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1/개인전)] [include(틀:KDL Preseason 1 경기진행)] [목차] == 개요 ==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1]]의 개인전 32강 경기를 기록해 둔 문서다. 각 조 1~4위는 16강으로 진출하며 5~8위는 탈락한다. || {{{#fff '''경기'''}}} || {{{#fff '''1위'''}}} || {{{#fff '''2위'''}}} || {{{#fff '''3위'''}}} || {{{#fff '''4위'''}}} || {{{#fff '''5위'''}}} || {{{#fff '''6위'''}}} || {{{#fff '''7위'''}}} || {{{#fff '''8위'''}}} || || 조별 예선 ||<-4> {{{#000 '''16강 진출'''}}} ||<-4> {{{#000 탈락(17~32위)}}} || 모든 경기는 50포인트 선취제로, 1위가 50포인트를 획득하면 종료된다. 각 트랙 별 포인트 배분은 다음과 같다. 경기 종료시 동점자가 발생할 경우, 진출/탈락 여부가 갈리는 등수일 경우 1라운드가 진행된 트랙에서 1대1 재경기를 실행한다. 그 외의 경우 마지막 라운드 순위에 따라 최종 순위를 결정한다. ||
{{{#fff '''순위'''}}} || {{{#000 '''1st'''}}} || {{{#000 '''2nd'''}}} || {{{#000 '''3rd'''}}} || 4th || 5th || 6th || 7th || 8th || {{{#000 '''Retire'''}}} || || {{{#fff '''포인트'''}}} || {{{#000 '''10'''}}} || {{{#000 '''7'''}}} || {{{#000 '''5'''}}} || '''4''' || '''3''' || '''1''' || '''0''' || '''-1''' || {{{#000 '''-5'''}}} || 첫 트랙은 '''개인전에 사용되는 트랙 중 추첨으로 결정되며,''' 다음 트랙은 직전 트랙의 1위가 남은 트랙들 중 선택한다. 직전 트랙에서 공동 1위가 나온 경우, 해당 선수들 중 누적 포인트가 가장 높은 선수가 트랙을 선택한다. 누적 포인트 최상위도 동률일 경우, 심판이 남은 트랙 중 하나를 추첨한다. 한 번 사용되었던 트랙은 다시 선택할 수 없으며, 모든 트랙이 1번씩 사용된 후에는 리셋되어 다시 12개의 트랙에서 선택을 이어나간다. [* 트랙 목록은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1/규정|규정]]을 참고] ||<-3>
{{{#fff '''팀별 본선진출자(예선→32강)'''}}} || || 팀명 || 참가 인원 || 출전 선수 명단 || || [[Liiv SANDBOX/카트라이더: 드리프트|[[파일:Liiv SANDBOX 로고.svg|width=25]] {{{#000 '''LSB'''}}}]] || 5명 / 5명 || 박인수, 박현수, 정승하, 김지민, NEAL[br]'''전원 통과''' || || [[광동 프릭스/카트라이더: 드리프트|[[파일:광동 프릭스 로고 화이트.svg|width=20]] {{{#white '''KDF'''}}}]] || 5명 / 5명 || 유창현, 이재혁, 노준현, 배성빈, 유영혁[br]'''전원 통과''' || || [[ROX ESPORTS/카트라이더: 드리프트|[[파일:락스 이스포츠 로고.svg|width=25]] {{{#fff '''ROX'''}}}]] || 1명 / 1명 || 김우준[br]'''불참자 제외 통과''' || || [[Sensation(게임단)|[[파일:KDL_Sensation.png|width=20]] {{{#fff '''SST'''}}}]] || 4명 / 4명 || 문호준, 최영훈, 김응태, 고병수[br]'''전원 통과''' || || [[파일:KDL_ReBoot.png|width=20]] {{{#fff '''RBT'''}}} || 3명 / 4명 || 김승래, 이명재, 홍성민, --권순우-- || || [[AURA(게임단)|[[파일:KDL_Aura.png|width=20]] {{{#000 '''AR'''}}}]] || 1명 / 1명 || 송용준[br]'''불참자 제외 통과''' || || [[Seraphic|[[파일:KDL_Planet.png|width=20]] {{{#fff '''PLN'''}}}]] || 2명 / 3명 || --김재훈--, 한승민, 신민식 || || [[FINALE e-sports/카트라이더: 드리프트|[[파일:finale e-sports.png|width=25]]]] {{{#fff '''FNL'''}}} || 4명 / 5명 || 윤서형, 안정환, --박태민--, 김현중, 정승민 || || 무소속 || 7명 / 17명 || --김경수, 나인창--, 황혁, 이해원, 이창한, 한상현, --임성준, 박정익, 손우현, 추영범, 강다훈, 권효진, 노준엽, 김택진--, 권승주, --안혁진--, 온유민, 황건하, --윤태웅-- || == 4월 8일(토) A조 == ||<-9>
{{{#white '''32강 A조'''}}} || || '''선수''' || [[박인수|{{{#black '''박인수[br]{{{-2 InSoo}}}'''}}}]] || [[박현수|{{{#white '''박현수[br]{{{-2 HyunSu}}}'''}}}]] || {{{#white '''안정환[br]{{{-2 STRIKER}}}'''}}} || [[정승하|{{{#black '''정승하[br]{{{-2 SeungHa}}}'''}}}]] || [[이재혁|{{{#white '''이재혁[br]{{{-2 Zzz}}}'''}}}]] || [[홍성민(프로게이머)|{{{#white '''홍성민[br]{{{-2 Luning}}}'''}}}]] || [[유창현|{{{#fff '''유창현[br]{{{-2 SPEAR}}}'''}}}]] || {{{#black '''권승주[br]{{{-2 Glamint}}}'''}}} || ||<-5>
{{{#white '''사용 카트바디'''}}} || || '''선수''' || {{{#black '''박인수[br]{{{-2 InSoo}}}'''}}} || {{{#white '''박현수[br]{{{-2 HyunSu}}}'''}}} || {{{#white '''안정환[br]{{{-2 STRIKER}}}'''}}} || {{{#black '''정승하[br]{{{-2 SeungHa}}}'''}}} || || 카트바디 || 나이트우퍼[br]광산 수레 || 광산 수레 || 광산 수레 || 광산 수레 || || '''선수''' || {{{#white '''이재혁[br]{{{-2 Zzz}}}'''}}} || {{{#white '''홍성민[br]{{{-2 Luning}}}'''}}} || {{{#fff '''유창현[br]{{{-2 SPEAR}}}'''}}} || {{{#black '''권승주[br]{{{-2 Glamint}}}'''}}} || || 카트바디 || 광산 수레 || 뉴욕 투어 버스 || 광산 수레 || 광산 수레 || ||
