||<-5>  || == 레벨 업 보상 == ||
'''1''' || [[파일:듀링_아이콘.png|width=25px]]: 카이바(DSOD) || '''16''' || SR [[가드 블록#s-2|카운터 게이트]] || '''31''' || [[파일:듀링 골드.png|width=25px]] 100000 || || '''2'''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10 || '''17'''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60 || '''32'''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00 || || '''3''' || N [[스킬 석세서#s-4|융폭]] || '''18''' || R [[용의 투지]] || '''33''' || UR [[진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 || || '''4'''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진화한 최강 드래곤''' || '''19'''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75 || '''34'''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50 || || '''5''' || [[파일:듀링 Deck slot.png|width=20px]][br][[파일:듀링_카드 슬리브.png|width=25px]]: 카이바(DSOD) || '''20'''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푸른 눈의 아백룡''' || '''35''' || UR [[진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 || || '''6'''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15 || '''21''' || N [[스킬 석세서#s-4|융폭]] || '''36''' || [[파일:듀링 ur 구슬.png|width=25px]] 1 || || '''7''' || R [[용의 투지]] || '''22'''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100 || '''37'''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00 || || '''8''' || [[파일:듀링 Deck slot.png|width=20px]] || '''23''' || SR [[가드 블록#s-2|카운터 게이트]] || '''38''' || SR [[드래곤 자각의 선율]] || || '''9'''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5 || '''24'''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120 || '''39'''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50 || || '''10''' || SR [[가드 블록#s-2|카운터 게이트]][br][[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50 || '''25''' || SR [[함정 몬스터#s-2.3.10|크리스탈 아바타]] || '''40''' || SR [[드래곤 자각의 선율]] || || '''11''' || R [[용의 투지]] || '''26'''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150 ||<-2><|5>|| || '''12'''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35[br][[파일:듀링_플레이매트.png|width=25px]]: 카이바(DSOD) || '''27''' || [[파일:듀링 Deck slot.png|width=20px]] || || '''13'''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헤비 스타터''' || '''28'''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00 || || '''14''' || N [[스킬 석세서#s-4|융폭]] || '''29'''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50 || || '''15'''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50[br][[파일:듀링_아이콘.png|width=25px]]: 카이바(DSOD) (Ver.2) || '''30''' || UR [[딥아이즈 화이트 드래곤]] || == 스킬 == ||<-2>
