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애틀랜타 브레이브스 1라운드 지명선수)] [include(틀: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간략(투수))]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터스튜어트.jpg|width=100%]]}}} || ||<-2>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No.2''' || ||<-2> '''{{{#000 {{{+2 스캇 카터 스튜어트 주니어}}}[br]スチュワート・ジュニア / Scott Carter Stewart Jr.}}}''' || || '''생년월일''' ||[[1999년]] [[11월 2일]] ([age(1999-11-02)]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출신지''' ||[[플로리다]] 주 멜본 || || '''학력''' ||이우 게일리 고등학교 - 이스턴 플로리다 주립대학교 || || '''신체''' ||198cm / 102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18 MLB 신인드래프트|2018년 MLB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8번 ([[애틀랜타 브레이브스|ATL]])--[br]2019년 NPB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소프트뱅크 호크스|SB]]) || || '''소속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19~) || || '''계약''' ||2019 ~ 2024 / $7,000,000 [br]2025 ~ 2026 / $10,000,000 || || '''연봉''' ||2024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야구선수. 현재 [[NPB]]의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소속이다.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경력 === 2018년 이우 게일리 고등학교에서 61.2이닝 6승 2패 평균자책점 0.91, 탈삼진 128개로 활약하며 고교 최고의 투수 중 하나로 주목 받았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애틀카터.jpg|width=100%]]}}} || [[2018 MLB 신인드래프트|2018년 드래프트]]에서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에 1라운드 전체 8번으로 지명되었다. 하지만 메디컬 테스트에서 손목 부상이 발견되었고, 이를 이유로 애틀랜타 구단은 슬롯머니 489만 달러보다 한참 낮은 200만달러 선의 계약금에서 합의를 보려고 했다. 그러나 스튜어트의 에이전트는 그 유명한 '''[[스캇 보라스]]'''. 이미 독립리그 진출[* [[J.D. 드류]]가 계약금 협상에 난항을 겪자 독립리그에서 1년을 뛰며 드래프트 재수를 하는 방식을 쓴 바 있다. ] 등 여러 창의적인 방법으로 신인 드래프트에 폭풍을 몰고온 전력이 있던 인물이었고, 스튜어트도 그렇게 낮은 계약금을 받아들일 의사가 전혀 없었기에 결국 애틀랜타와 계약하지 않고 이스턴 플로리다 주립대학교로 진학을 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rter stewart softbank hawks.png|width=100%]]}}} || 그런데 놀라운 전개가 벌어진다. 다음 드래프트에 참가할 것으로 여겨졌던 스튜어트가 2019년 5월 21일, '''[[일본 프로야구]]의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와 6년 700만달러 계약을 맺은 것이다.[* 계약기간은 2024년까지. 2019년 시즌 중 맺은 계약이라 실질적으론 5년 혹은 5년반 계약이다.] 드래프트 대상자인 미국인 선수가 MLB 팀 대신 NPB 팀을 택한 것은 유례가 없는 일이었다. 최근 들어 아시아리그에서 활약한 선발투수를 MLB로 역수입하는 사례가 많아지는 만큼, 스튜어트도 NPB에서의 활약을 바탕으로 미국으로 재진출하는 방법을 노린 것으로, '역시 스캇 보라스'라는 말이 나오기도 했다.[* 6년 계약이 끝나면 해외리그 선수 자격이 되어서 MLB 기준에 FA 신분이 될 수 있다. 최저연봉/연봉조정 기간 없이 바로 연봉 계약을 맺을 수 있으며, 잘만 풀린다면 미국에서 성장한 것보다 더 어린 나이에 대형 FA 계약을 맺을 수 있는 것이다.]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등록명은 스튜어트 주니어, 등번호는 2번을 받았다. 2020년은 2군에서 쭉 담금질을 했다. 2021년 ERA 1.84로 2군을 제패하고 1군에서 첫 선을 보였으나 11경기 4선발 23.2이닝 ERA 6.08 WHIP 1.77로 부진했다. 23이닝에 36K를 잡을 정도로 탈삼진율이 높고 피홈런도 없을만큼 구위는 뛰어나지만, 볼넷이 너무 많아(21볼넷) 아직 영점이 잡히지 않은 모습. 2022년에는 1군에 올라오지 못했다. 2군에서 선발투수로의 완전 전향을 시도하고 있으나, 제구 문제 때문에 신통치 않은 모습이다. 물론 미국에서 성장했다면 AA~AAA를 오가고 있었을 22세의 어린 마이너리거이니 아직은 부진해도 용납되는 수준이며 뛰어난 구위 포텐도 메이저리그 1라운더 출신다운 기대를 충족시키고 있지만, 팀 입장에서는 '연봉 1억 엔이 넘는 외국인선수'가 당장 즉전감이 되어주지 못하고 있는 것이 꽤 아쉬울 수 있겠다. 계약기간도 절반을 지나 2년 밖에 안남았는데 아무것도 보여주지 못했기 때문에 외국인 투수로서의 평가는 [[먹튀]]라 할 수밖에 없다. 2023년은 개막 후 한 달이 넘도록 2군에서조차 등판 기록 없이 증발했다. 5월에 이르러서야 등판을 시작했고, 4경기 치르고 1군에 등록되어 6월 교류전 한신전에서 시즌 첫 등판을 가졌는데 5.1이닝 무실점 ND로 끝났다. 이후 땜빵선발로 10일에 한번 정도 등판하고 있는데 이닝당 1개가 넘어가는 탈삼진으로 강력한 구위는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방어율도 1점대로 순항하며 로테이션 진입을 노리는 상태. 시즌 최종 77.1이닝 ERA 3.38로 처음으로 나쁘지않은 투구를 한 시즌이었다. 시즌 후, 2년 최대 1000만 달러의 연장계약을 맺었다.[* 요코하마의 [[트레버 바우어]]가 400만, 리그 최고 에이스 [[야마모토 요시노부]]가 650만 달러 수준인 것을 감안하면 파격적인 계약이다. ] == 플레이스타일 == 최고 구속이 160km/h에 육박하며, 커브의 회전수가 당대 최고 수준으로 높다고 평가된다. == 여담 ==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99년 출생]][[분류:2020년 데뷔]][[분류:멜버른(플로리다) 출신 인물]][[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등번호가 한 자리인 투수]][[분류: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