{{{#fff '''경기'''}}} || {{{#fff '''트랙'''}}} || {{{#black '''박인수[br]{{{-2 InSoo}}}'''}}} || {{{#white '''박현수[br]{{{-2 HyunSu}}}''' }}} || {{{#white '''안정환[br]{{{-2 STRIKER}}}''' }}} || {{{#black '''정승하[br]{{{-2 SeungHa}}}'''}}} || {{{#white '''이재혁[br]{{{-2 Zzz}}}'''}}} || {{{#white '''홍성민[br]{{{-2 Luning}}}'''}}} || {{{#fff '''유창현[br]{{{-2 SPEAR}}}'''}}} || {{{#black '''권승주[br]{{{-2 Glamint}}}'''}}} || || 01 || 광산 골드러쉬 || 6th 1 || '''1st''' 10 || 5th 3 || 4th 4 || '''2nd''' 7 || '''3rd''' 5 || 8th -1 || 7th 0 || || 02 || 사막 오래된 송수관 || 6th 2 || 4th 14 || 8th 2 || '''3rd''' 9 || '''1st''' 17 || 7th 5 || '''2nd''' 6 || 5th 3 || || 03 || 포레스트 지그재그 || '''1st''' 12 || '''2nd''' 21 || '''3rd''' 7 || 4th 13 || 7th 17 || 6th 6 || 5th 9 || 8th 2 || || 04 || 아이스 설산 다운힐 || '''1st''' 22 || 5th 24 || 7th 7 || 4th 17 || 6th 18 || '''3rd''' 11 || '''2nd''' 16 || 8th 1 || || 05 || 사막 빙글빙글 공사장 || '''3rd''' 27 || '''2nd''' 31 || 7th 7 || 4th 21 || 6th 19 || '''1st''' 21 || 5th 19 || 8th 0 || || 06 || 월드 시안 병마용 || '''1st''' 37 || '''3rd''' 36 || 8th 6 || 6th 22 || '''2nd''' 26 || 5th 24 || 4th 23 || 7th 0 || || 07 || 아이스 익스트림 경기장 || '''1st''' 47 || '''3rd''' 41 || 6th 7 || 5th 25 || 8th 25 || '''2nd''' 31 || 4th 27 || 7th 0 || || 08 || 팩토리 미완성 5구역 || 5th 50 || '''1st''' 51 || 8th 6 || 7th 25 || '''2nd''' 32 || '''3rd''' 36 || 6th 28 || 4th 4 || ||<-4> '''32강 A조 결과''' || || '''순위''' || '''선수''' || '''포인트''' || '''결과''' || || '''1st''' || {{{#fff '''HyunSu'''}}} || 51 ||<|4> '''16강 진출[br]R.O. 16''' || || '''2nd''' || {{{#000 '''InSoo'''}}} || 50 || || '''3rd''' || {{{#fff '''Luning'''}}} || 36 || || '''4th''' || {{{#fff '''Zzz'''}}} || 32 || || '''5th''' || {{{#fff '''SPEAR'''}}} || 28 ||<|4> '''탈락[br]BE ELIMINATED''' || || '''6th''' || {{{#000 '''SeungHa'''}}} || 25 || || '''7th''' || {{{#fff '''STRIKER'''}}} || 6 || || '''8th''' || {{{#000 '''Glamint'''}}} || 4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2강 A조.jpg|width=100%]]}}} || * 자리 배치 ||<-4>
{{{#fff '''HOME 사이드'''}}} ||<|2> ||<-4> {{{#fff '''AWAY 사이드'''}}} || || {{{#000 '''InSoo'''}}} || {{{#fff '''Zzz'''}}} || {{{#fff '''STRIKER'''}}} || {{{#fff '''SPEAR'''}}} || {{{#000 '''Glamint'''}}} || {{{#000 '''SeungHa'''}}} || {{{#fff '''Luning'''}}} || {{{#fff '''HyunSu'''}}} || ||<-2> '''하이라이트 영상''' || || '''ROUND 4''' || [[https://youtu.be/PfkXOW3Jq0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2> '''FULL 영상''' || ||<-2> [youtube(RNuer_eiQ40)] || * 경기 전 시작부터 {{{#gold '''Liiv SANDBOX'''}}} 내전이 성사되었으며 기존 신 BIG3로 여겨졌던 {{{#purple '''Zzz'''}}}, {{{#gold '''InSoo'''}}}, {{{#dodgerblue '''SPEAR'''}}}가 한 자리에 모인 A조다. 그렇기에 이 조는 B조와 또다른 의미로 헬조라는 평이 있는데, 카트라이더 리그에서 마지막까지 좋은 활약을 했던 {{{#purple '''Zzz'''}}}, {{{#gold '''InSoo'''}}}, {{{#dodgerblue '''SPEAR'''}}}, {{{#000 '''HyunSu'''}}}, {{{#silver '''SeungHa'''}}} 이 5명 중 '''한 명은 무조건 떨어진다.''' 게다가 카트리그 시절 데뷔하자마자 큰 주목을 받았고 예선때 좋은 폼을 보여준 {{{#0b0 '''Luning'''}}}, {{{#orange '''Glamint'''}}}, {{{#d13 '''STRIKER'''}}}도 무시할 수는 없기에 생존을 놓고 난전이 예상된다. 여담으로, 업그레이드는 대부분의 선수가 6/0/6/2를 채택했으나 {{{#purple '''Zzz'''}}}, {{{#dodgerblue '''Spear'''}}}는 5/0/6/3, {{{#gold '''InSoo'''}}}는 5/1/6/2로 살짝 차이가 있다. * 경기 후 '''대이변이라는 말이 어울리는 경기였다.''' 개인전 결승 단골손님 및 개인전의 달인 선두주자 {{{#1e90ff '''SPEAR'''}}}가 탈락하고 신인 {{{#0b0 '''Luning'''}}}이 16강에 올라가버렸다! 전반적인 흐름은 중반부터 '''{{{#gold 박}}}{{{#000 수}}}'''듀오가 1,2위를 놓고 다투는 동안 하위권이 확정된 {{{#d13 '''STRIKER'''}}}, {{{#orange '''Glamint'''}}}를 제외하고 4인이서 중위권을 두고 다투는 흐름으로 경기가 진행되었다. * 선수별 평가 {{{#000 '''HyunSu(박현수)'''}}} - '''작년 슈퍼컵 당시의 MVP는 여전하다는 것을 보여줬다.''' 카트리그 당시의 본인의 센스와 안정적인 경기 운영 방식이 잘 먹혀들어 8경기만에 게임을 끝내버렸다. 카트리그 시절 20-2 이후 결승전 단골손님이라 불리고 있고 그때보다도 점점 더 성장하는 {{{#000 '''HyunSu'''}}}이기에 이번 시즌에서도 지금의 폼을 유지한다면 "'''개인전의 달인'''" 타이틀을 얻어내는 데는 어렵지 않을 것이다. {{{#gold '''InSoo(박인수)'''}}} - '''초반 부진이 남은 경기의 원동력이 되어준 케이스.''' 2트랙 연속 6위를 하며 개인전 1위는 커녕 탈락 위기에 놓일 뻔했으나, 몸풀기가 끝났다는 것을 증명하듯 이후 트랙에서 점수를 몰아먹으며 괴물다운 경기력으로 50점을 달성했다. 다만 팀 동료 {{{#000 '''HyunSu'''}}}에게 1위를 내준 것은 살짝 아쉬웠지만 카드맆에서도 적응이 다 되었다는 듯 훌륭한 몸싸움 실력은 건재한 것이 일품이다. {{{#0b0 '''Luning(홍성민)'''}}} - '''아무도 예상 못한 의외의 다크호스.''' 