[[파일:듀링스킬.png|width=20px]] {{{+2 '''{{{#white 레전드 스킬}}}'''}}} || ||<-2><:> {{{+1 '''{{{#white 레벨 업 보상 스킬}}}'''}}}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진화한 최강 드래곤'''[br]① : 듀얼 시작 시, 자신의 덱 외부에서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 "[[진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 "[[푸른 눈의 쌍폭렬룡]]"을 각각 1장씩 자신의 엑스트라 덱에 추가합니다.[br]② : 듀얼 시작 후 3번째 턴 이후에 사용할 수 있고, "[[푸른 눈의 백룡]]"이 자신의 패에 2장 이상 있을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자신의 패에서 "[[푸른 눈의 백룡]]" 2장을 선택하여 상대에게 공개한 뒤, 자신의 덱 외부에서 "[[융합(마법 카드)|융합]]" 1장을 자신의 패에 추가합니다.[br][br]이 스킬의 ②의 효과는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레벨 4 달성||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헤비 스타터'''[br]이 스킬은 듀얼 시작 시 자신의 덱에 카드명이 다른 레벨 5 이상의 몬스터가 3종류 이상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만 발동됩니다.[br][br]① : 자신의 시작 패에 레벨 5 이상의 몬스터가 들어올 확률이 높아집니다.[br]② : 자신의 첫 번째 메인 페이즈가 끝날 때까지, 자신은 몬스터를 특수 소환 할 수 없고,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습니다.||레벨 13 달성||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푸른 눈의 아백룡'''[br]① : 원래 카드명이 "[[푸른 눈의 백룡]]"이고 공격력이 3000 이상인 몬스터가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을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원래 카드명이 "[[푸른 눈의 백룡]]"이고 공격력이 3000 이상인 몬스터를 1장 선택한 뒤, 해당 몬스터를 "[[푸른 눈의 아백룡]]"으로 바꿉니다.[br]이 스킬은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레벨 20 달성|| ||<-2><:> {{{+1 '''{{{#white 캐릭터 전용 스킬}}}'''}}}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완전한 패배라는 채찍'''[br]① : 듀얼 시작 후, 6번째 턴 이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자신의 덱 외부에서 "[[푸른 눈의 카오스 MAX 드래곤]]" 1장을 자신의 덱에 추가하여, 자신의 덱의 맨 위에 놓습니다.[br]② : 이 스킬의 ①의 효과를 사용한 후, 수비력이 3500 이상인 몬스터가 상대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을 경우, 자신의 덱 외부에서 "[[카오스 폼]]" 1장을 자신의 패에 추가합니다.[br][br]이 스킬의 ①의 효과는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왕의 기억 오벨리스크의 거신병'''[br]① : 듀얼 시작 후, 5번째 턴 이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드로우 페이즈의 일반 드로우를 수행하지 않고, 자신의 덱 외부에서 "[[오벨리스크의 거신병]]" 1장을 자신의 패에 추가합니다.[br]② : "[[오벨리스크의 거신병]]"이 자신의 패에 있고, "[[푸른 눈의 백룡]]"이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을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해당 턴에 자신이 "[[오벨리스크의 거신병]]"을 일반 소환할 경우, "[[푸른 눈의 백룡]]" 1장을 3장만큼의 릴리스로 할 수 있습니다.[br]③ : 이 스킬의 ②의 효과를 사용한 후, 자신의 엔드 페이즈에 발동됩니다.[br]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는 "[[오벨리스크의 거신병]]"을 묘지로 보냅니다.