팀전에서도 2:0 승리에 일조하더니만 개인전에서 {{{#purple '''쿨'''}}}, {{{#1e90ff '''윷'''}}} 등의 걸출 선수들을 괴롭히며 모두를 울리고 있다. 22-2 에이스 결정전에서 그 유명한 {{{#purple '''Zzz'''}}}을 잡아내며 1%의 기적을 일으키더니 기어이 이번에는 '''조 3위로 16강에 올라가며 생애 첫 커리어하이를 써내려갔다.''' 다만 16강에 진출했다고 해서 자만할 것은 아니며 이왕 이리 된 거 결승까지도 노리고 있는 만큼 더욱 피나는 노력을 해올 것이 요구된다. {{{#purple '''Zzz(이재혁)'''}}} - '''간신히 16강 턱걸이는 성공했으나 고질적인 큰 기복을 이겨내지 못 했다.''' 초반에는 순조롭게 좋았다가도 중반 3트랙에서 2점밖에 먹지 못해 탈락 위기를 겪었다. 후반 뒷심으로 13점을 다시 쌓아 탈락은 면했으나 아직 카드맆에 적응이 덜 된 것인지 좀 더 분발할 필요가 있어보인다. {{{#1e90ff '''SPEAR(유창현)'''}}} - '''이번 경기의 최대 이변 피해자.''' 2위는 2번 했으나 나머지 순위가 중~하위권일 정도로 기복이 심했다. 결국 '''선수 커리어 최초 32강에서 광탈의 쓴맛을 보게 되었다.''' 여러모로 21-S 이후 갈수록 개인전에서 부진하고 있다는 말을 들었는데 정말 오늘 이 날이 현실이 되어버렸다. 안타깝지만 팀전에 올인해야 한다. {{{#silver '''SeungHa(정승하)'''}}} - '''초반에 좋았으나 후반 뒷심이 부족했다.''' 중위권을 유지하는 연금메타로 순위권에 있었으나 이후 점수를 더 끌어올리는 데는 한계였다. 결국 샌드박스 최초 탈락자라는 오명을 쓰게 되었다. {{{#d13 '''STRIKER(안정환)'''}}} - '''팀전과 다르게 개인전에서 존재감이 너무 없었다.''' 상위권에 있다가도 자주 사고를 일으켰고 개그씬까지(…) 보여주는 활약 덕분에 {{{#orange '''Glamint'''}}}와 함께 한 자리수로 경기를 끝내고 말았다. 22-2 때부터 개인전에서 탈락하고 있는데 여러모로 기량이 많이 저하된 것으로 보인다. {{{#orange '''Glamint(권승주)'''}}} - '''신인에게 있어 현실은 매우 가혹했다.''' 7경기 때까지 '''0점(…)'''으로 점수를 못 먹고 있다가 마지막 트랙에서 4위를 차지하여 점수를 양수로 끝낸 것에만 만족해야 했다. * 특이사항 - {{{#silver '''SeungHa'''}}}는 전신인 카트라이더 리그까지 포함해서 KDL 개인전에서까지 '''또 개막전에 참가하게 되어 무려 6연속 개인전 개막전 참가'''라는 진기록을 세웠다. 또, 기존 카트리그처럼 선수들의 개인전 자리배치는 홀짝 방식으로 {{{#d13 '''HOME 사이드'''}}}에 1,3,5,7번을, {{{#1e90ff '''AWAY 사이드'''}}}에 2,4,6,8번을 자리 배정해놓았다. 때문에 {{{#d13 '''HOME 사이드'''}}}에서 {{{#purple '''Zzz'''}}}와 {{{#1e90ff '''SPEAR'''}}} 사이에 {{{#d13 '''STRIKER'''}}}가, {{{#1e90ff '''AWAY 사이드'''}}}에서 {{{#000 '''HyunSu'''}}}와 {{{#silver '''SeungHa'''}}} 사이에 {{{#0b0 '''Luning'''}}}이 앉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16강 진출에 성공한 4인 모두 1위를 한번 이상 골고루 차지하는데 성공했다. == 4월 9일(일) B조 == ||<-9>
{{{#white '''32강 B조 승부예측'''}}} || || '''선수''' || [[문호준|{{{#black '''문호준[br]{{{-2 HoJun}}}'''}}}]] || [[리우창헝|{{{#white '''리우창헝[br]{{{-2 NEAL}}}'''}}}]] || [[김응태|{{{#white '''김응태[br]{{{-2 Percent}}}'''}}}]] || {{{#black '''이해원[br]{{{-2 Wave}}}'''}}} || [[송용준(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white '''송용준[br]{{{-2 Knock}}}'''}}}]] || [[최영훈|{{{#white '''최영훈[br]{{{-2 Guard}}}'''}}}]] || [[유영혁|{{{#fff '''유영혁[br]{{{-2 Perfect}}}'''}}}]] || [[배성빈|{{{#black '''배성빈[br]{{{-2 SUNGBIN}}}'''}}}]] || ||<-5>
{{{#white '''사용 카트바디'''}}} || || '''선수''' || {{{#black '''문호준[br]{{{-2 HoJun}}}'''}}} || {{{#white '''리우창헝[br]{{{-2 NEAL}}}'''}}} || {{{#white '''김응태[br]{{{-2 Percent}}}'''}}} || {{{#black '''이해원[br]{{{-2 Wave}}}'''}}} || || 카트바디 || 광산 수레 || 광산 수레 || 광산 수레 || 광산 수레 || || '''선수''' || {{{#white '''송용준[br]{{{-2 Knock}}}'''}}} || {{{#white '''최영훈[br]{{{-2 Guard}}}'''}}} || {{{#fff '''유영혁[br]{{{-2 Perfect}}}'''}}} || {{{#black '''배성빈[br]{{{-2 SUNGBIN}}}'''}}} || || 카트바디 || 광산 수레 || 광산 수레 || 광산 수레 || 광산 수레 || ||
{{{#fff '''경기'''}}} || {{{#fff '''트랙'''}}} || {{{#black '''문호준[br]{{{-2 HoJun}}}'''}}} || {{{#white '''리우창헝[br]{{{-2 NEAL}}}''' }}} || {{{#white '''김응태[br]{{{-2 Percent}}}''' }}} || {{{#black '''이해원[br]{{{-2 Wave}}}'''}}} || {{{#white '''송용준[br]{{{-2 Knock}}}'''}}} || {{{#white '''최영훈[br]{{{-2 Guard}}}'''}}} || {{{#fff '''유영혁[br]{{{-2 Perfect}}}'''}}} || {{{#black '''배성빈[br]{{{-2 SUNGBIN}}}'''}}} || || 01 || 아이스 설산 다운힐 || 7th 0 || '''3rd''' 5 || '''1st''' 10 || 6th 1 || 5th 3 || 8th -1 || '''2nd''' 7 || 4th 4 || || 02 || 월드 시안 병마용 || 6th 1 || '''1st''' 15 || 4th 14 || 8th 0 || '''2nd''' 10 || 7th -1 || 4th 11 || '''3rd''' 9 || || 03 || 사막 오래된 송수관 || 4th 5 || '''3rd''' 20 || 8th 13 || 6th 1 || '''2nd''' 17 || 7th -1 || 5th 14 || '''1st''' 19 || || 04 || 아이스 익스트림 경기장 || 5th 8 || 6th 21 || 4th 17 || 7th 1 || '''2nd''' 24 || 8th -2 || '''3rd''' 19 || '''1st''' 29 || || 05 || 빌리지 붐힐터널 || 4th 12 || '''1st''' 31 || '''2nd''' 24 || '''3rd''' 6 || 5th 27 || 7th -2 || 6th 20 || 8th 28 || || 06 || 광산 꼬불꼬불 다운힐 || 8th 11 || 4th 35 || 7th 24 || '''2nd''' 13 || '''3rd''' 32 || 6th -1 || '''1st''' 30 || 5th 31 || || 07 || 월드 리우 다운힐 || 7th 11 || '''1st''' 45 || 8th 23 || '''3rd''' 18 || '''2nd''' 39 || 5th 2 || 6th 31 || 4th 35 || || 08 || 팩토리 미완성 5구역 || 6th 12 || '''1st''' 55 || '''3rd''' 28 || 8th 17 || 7th 39 || '''2nd''' 9 || 4th 35 || 5th 38 || ||<-4> '''32강 B조 결과''' || || '''순위''' || '''선수''' || '''포인트''' || '''결과''' || || '''1st''' || {{{#fff '''NEAL'''}}} || 55 ||<|4> '''16강 진출[br]R.O. 16''' || || '''2nd''' || {{{#fff '''Knock'''}}} || 39 || || '''3rd''' || {{{#000 '''SUNGBIN'''}}} || 38 || || '''4th''' || {{{#fff '''Perfect'''}}} || 35 || || '''5th''' || {{{#fff '''Percent'''}}} || 28 ||<|4> '''탈락[br]BE ELIMINATED''' || || '''6th''' || {{{#000 '''Wave'''}}} || 17 || || '''7th''' || {{{#000 '''HoJun'''}}} || 12 || || '''8th''' || {{{#fff '''Guard'''}}} || 9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2강 B조.jpg|width=100%]]}}} || * 자리 배치 ||<-4>
{{{#fff '''HOME 사이드'''}}} ||<|2> ||<-4> {{{#fff '''AWAY 사이드'''}}} || || {{{#000 '''HoJun'''}}} || {{{#fff '''Knock'''}}} || {{{#fff '''Percent'''}}} || {{{#fff '''Perfect'''}}} || {{{#000 '''SUNGBIN'''}}} || {{{#fff '''Guard'''}}} || {{{#000 '''Wave'''}}} || {{{#fff '''NEAL'''}}} || ||<-2> '''하이라이트 영상''' || || '''ROUND 8''' || [[https://youtu.be/ErV3MC6kjY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2> '''FULL 영상''' || ||<-2> [youtube(xgjzr8pFhb8)] || * 경기 전 '''말이 필요없는 이번 시즌 최악의 죽음의 조로 꼽힌 B조.''' 드리프트 리그에서 선수 복귀를 선언한 {{{#gold '''HoJun'''}}}과 출전조차 불투명한 입장이었음에도 수월하게 본선에 진출한 {{{#dodgerblue '''Perfect'''}}}가 한 조에서 만나면서 기존 카트라이더 리그에서 근본 라이벌로 불리는 두 사람의 조우가 성사되었다. 뿐만 아니라 {{{#silver '''Wave'''}}}를 제외한 모든 선수가 카트라이더 리그에서 개인전 결승에 한번씩은 진출해 본 경험이 있는 바 32강 경기 중 가장 불꽃 튀는 대결이 펼쳐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래도 이변없는 한 {{{#gold '''HoJun'''}}}, {{{#000 '''NEAL'''}}}, {{{#d13 '''Percent'''}}}, {{{#dodgerblue '''Perfect'''}}} 이 4명이 가장 진출 확률이 높다고 보는 추세이나 그렇다고 {{{#purple '''Knock'''}}}, {{{#0b0 '''Guard'''}}}, {{{#orange '''SUNGBIN'''}}} 역시 이 4명에 뒤지지 않는 실력은 충분히 있으며 2022 시즌 반짝 신예 {{{#silver '''Wave'''}}}도 무시 못 할 수는 없기 때문에 어떤 폼을 보여줄 지 알 수 없다. * 경기 후 '''A조만큼 치열했던 혼전의 경기였다.''' {{{#gold '''HoJun'''}}}이나 {{{#000 '''NEAL'''}}}이 1위를 두고 다툴 것이라는 많은 사람들의 예상을 뒤집고 {{{#gold '''HoJun'''}}}이 무기력한 모습만 보여준채 7위로 광탈하는 대이변이 일어났다. 심지어 Sensation의 다른 팀원인 {{{#0b0 '''Guard'''}}}도 7, 8위만 반복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d13 '''Percent'''}}}는 아쉽게 5위를 기록하면서 Sensation의 세 팀원이 32강 개인전에서 5, 7, 8위로 탈락하게 되어 전날 [[Liiv SANDBOX/카트라이더: 드리프트|리브 샌드박스]]에게 6:1 스코어로 참패를 당한 것에 이어 쓴잔을 연속으로 들이키게 되었다. * 선수별 평가 {{{#000 '''NEAL(리우창헝)'''}}} - '''여실히 보여준 카트리그 양대 로열로더의 위엄.''' 초반에는 조금 주춤하나 싶었으나 A조의 [[박인수|Insoo]]처럼 떨어졌나 싶은 순간에 어느새 상위권으로 다시 올라가면서 점수를 먹으며 결과적으로는 2등과의 점수차가 16점이 나면서 무난하게 1등으로 16강에 진출했다. {{{#000 '''NEAL'''}}}만의 센스와 독특한 주행 방식이 다른 선수들을 압도할 정도의 실력은 건재하다는 것을 보여준 케이스. {{{#purple '''Knock(송용준)'''}}} - '''돌아온 슈퍼 옵저버.''' 팀전의 호성적이 개인전까지 탄력을 받았는지 '''초반 3트랙 연속 2위를 차지하는''' 준수한 연금메타 실력이 다시 돌아와 1등을 한번도 하지 않았는데도 2위로 진출하는 연금을 선보였다. {{{#orange '''SUNGBIN(배성빈)'''}}} - '''드리프트 적응 문제는 이제 끝났다.''' 드리프트 적응 속도가 다른 선수에 비해 느려서 16강 가능성이 다소 낮게 점쳐졌으나, 예상을 비웃듯 초반에 1위 2번을 몰아치며 안정권으로 16강에 진출했다. 기존 카트 리그 시절 개인전의 폼이 예전같지 않다는 말도 있었으나 이젠 모든 걸 극복해냈다. {{{#1e90ff '''Perfect(유영혁)'''}}} - '''레전드의 부활.''' {{{#1e90ff '''Perfect'''}}}가 카메라에 잡히면 경기장에 크게 함성이 들리는 등 응원하는 사람은 정말 많았지만, 나이도 있고 카트리그 시절 폼도 점점 떨어져서 16강 진출 가능성은 낮다고 평가받았다. 그러나 마지막까지 {{{#d13 '''Percent'''}}}와 경쟁 끝에 4위로 16강 막차 탑승에 성공하며 전작 리그 22-S 시즌에서의 5위 탈락을 설욕했다. 특히, 기존 카트 리그 시절의 라이벌 {{{#gold '''HoJun'''}}}은 처참한 폼을 보여준 끝에 광탈당한 반대로 본인은 당당하게 살아남았기 때문에 꽤나 대비된다. {{{#d13 '''Percent(김응태)'''}}} - '''막판에 힘이 빠진게 너무 아쉬웠다.''' 초반에는 1위도 한번 하면서 점수를 안정적으로 쌓았으나, 하필 4위 경쟁을 하던 {{{#1e90ff '''Perfect'''}}}가 상위권을 먹을때 하위권을 기록하며 점수를 역전당했고, 마지막 트랙인 5구역에서 1위로 달리며 역전을 보여주나 싶었으나 빌드가 꼬이며 그대로 역전에 실패해 탈락하고 말았다. {{{#silver '''Wave(이해원)'''}}} - '''나름의 가능성은 보여줬으나, 조가 너무 치열했다.''' 초반에는 예상대로 하위권을 전전했고, 후반부에 3, 2, 3등을 하는 저력을 보여주었지만 초반에 워낙 포인트를 먹지 못하여 4위는 커녕 5위도 멀리 달아난 뒤였고, 결국 탈락했다. 하지만 압도적으로 최하위를 기록할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나름 선전했고, 기존 카트 리그의 황제였던 [[고춧가루#s-2|{{{#gold '''HoJun'''}}}보다 윗순위에서 개인전을 마쳤으니]] 나름 큰 성과였을 것이다. {{{#gold '''HoJun(문호준)'''}}} - '''카트리그 황제의 처참한 몰락.''' 초반에는 상위권에 있다가도, 결승선 직전에 몸싸움에 휘말리거나 잔실수가 많은 매우 모습을 보여주면서 하위권을 전전했고, 유일하게 한번도 단상에 올라가지 못하면서 결국 신인인 {{{#silver '''Wave'''}}}에게까지 밀리며 탈락했다. 기존 카트 리그에서 황제로 활약한 모습에 이어 KDL에서도 새로운 황제로 등극하기 위해 복귀하여 도전했지만, 결국 참담하게 광탈하면서 커리어에 큰 흠집을 내고 말았다.[* 참고로 {{{#gold '''HoJun'''}}}의 원작리그 개인전 최저성적은 듀레2 당시 '''6등'''이었다. 즉, 개인전 출전만 하면 무조건 결승을 보장해주던 {{{#gold '''HoJun'''}}}이었지만 이날 탈락으로 '''개인전 결승 개근'''이라는 타이틀에도 스스로 작살을 내고 말았다.] {{{#0b0 '''Guard(최영훈)'''}}} - '''21-S 최종전의 악몽이 재현되어 버렸다.''' 예선에서 보여주었던 실력과는 영 동떨어져 계속 7, 8등에 머물러 마지막 두 트랙까지 음수 점수를 기록했다. 21-S 이후로 개인전에서 사실상 실력이 완전히 저하되었다고 보는게 맞을 듯 하다. 그나마 7,8번째 트랙에서 5위, 2위를 기록하여 양수로 점수를 끝낸 것이 위안일 정도. * 특이사항 - A조의 선례에서 알 수 있듯 기존 카트리그처럼 선수들의 자리배치를 홀짝으로 하는 식으로 유지되었기 때문에, {{{#d13 '''HOME 사이드'''}}} 내의 {{{#gold '''HoJun'''}}}과 {{{#d13 '''Percent'''}}}가 같은 팀 소속으로 {{{#d13 '''Percent'''}}}가 {{{#purple '''Knock'''}}}과 자리를 바꿔 앉았다. 또한 모든 선수들이 광산 수레만을 고집하여 카트바디를 하나로 통일시킨 이례적인 사례가 탄생했다. 마지막으로 {{{#1e90ff '''Perfect'''}}}와 닉네임이 비슷한 {{{#d13 '''Percent'''}}}와 매우 헷갈린다는 얘기가 있었다. 카트 드리프트 특성상 겹치면 잘 안보이고 닉네임도 매우 비슷해 잘 구분하기 힘들어 중계진들이 해설하는 데 애를 먹기도 했다. == 4월 15일(토) C조 == ||<-9>
{{{#white '''32강 C조 승부예측'''}}} || || '''선수''' || [[노준현|{{{#black '''노준현[br]{{{-2 DogWorld}}}'''}}}]] || [[김승래|{{{#white '''김승래[br]{{{-2 Cosu}}}'''}}}]] || {{{#white '''황혁[br]{{{-2 Chorong}}}'''}}} || {{{#black '''이창한[br]{{{-2 Han}}}'''}}} || [[황건하(프로게이머)|{{{#white '''황건하[br]{{{-2 Summer}}}'''}}}]] || [[윤서형|{{{#white '''윤서형[br]{{{-2 Yoon}}}'''}}}]] || [[정승민|{{{#fff '''정승민[br]{{{-2 Banana}}}'''}}}]] || [[한상현|{{{#black '''한상현[br]{{{-2 SangHyun}}}'''}}}]] || ||<-5>
{{{#white '''사용 카트바디'''}}} || || '''선수''' || {{{#black '''노준현[br]{{{-2 DogWorld}}}'''}}} || {{{#white '''김승래[br]{{{-2 Cosu}}}'''}}} || {{{#white '''황혁[br]{{{-2 Chorong}}}'''}}} || {{{#black '''이창한[br]{{{-2 Han}}}'''}}} || || 카트바디 || 뉴욕 투어 버스 || 뉴욕 투어 버스 || 광산 수레 || 솔리드 프로 || || '''선수''' || {{{#white '''황건하[br]{{{-2 Summer}}}'''}}} || {{{#white '''윤서형[br]{{{-2 Yoon}}}'''}}} || {{{#fff '''정승민[br]{{{-2 Banana}}}'''}}} || {{{#black '''한상현[br]{{{-2 SangHyun}}}'''}}} || || 카트바디 || 광산 수레 || 광산 수레 || 광산 수레 || 뉴욕 투어 버스[br]비밀 변기 || ||
{{{#fff '''경기'''}}} || {{{#fff '''트랙'''}}} || {{{#black '''노준현[br]{{{-2 DogWorld}}}'''}}} || {{{#white '''김승래[br]{{{-2 Cosu}}}''' }}} || {{{#white '''황혁[br]{{{-2 Chorong}}}''' }}} || {{{#black '''이창한[br]{{{-2 Han}}}'''}}} || {{{#white '''황건하[br]{{{-2 Summer}}}'''}}} || {{{#white '''윤서형[br]{{{-2 Yoon}}}'''}}} || {{{#fff '''정승민[br]{{{-2 Banana}}}'''}}} || {{{#black '''한상현[br]{{{-2 SangHyun}}}'''}}} || || 01 || 광산 골드러쉬 || 4th 4 || '''3rd''' 5 || '''2nd''' 7 || 7th 0 || '''1st''' 10 || 6th 1 || 5th 3 || 8th -1 || || 02 || 월드 시안 병마용 || '''3rd''' 9 || '''1st''' 15 || '''2nd''' 14 || 6th 1 || 5th 13 || '''3rd''' 6 || 8th 2 || 7th -1 || || 03 || 사막 오래된 송수관 || '''2nd''' 16 || 4th 19 || 6th 15 || 7th 1 || '''3rd''' 18 || '''1st''' 16 || 8th 1 || 5th 2 || || 04 || 아이스 익스트림 경기장 || 4th 20 || 7th 19 || '''1st''' 25 || '''2nd''' 8 || 6th 19 || 8th 15 || '''3rd''' 6 || 5th 5 || || 05 || 아이스 설산 다운힐 || '''1st''' 30 || '''2nd''' 26 || '''3rd''' 30 || 6th 9 || 4th 23 || 5th 18 || 8th 5 || 7th 5 || || 06 || 포레스트 지그재그 || '''1st''' 40 || '''3rd''' 31 || '''2nd''' 37 || 6th 10 || 5th 26 || 7th 18 || 4th 9 || 8th 4 || || 07 || 사막 빙글빙글 공사장 || 4th 44 || '''2nd''' 38 || 6th 38 || 5th 13 || '''3rd''' 31 || '''1st''' 28 || 7th 9 || 8th 3 || || 08 || 빌리지 붐힐터널 || '''2nd''' 51 || '''3rd''' 43 || 6th 39 || 7th 13 || '''1st''' 41 || 4th 32 || 8th 8 || 5th 6 || ||<-4> '''32강 C조 결과''' || || '''순위''' || '''선수''' || '''포인트''' || '''결과''' || || '''1st''' || {{{#000 '''DogWorld'''}}} || 51 ||<|4> '''16강 진출[br]R.O. 16''' || || '''2nd''' || {{{#fff '''Cosu'''}}} || 43 || || '''3rd''' || {{{#fff '''Summer'''}}} || 41 || || '''4th''' || {{{#fff '''Chorong'''}}} || 39 || || '''5th''' || {{{#fff '''Yoon'''}}} || 32 ||<|4> '''탈락[br]BE ELIMINATED''' || || '''6th''' || {{{#000 '''Han'''}}} || 13 || || '''7th''' || {{{#fff '''Banana'''}}} || 8 || || '''8th''' || {{{#000 '''SangHyun'''}}} || 6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2강 C조.jpg|width=100%]]}}} || * 자리 배치 ||<-4>