[br][br]이 스킬의 ①, ②의 효과는 각각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벤트 보상|| ||<-2><:> {{{+1 '''{{{#white 기타 스킬}}}'''}}}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드래고닉 리버스''' [br]① : 듀얼 시작 후, 4번째 턴 이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자신의 묘지에서 현재 턴 수와 같은 레벨을 갖는 드래곤족 몬스터 1장을 선택하여 자신의 패에 넣습니다.[br]이 스킬은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드래고닉 리인카네이션''' [br]① : 자신의 패에 레벨이 7 이상인 드래곤족 몬스터가 있을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해당 몬스터를 선택하여 묘지로 보냅니다. 그 후, 자신의 묘지에서 레벨이 4인 빛 속성 드래곤족 몬스터 1장을 선택하여 자신의 패에 넣습니다.[br]이 스킬은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LP 부스트 α'''[br]① : 자신의 시작 라이프 포인트가 1000 증가합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LP 부스트 Ω'''[br]① : 자신의 시작 라이프 포인트가 5000 증가합니다.[br]② : 자신의 시작 패의 카드가 4장 줄어듭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드로우 센스: 마법/함정'''[br]이 스킬은 듀얼 시작 시 자신의 덱에 카드명이 다른 마법 / 함정 카드가 3종류 이상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br][br]① :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1000 감소할 때마다 자신의 드로우 페이즈의 드로우 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드로우 페이즈의 일반 드로우를 수행하지 않고, 무작위의 마법 카드 또는 함정 카드를 드로우합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드로우 센스: 고레벨'''[br]① :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1000 감소할 때마다 자신의 드로우 페이즈의 드로우 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드로우 페이즈의 일반 드로우를 수행하지 않고, 무작위의 레벨 5 이상의 몬스터를 드로우합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드로우 센스: 빛'''[br]① :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1500 감소할 때마다 자신의 드로우 페이즈의 드로우 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드로우 페이즈의 일반 드로우를 수행하지 않고, 무작위의 빛 속성 몬스터를 드로우합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드로우 센스: 어둠'''[br]① :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1500 감소할 때마다 자신의 드로우 페이즈의 드로우 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드로우 페이즈의 일반 드로우를 수행하지 않고, 무작위의 어둠 속성 몬스터를 드로우합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박살내기'''[br]① : 레벨이 5 이상인 몬스터가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을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자신의 해당 턴이 끝날 때까지,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는 모든 레벨이 5 이상인 몬스터의 공격력을 [{{{#gray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는 레벨이 5 이상인 몬스터 수*300}}}] 만큼 추가로 올립니다.[br]이 스킬은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푸른 눈 디멘션''' [br]① : 듀얼 개시시에, 덱에 「푸른 눈」 몬스터가 9장 이상 존재할 경우, 이 듀얼 중에 자신은 「푸른 눈의 백룡」을 일반 소환할 경우에 필요한 릴리스가 없어지며, 의식 몬스터 및 레벨을 가진 드래곤족 / 빛 속성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추가로 이하의 효과를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다.[br]패 및 덱에서 「푸른 눈」 몬스터를 1장씩 묘지로 보내고, 덱에서 「푸른 눈의 백룡」 또는 「죽은 자의 소생」 1장을 패에 넣고, 덱 외에서 「융합」 1장을 덱 맨 아래에 넣는다. 2턴째 이후일 경우, 추가로 「푸른 눈의 카오스 MAX 드래곤」 「카오스 폼」을 1장씩 덱 맨 아래에 넣는다.||이벤트 보상|| [include(틀:유희왕 듀얼링크스/아카이브 스킬/스피드 듀얼)] == CPU == [[파일:카이바 DSOD 덱.png|align=center&width=70%]] ||