{{{#fff '''HOME 사이드'''}}} ||<|2> ||<-4> {{{#fff '''AWAY 사이드'''}}} || || {{{#000 '''DogWorld'''}}} || {{{#fff '''Chorong'''}}} || {{{#fff '''Summer'''}}} || {{{#fff '''Banana'''}}} || {{{#000 '''SangHyun'''}}} || {{{#fff '''Yoon'''}}} || {{{#000 '''Han'''}}} || {{{#fff '''Cosu'''}}} || ||<-2> '''하이라이트 영상''' || || '''ROUND 5''' || [[https://youtu.be/MifX6VgKCq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2> '''FULL 영상''' || ||<-2> [youtube(933x_vGY7R4)] || * 경기 전 이전 리그에서 마지막까지 좋은 모습을 보인 {{{#gold '''DogWorld'''}}}가 속해있는 C조다. {{{#gold '''DogWorld'''}}}는 무난히 16강에 진출할 것으로 예상되나, 리그에 한동안 출전하지 않던 {{{#black '''Cosu'''}}}와 {{{#orange '''SangHyun'''}}}, 리그에서 경험이 부족하지만 어떠한 반전을 보여줄 지 모르는 신인들이 속해있어 나머지 세 자리를 어느 선수가 가져가게 될 지 예측하기 힘든 조가 되었다. 오랜만에 복귀한 {{{#black '''Cosu'''}}}와 {{{#orange '''SangHyun'''}}}, 아이템 에이스로서 개인전에 오랜만에 진출한 {{{#dodgerblue '''Banana'''}}}가 16강에 올라갈 수 있을지 정도가 관전 포인트가 될 것으로 보이나 2022 시즌 유망주로 떠오른 {{{#d13 '''Chorong'''}}}, {{{#silver '''Han'''}}}, {{{#purple '''Summer'''}}}, {{{#0b0 '''Yoon'''}}}까지 어떤 모습을 보여줄 지 섣부른 결론을 내릴 수 없다. 또한 이 조는 B조와 반대로 모두에게 가능성이 열려 있기 때문에 끝을 알 수 없는 경기가 펼쳐질 것으로 보이며 {{{#gold '''DogWorld'''}}}의 독주가 예상대로 될지, 지난번 [[박인수|InSoo]]의 퍼펙트로 탈락한 {{{#orange '''SangHyun'''}}}의 이번 리그의 활약을 보여줄 수 있을 지 기대된다. * 경기 후 초반에는 다소 치열한 양상으로 흘러가나 했으나 결론적으로는 {{{#gold '''DogWorld'''}}}가 안정적으로 점수를 먹으며 종합 1위로 경기를 마무리지었다. 경기 초반부터 사실상 '''{{{#silver Han}}}, {{{#dodgerblue Banana}}}, {{{#orange SangHyun}}}''' 이 3명이 탈락권으로 내려가고 나머지 5인이 16강 진출을 두고 경쟁했다. 상대적으로 {{{#gold '''DogWorld'''}}}와 {{{#black '''Cosu'''}}}가 빠르게 진출을 확정지었고, {{{#purple '''Summer'''}}}, {{{#d13 '''Chorong'''}}}, {{{#0b0 '''Yoon'''}}}이 남은 자리를 두고 경쟁한 양상이 되었다. * 선수별 평가 {{{#gold '''DogWorld(노준현)'''}}} - '''이변없는 무난한 조 1위 수성자.''' 점수 그래프에서 보다시피 {{{#gold '''노란색'''}}}의 기울기가 가장 안정적인 축에 속했고 모든 경기를 4위 이내에 들어와 점수를 잘 쌓는데 성공하여 8경기만에 게임을 끝냈다. 개인전 결승 진출 경력만 2번 있고 팀전에서도 주가를 달리고 있기에 다가오는 16강에서는 다시 한 번 결승 직행을 바라고 있을 것이다. {{{#black '''Cosu(김승래)'''}}} - '''돌아온 군필 라이더의 위엄.''' 괜찮은 주행실력과 2019 시즌 시절 여전히 죽지 않은 센스를 보여주며 {{{#gold '''DogWorld'''}}}와 1위를 두고 다투다가 끝내 조 2위를 달성하는데 성공했다. 중반부 2트랙 동안 잠깐 손이 안 풀릴 때도 있었지만 16강에 진출하는 데 전혀 문제 없었다. {{{#purple '''Summer(황건하)'''}}} - '''지난 22-2의 한 끗 차이의 탈락을 떨쳐내고 16강에 당당히 올라섰다.''' 중간중간 기복이 약간 있었으나 금방 추스르고 안정적인 연금메타를 보여주며 조 3위를 차지했다. 라인은 8명 중 가장 아름답고 예술적으로 만드는 모습 역시 일품. {{{#d13 '''Chorong(황혁)'''}}} - '''숨겨진 존재 속의 의외의 다크호스.''' 6위를 3번 기록한 것 외에는 전반적으로 포디움을 잘 탔고 무난하게 16강으로 가는 막차 티켓을 따냈다. 2022 시즌 내내 팀전에서 성장한 모습을 보여준 것이 개인전으로 귀결된 결과였다. {{{#0b0 '''Yoon(윤서형)'''}}} - '''중반부 부진이 아쉬운 케이스.''' 초반에 16점을 쌓아 16강 진출 티켓을 두고 경쟁권에 합류했지만 중반 3트랙에서 2점만 쌓아 16강에서 멀어져갔다. 그나마 마지막 2판에서 14점을 다시 쌓았지만 점수 차이는 벌어졌고 이미 때는 너무 늦었다. 어쩔 수 없이 다음 시즌 개인전을 기약해야 한다. {{{#silver '''Han(이창한)'''}}} - '''개인전 경험 부족이 발목을 잡았다.''' 익스트림에서 2위 한 번 기록한 것 외에는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 하고 활약상 또한 미미하여 광탈의 쓴 맛을 보게 되었다. 다행히 꼴찌를 기록한 트랙은 하나도 없었다는 것에 의미를 둬야 할 듯. {{{#dodgerblue '''Banana(정승민)'''}}} - '''이번 경기에서 존재감을 드러내지 못 했다.''' 아이템 에이스라 스피드전에 몰두를 못 한게 큰 원인이었는지 계속을 바닥을 긁고 혼삽을 푸는 모습이 카메라에 많이 포착되었다. 또한 한번 순위를 잘 먹고 있다가도 개그를 많이 저지르며 순식간에 화면에 잡히지도 않은 것은 덤. {{{#orange '''SangHyun(한상현)'''}}} - '''가혹했던 본선, 그러나 임팩트와 존재감은 가장 최고였다.''' 시종일관 하위권에서 집을 지어 초반부터 16강과는 거리가 멀었으나 이후 다른 몇몇 선수들에게 [[고춧가루#s-2]]를 선사하는 방식으로 조금씩이나마 존재감을 각인시켰고 비록 탈락했으나 중계진이나 팬들에게 그의 복귀를 화려하게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마지막 트랙인 붐힐터널에서 루루를 탑승하는 팬서비스를 보여준 것은 덤. 각오처럼 본인 유튜브 각은 잘 잡겠다고 했는데 [[거짓말은 하지 않는다|어찌보면 틀린 말은 아닌 듯 보인다.]] * 특이사항 - 이번 경기에서 {{{#d13 '''레드 라이더'''}}}가 처음으로 상위 라운드 진출에 성공하여 8개 색상 중 유일하게 {{{#silver '''화이트 시드'''}}}의 선수들이 3연속 광탈하며 {{{#silver '''화이트'''}}}의 저주가 시작되었다. == 4월 16일(일) D조 == ||<-9>