<-5>
{{{+2 '''{{{#white CPU (Lv.40)}}}'''}}} || ||<-5> {{{+2 '''{{{#white 메인 덱}}}'''}}} || ||<:> [[푸른 눈의 백룡#s-2|푸른 눈의 백룡]][br]x3 ||<:> [[블러드 볼스#s-2.2|카이저 블러드 볼스]][br]x2 ||<:> [[크리스탈 드래곤#s-2|크리스탈 드래곤]][br]x2 ||<:> [[블러드 볼스#s-1|블러드 볼스]][br]x2 ||<:> [[어썰트와이반]][br]x1 || ||<:>[[푸른 눈의 아백룡#s-1|푸른 눈의 아백룡]][br]x1 ||<:>[[딥아이즈 화이트 드래곤]][br]x1 ||<:>[[빙고머신 GO! GO!]][br]x2 ||<:>[[융합(마법 카드)#s-1|융합]][br]x2 ||<:>[[코스트 다운#s-2.1|코스트 다운]][br]x1 || ||<:>[[드래곤 자각의 선율#s-1|드래곤 자각의 선율]][br]x1 ||<:>[[스킬 석세서#s-4|융폭]][br]x1 ||<:>[[함정 몬스터#s-2.3.10|크리스탈 아바타]][br]x1 ||<-2> || ||<-5> {{{+2 '''{{{#white 엑스트라 덱}}}'''}}} ||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s-1|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br]x1 ||<:>[[진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s-1|진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br]x2 ||<-3> || === 듀얼 보상 === ||<-5>
{{{+2 '''{{{#white 듀얼 보상}}}'''}}} || || UR [[어썰트와이반]] || SR [[크리스탈 드래곤#s-2|크리스탈 드래곤]] || SR [[거룡의 도약]] || SR [[에너미 컨트롤러#s-3|에너미 컨트롤러]] || SR [[대역의 암흑]] || || R [[다크 제브라#s-1|다크 제브라]] || R [[플레임(유희왕)#s-1|홀리 플레임]] || R [[클론 복제]] || N [[씨호스#s-2.1|씨호스]] || N [[어둠의 어릿광대#s-1|어둠의 어릿광대 사기]] || == 미션 == ||<-2><:>
[[파일:듀링_카드 슬리브.png|width=40px]] {{{+1 '''{{{#white 카드 슬리브}}}'''}}}|| ||<:>'''카드 슬리브: 카이바(DSOD)'''||평생 미션[* "카이바(DSOD)" 레벨 5 달성]|| ||<:>'''카드 슬리브: 푸른 눈의 백룡'''[br]{{{-1 {{{#gray 어나더일러}}}}}}||평생 미션[* "카이바(DSOD)" 100회 듀얼]|| ||<:>'''카드 슬리브: 푸른 눈의 아백룡'''||평생 미션[* 덱에 "푸른 눈의 아백룡" 넣고 100회 듀얼]|| ||<:>'''카드 슬리브: 오벨리스크의 거신병'''||평생 미션[* "오벨리스크의 거신병"을 사용해 전투 데미지를 입혀 상대의 라이프를 0으로 감소시킨다.]|| ||<-2><:>[[파일:듀링_플레이매트.png|width=40px]] {{{+1 '''{{{#white 플레이매트}}}'''}}}|| ||<:>'''플레이매트: 카이바(DSOD)'''||평생 미션[* "카이바(DSOD)" 레벨 12 달성]|| ||<:>'''플레이매트: 푸른 눈의 백룡'''[br]{{{-1 {{{#gray 어나더일러}}}}}}||평생 미션[* "푸른 눈의 백룡"을 사용하여 100회 승리]|| ||<:>'''플레이매트: 푸른 눈의 아백룡'''||평생 미션[* "푸른 눈의 아백룡" 100회 소환]|| ||<:>'''플레이매트: 오벨리스크의 거신병'''||평생 미션[* "오벨리스크의 거신병" 100회 소환]|| ||<-2><:>[[파일:듀링_유희왕 카드 아이콘.png|width=30px]] {{{+1 '''{{{#white 카드}}}'''}}}|| ||<:>'''푸른 눈의 백룡'''[br]{{{-1 {{{#gray 어나더일러, 레어도:엑스트라 프리미엄}}}}}}||평생 미션[* "카이바(DSOD)"로 플레이하여 "푸른 눈의 백룡"을 30회 소환]|| ||<:>'''푸른 눈의 아백룡'''[br]{{{-1 {{{#gray 레어도:엑스트라 프리미엄}}}}}}||평생 미션[* "카이바(DSOD)"로 플레이하여 "푸른 눈의 아백룡"을 사용해 전투 데미지를 입혀 상대의 라이프를 0으로 감소시킨다.]|| == 평가 == 듀링에서 유일무이한 [[푸른 눈|백룡덱]] 특화 캐릭터. 백룡덱 전용 스킬들을 많이 가지고 있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전설의 듀얼리스트/듀얼 월드(DM)|DM 월드]]의 [[카이바(유희왕 듀얼링크스)|카이바]]는 백룡덱과 어울리는 스킬은 있어도 백룡덱 전용 스킬은 없었다.] 스킬들의 성능이 하나같이 아쉬운 편이지만 백룡덱에겐 이보다 좋은 스킬이 없다보니 억지로라도 써야만 하는 캐릭터다. 반면 다른 덱에서 쓰일만한 범용 스킬들은 없다시피하여 캐릭터 사용자가 백룡덱인 것을 상대에게 쉽게 들킬 수 밖에 없다. 특히 "진화한 최강 드래곤" 스킬은 스킬 구조상 무조건 들키게된다. 가장 많이 쓰이는 스킬은 "진화한 최강 드래곤". 방식이 구려터졌지만 [[푸른 눈의 백룡|백룡]]으로인한 패말림을 완화해주며, 패에 생성한 [[융합(마법 카드)|융합]] 카드를 패코스트로서 써먹을 수도 있다. [[진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진궁푸]], [[푸른 눈의 쌍폭렬룡|쌍폭렬룡]]을 엑덱에 생성시킨다는 점도 가끔은 활약할 때가 있다. 그 다음으로 쓰이는 스킬은 "푸른 눈의 아백룡". [[푸른 눈의 백룡|백룡]]을 [[푸른 눈의 아백룡|아백룡]]으로 바꾼 후 상대 몬스터를 효과 파괴할 수 있으며, 이 후 [[푸른 눈의 아백룡|아백룡]]은 묘지로 가기만하면 [[태고의 백석|태백]]을 통해 쉽게 재활용할 수 있다. 다만 아백룡이 3장이나 풀린 지금은 존재 의미가 사라진 스킬이다. 환경의 가속화가 지속되면서 7턴을 버티는 것 자체가 힘들어서 드물기 하지만 "완전한 패배라는 채찍"스킬도 가끔씩 보인다. 소환까지의 과정은 정말 험난하지만 4000 타점, 대상 내성, 효과 파괴 면역에 수비 공격시 2배 관통 데미지까지 기대할 수 있는 카오스 MAX 드래곤이기에 등장만하면 매우 강력한 것은 사실이라 여러가지 드래곤을 굿스터프로 놓고 버티다가 마무리로 카오스 MAX 드래곤을 뽑아서 공격, 설령 상대가 어찌어찌 카오스 MAX를 뚫어도 패에서 [[딥아이즈 화이트 드래곤]]이 튀어나와 4000이상의 데미지를 줘서 원턴킬을 한다. 이후 2023년 11월 업데이트로 아백룡이 3장으로 풀렸으며, 신팩에 [[딥 오브 푸른 눈]]이 등장, 그리고 신규 스킬인 "푸른 눈 디멘션"의 추가로 백룡 덱의 전개가 다른 방향으로 흘러갔다. 신규 스킬은 기존의 "진화한 최강 드래곤"이나 "완전한 패배라는 채찍"스킬보다 덱의 자유도가 떨어지나, 스킬 자체의 활용도가 높다. 푸른 눈의 백룡을 제물없이 일반 소환할 수 있다는 점은 패 말림을 줄이며, 덱에서 푸른 눈을 묻고 죽은 자의 소생을 가져오는 것도 [[하얀 영룡]]을 소생하면서 상대의 마함을 제거, 또는 딥 오브 푸른 눈을 소생하면서 융합/카오스 폼을 가져올 수 있다. 거기에 2번째 턴만 되도 카오스 MAX를 덱에 추가하기 때문에 기존 채찍처럼 7턴이나 기다릴 필요가 없다는 것이 큰 장점. 다만 푸른 눈의 큰 서포트인 8축 엑시즈를 사용할 수 없고, 잘 써먹었던 9레벨 범용 싱크로인 [[드래그 온 버밀리온]]도 사용할 수 없는 점에서 호불호가 갈린다. 백룡덱의 역사에 대해선 [[유희왕 듀얼링크스/덱/2021년 1월~3월#s-7]] 참조 백룡덱의 레시피, 성능에 대해선 [[유희왕 듀얼링크스/덱/2022년 10월~12월#s-5.14]] 참조 == 기타 == [[유희왕 듀얼링크스/전설의 듀얼리스트/듀얼 월드(DSOD)|DSOD 월드]]의 오픈과 함께 [[유희왕 듀얼링크스/전설의 듀얼리스트/듀얼 월드(DSOD)|DSOD 월드]]의 시작 캐릭터로 등장하였다. DM 월드와 DSOD 월드의 대사가 다르다. DM 월드의 [[카이바(유희왕 듀얼링크스)|카이바]]는 "푸른 눈의 백룡"과 "궁극의 푸른눈의 백룡"의 공격명이 애니 더빙판을 따라 "멸망을 부르는 (궁극의) 우레탄"이지만, DSOD 월드의 카이바는 "푸른 눈의 백룡"과 "진 궁극의 푸른눈의 백룡"의 공격명이 "멸망의 버스트 스트림", "하이퍼 얼티메이트 버스트" 로 극장판과 마찬가지로 일본판 공격명과 유사해졌다. 극장판 번역과 통일한 것으로 보인다. DM 캐릭터들과의 듀얼에서는 어둠의 유희를 포함한 모든 캐릭터들을 과거의 존재로 인식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어둠의 유희와의 듀얼 시작, 그리고 승리 혹은 패배시 극장판에서 했던 대사 중 하나가 랜덤으로 나온다. DM과의 차이를 드러내기 위해서인지 전용 테마도 그렇고, 유리한 상황에서 웃으면서 드로우하던 DM과 달리 DSOD 버전은 유리한 상황에서도 전혀 웃지 않는다. 일러스트만의 특이사항으로, 유일하게 듀얼 디스크를 착용하고 있다. 오스틴 오브라이언이 총 모양의 듀얼디스크를 소지는 하고 있는 모습으로 나오지만 그걸 착용하고 있진 않기 때문. 한국어판에서 DSOD 조이에게 승리할 경우 패배시의 대사가 출력되는 오류가 있다. 음성은 정상적으로 승리시의 대사가 나온다. [각주] [[분류:카이바 세토]][[분류:유희왕 듀얼링크스/전설의듀얼리스트(DS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