{{{#white '''32강 D조 승부예측'''}}} || || '''선수''' || {{{#black '''신민식[br]{{{-2 MINSIK}}}'''}}} || [[이명재(프로게이머)|{{{#white '''이명재[br]{{{-2 DDing}}}'''}}}]] || [[김지민(프로게이머)|{{{#white '''김지민[br]{{{-2 JiMin}}}'''}}}]] || [[한승민|{{{#black '''한승민[br]{{{-2 AcidFly}}}'''}}}]] || [[고병수(프로게이머)|{{{#white '''고병수[br]{{{-2 Speed}}}'''}}}]] || [[김우준|{{{#white '''김우준[br]{{{-2 Spell}}}'''}}}]] || {{{#fff '''온유민[br]{{{-2 YuMin}}}'''}}} || [[김현중(프로게이머)|{{{#black '''김현중[br]{{{-2 Vanilla}}}'''}}}]] || ||<-5>
{{{#white '''사용 카트바디'''}}} || || '''선수''' || {{{#black '''신민식[br]{{{-2 MINSIK}}}'''}}} || {{{#white '''이명재[br]{{{-2 DDing}}}'''}}} || {{{#white '''김지민[br]{{{-2 JiMin}}}'''}}} || {{{#black '''한승민[br]{{{-2 AcidFly}}}'''}}} || || 카트바디 || 광산 수레 || 광산 수레[br]뉴욕 투어 버스 || 광산 수레 || 뉴욕 투어 버스[br]광산 수레 || || '''선수''' || {{{#white '''고병수[br]{{{-2 Speed}}}'''}}} || {{{#white '''김우준[br]{{{-2 Spell}}}'''}}} || {{{#fff '''온유민[br]{{{-2 YuMin}}}'''}}} || {{{#black '''김현중[br]{{{-2 Vanilla}}}'''}}} || || 카트바디 || 광산 수레 || 광산 수레 || 광산 수레 || 광산 수레 || ||
{{{#fff '''경기'''}}} || {{{#fff '''트랙'''}}} || {{{#black '''신민식[br]{{{-2 MINSIK}}}'''}}} || {{{#white '''이명재[br]{{{-2 DDing}}}''' }}} || {{{#white '''김지민[br]{{{-2 JiMin}}}''' }}} || {{{#black '''한승민[br]{{{-2 AcidFly}}}'''}}} || {{{#white '''고병수[br]{{{-2 Speed}}}'''}}} || {{{#white '''김우준[br]{{{-2 Spell}}}'''}}} || {{{#fff '''온유민[br]{{{-2 YuMin}}}'''}}} || {{{#black '''김현중[br]{{{-2 Vanilla}}}'''}}} || || 01 || 빌리지 붐힐 터널 || 7th 0 || 8th -1 || 4th 4 || '''3rd''' 5 || '''1st''' 10 || '''2nd''' 7 || 6th 1 || 5th 3 || || 02 || 광산 꼬불꼬불 다운힐 || '''1st''' 10 || '''3rd''' 4 || '''2nd''' 11 || 7th 5 || 4th 14 || 5th 10 || 8th 0 || 6th 4 || || 03 || 아이스 익스트림 경기장 || 6th 11 || '''1st''' 14 || 4th 15 || 5th 8 || '''2nd''' 21 || '''3rd''' 15 || 7th 0 || 8th 3 || || 04 || 아이스 설산 다운힐 || 8th 10 || 6th 15 || '''3rd''' 20 || 7th 8 || '''1st''' 31 || 5th 18 || 4th 4 || '''2nd''' 10 || || 05 || 광산 골드러쉬 || '''3rd''' 15 || '''2nd''' 22 || 4th 24 || 5th 11 || '''1st''' 41 || 7th 18 || 6th 5 || 8th 9 || || 06 || 사막 오래된 송수관 || 8th 14 || 4th 26 || '''1st''' 34 || 7th 11 || '''3rd''' 46 || 5th 21 || '''2nd''' 12 || 6th 10 || || 07 || 월드 시안 병마용 || 6th 15 || '''1st''' 36 || '''3rd''' 39 || 5th 14 || 8th 45 || '''2nd''' 28 || 4th 16 || 7th 10 || || 08 || 사막 빙글빙글 공사장 || 8th 14 || '''1st''' 46 || '''2nd''' 46 || 5th 17 || 4th 49 || '''3rd''' 33 || 6th 17 || 7th 10 || || 09 || 팩토리 미완성 5구역 || '''3rd''' 19 || '''2nd''' 53 || 5th 49 || 6th 18 || '''1st''' 59 || 4th 37 || 7th 17 || 8th 9 || ||<-4> '''32강 D조 결과''' || || '''순위''' || '''선수''' || '''포인트''' || '''결과''' || || '''1st''' || {{{#fff '''Speed'''}}} || 59 ||<|4> '''16강 진출[br]R.O. 16''' || || '''2nd''' || {{{#fff '''DDing'''}}} || 53 || || '''3rd''' || {{{#fff '''JiMin'''}}} || 49 || || '''4th''' || {{{#fff '''Spell'''}}} || 37 || || '''5th''' || {{{#000 '''MINSIK'''}}} || 19 ||<|4> '''탈락[br]BE ELIMINATED''' || || '''6th''' || {{{#000 '''AcidFly'''}}} || 18 || || '''7th''' || {{{#fff '''Yumin'''}}} || 17 || || '''8th''' || {{{#000 '''Vanilla'''}}} || 9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2강 D조.jpg|width=100%]]}}} || * 자리 배치 ||<-4>
{{{#fff '''HOME 사이드'''}}} ||<|2> ||<-4> {{{#fff '''AWAY 사이드'''}}} || || {{{#000 '''MINSIK'''}}} || {{{#fff '''JiMin'''}}} || {{{#fff '''Speed'''}}} || {{{#fff '''YuMin'''}}} || {{{#000 '''Vanilla'''}}} || {{{#fff '''Spell'''}}} || {{{#000 '''AcidFly'''}}} || {{{#fff '''DDing'''}}} || ||<-2> '''하이라이트 영상''' || || '''ROUND 9''' || [[https://youtu.be/VtASdbapRJ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2> '''FULL 영상''' || ||<-2> [youtube(sKMJ9ma0Wek)] || * 경기 전 경기 경험이 별로 없는 신인들이 다수 포진된 D조다. 선수의 이름값으로만 봤을 때 팀전 우승자 출신이자 개인전 결승 단골인 {{{#d13 '''JiMin'''}}}, 21년도부터 좋은 활약을 보이며 [[문호준|HoJun]] 팀에 합류한 {{{#purple '''Speed'''}}}, 22년도 전시즌 16강에 진출한 {{{#0b0 '''Spell'''}}}은 다음 라운드 진출이 유력해보이며 남은 한자리를 두고 개인전 출전 경험이 세번 있는 {{{#gold '''MINSIK'''}}}, 프로즌팀으로 이변을 만들어 냈었고 프로팀에 속했던 적이 있는 {{{#black '''DDing'''}}}이 경쟁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gold '''MINSIK'''}}}의 공백기가 꽤 길었고, 16강 진출 경험이 없는 반면, {{{#black '''DDing'''}}}은 마지막으로 출전한 리그에서 16강에 진출했기에 {{{#black '''DDing'''}}}이 진출할 가능성이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거기다 2022년 반짝 신예였던 {{{#silver '''AcidFly'''}}}, {{{#orange '''Vanilla'''}}}와 2019 시즌2 {{{#1e90ff '''블루 라이더 YuMin'''}}}까지 이 3명도 경험이 전무하다고 해도 어떠한 반전을 보여줄 지 알 수 없다. * 경기 후 꿀조로 평가받은 D조였지만, 실상은 '''죽음의 조'''였으며 '''카드맆 리그 개막 이래 최초 9트랙을 돌고서 경기가 끝난 케이스가 되었다.''' 모든 경기가 1~2등이 선두권으로 여유롭게 달리고 나머지 6명이 조금이라도 높은 순위를 얻기 위해 피터지게 싸우는 양상으로 진행되어, 초반에 드래프트 거리 이상으로 치고 나가는 데 성공한 횟수가 많을수록 점수를 많이 얻었다. 그래도 결과는 예상대로 {{{#purple '''Speed'''}}}, {{{#000 '''DDing'''}}}, {{{#d13 '''JiMin'''}}}, {{{#0b0 '''Spell'''}}}이 양분했지만 하위권 선수들에게 16강 진출 희망이 아주 없진 않을 정도로 '''과정 그 자체는 결코 쉽지만은 않았다.''' * 선수별 평가 {{{#purple '''Speed(고병수)'''}}} - '''명실상부 유일한 센세이션 희망.''' 병마용 꼴찌를 제외하고는 폼이 가장 훌륭했으며 전 경기에서 1위를 단 한 번도 내주지 않고 59점을 먹으며 경기를 마무리지었다. 같은 팀 형들인 [[문호준|HoJun]], [[최영훈|Guard]], [[김응태|Percent]]가 모두 탈락했을 때 혼자만 16강에 올라가는 데 성공하여 "센세이션 내의 구세주"라는 평을 받았다. {{{#black '''DDing(이명재)'''}}} - '''22-2 시즌의 폼을 그대로 유지하여 한층 더 업그레이드 시켰다.''' 첫 트랙 꼴찌를 제외하면 포디움에 연속으로 잘 들었고 {{{#d13 '''JiMin'''}}}과 2위 싸움을 상당히 하다가 마지막 트랙에서 2위로 골인하여 최종 2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22-2 시즌에서 커리어하이인 10위를 찍었는데 이왕 이렇게 된거 결승까지도 노리고 있을 것이므로 16강에서 어떤 모습을 보여줄 지 기대가 되는 선수. {{{#d13 '''JiMin(김지민)'''}}} - '''돌아온 개인전의 달인.''' 아이템 에이스라고 스피드전을 못 할 것이라는 편견을 완전히 비웃기라도 하듯, 저돌적인 폼으로 모든 경기를 5위 안에 골인하는 연금메타를 보여주며 선수 생활 처음으로 16강 직행에 성공했다. 그 전까지는 곡예사 메타로 패자부활전을 거쳐갔지만, 이제는 당당히 직행에도 성공하였다. 또한 점수 그래프에서 보다시피 {{{#d13 '''빨간색'''}}} 기울기가 가장 안정적이었다는 것은 {{{#d13 '''JiMin'''}}}의 경기 운영 센스가 매우 탁월하다는 것을 보여주기도 했다. {{{#0b0 '''Spell(김우준)'''}}} - '''여전히 죽지않은 결승리거. 하지만 중간중간 기복은 아쉬웠다.''' 1위 한번도 하진 않았지만 대신 중~상위권을 유지하는 연금메타 전략이 잘 먹혀들었고 중반부 {{{#gold '''MINSIK'''}}}의 위협은 있었으나 당황하지 않고 그만의 탁월한 주행실력을 선보이며 16강행 막차에 타는데 성공했다. 2022 시즌 개인전에서 보여준 실력은 어디 안 간다는 듯 제 몫을 충분히 해준 경기였다. {{{#gold '''MINSIK(신민식)'''}}} - '''중반 부진이 아쉬운 케이스로 B조의 [[김응태|Percent]], C조의 [[윤서형|Yoon]]의 도플갱어였다.''' 이 2명처럼 초반에 분위기 좋다가 중후반부로 갈수록 힘이 빠져버리기 시작했고 그래도 말미에 분전은 꽤 했으나 16강행 기차는 이미 떠나버린 것도 똑같았다. 개인전 경험이 아직 부족하다고는 해도 좀 더 발전시킬 필요가 있어보인다. {{{#silver '''AcidFly(한승민)'''}}} - '''이번 경기에서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 했다.''' 앞선 팀전 경기에서 당한 충격적인 에결 패배[* 결승선을 '''50m 앞'''에 두고 역전을 당했다. 본인도 아쉬웠는지 고개를 들지 못했을 정도.]를 떨쳐내지 못하고 아쉽게 탈락했다. 다만 개인전 출전 자체가 본인 커리어 사상 처음이었으므로 차기 시즌에 준비를 잘 한다면 좋은 모습을 기대해도 될 것 같다. {{{#dodgerblue '''YuMin(온유민)'''}}} - '''C조 [[정승민|Banana]]의 도플갱어 그 자체.''' 몇몇 트랙에서는 상위권에 잘 보이는가 싶더니 혼삽을 푸는 모습이 카메라에 포착되었고 점수를 잘 먹지 못 하며 C조 Banana처럼 조 7위로 광탈했다. 경기 결과처럼 시드 컬러가 {{{#1e90ff '''블루 라이더'''}}}인 것과 경기 과정도 '''완벽히 Banana와 똑같았다.''' {{{#orange '''Vanilla(김현중)'''}}} - '''예선과 달리 본선은 호락호락하지 않았다.''' 22-1 이후 1년만에 본선에서 모습을 드러냈지만 정작 별다른 활약은 보여주지 못 했고 유일하게 한 자리 수를 기록하며 쓸쓸하게 시즌을 마쳤다. * 특이사항 - 32강 내내 월드 LA 부스트우드가 '''단 한번도 선택되지 않았으며,''' 또한 앞의 A,B,C조는 모두 8트랙만에 경기가 끝난 반면, '''D조는 9트랙을 달리고 나서야 경기가 끝났을 정도로''' 가장 혼돈 속에서 펼쳐진 경기라고 평가받는다. 마지막으로 {{{#black '''DDing(이명재)'''}}}와 {{{#purple '''Speed(고병수)'''}}}의 16강 진출로 {{{#black '''블랙'''}}}과 {{{#purple '''퍼플'''}}}은 '''전원 16강에 진출'''한 반면, {{{#silver '''AcidFly'''}}}의 탈락으로 {{{#silver '''화이트'''}}}는 '''32강 내에서 단 한 번도 생존에 성공하지 못 했다.'''[* 신기하게도, {{{#silver '''화이트'''}}} 4명은 전부 '''6등'''으로 탈락했다.] == 32강 정리표 == [include(틀:KDL Preseason 1 개인전 32강 정리표)] [[분류: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