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1]]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1/팀전)] [include(틀:KDL Preseason 1 경기진행)] [목차] == 개요 == ||<#000><-2> {{{#fff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1 결승전'''}}} || ||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73312 -10%, #fff, #fff, #fff)" [[광동 프릭스/카트라이더: 드리프트|{{{#E73312 {{{+1 '''KWANGDONG FREECS'''}}}}}}]]}}} ||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FFC900 -10%, #fff, #fff, #fff)" [[Liiv SANDBOX/카트라이더: 드리프트|{{{#FFC900 {{{+1 '''Liiv SANDBOX'''}}}}}}]]}}} || ||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22px 2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73312 -10%, #fff, #fff, #fff)"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height=130]]}}} ||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FFC900 -10%, #fff, #fff, #fff)" [[파일:Liiv SANDBOX 로고.svg|width=150]]}}} ||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1]]의 팀전 결승전 경기를 기록해 둔 문서다. 결승진출전에서 승리를 거둬 결승으로 직행한 [[광동 프릭스/카트라이더: 드리프트|{{{#e11 '''KWANGDONG FREECS'''}}}]] 팀이 {{{#e11 '''레드 라이더'''}}}이자 {{{#e11 '''HOME 사이드'''}}}로, PO에서 Aura 팀을 꺾고 승리를 차지한 [[Liiv SANDBOX/카트라이더: 드리프트|{{{#1e90ff '''Liiv SANDBOX'''}}}]] 팀이 {{{#1e90ff '''블루 라이더'''}}}이자 {{{#1e90ff '''AWAY 사이드'''}}}로 배정되었다. == 진행 방식 == 모든 경기는 1세트 스피드전과 2세트 아이템전을 각각 5판 3선승제로 진행하고, 세트 스코어 1:1이 되면 에이스 결정전 단판으로 승부를 가른다. 이것으로 한 페이즈를 끝내며 양 팀 모두 페이즈 스코어가 1:1이 되면 7전 4선승제의 3페이즈 [[승자연전제|승자연전]]을 진행한다. || {{{#fff '''페이즈'''}}} || {{{#fff '''1세트'''}}} || {{{#fff '''2세트'''}}} || {{{#fff '''3세트'''}}} || || 1페이즈 ||<|2> 스피드전[br]5판 3선승 ||<|2> 아이템전[br]5판 3선승 ||<|2> 에이스결정전[br]단판 || || 2페이즈 || || 3페이즈 ||<-3> 승자연전 || 3페이즈 승자연전은 각 팀당 선수들이 [[승자연전제|1:1로 스피드 개인전을 치루되, 승리한 선수는 다음 선수랑 연속으로 대결하며]] 7판 중 4선승을 챙긴 팀이 우승팀이 된다. == 타이틀 영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ICXB2NBIBY)]}}} || == 개최 장소 == ||<#000> {{{+1 {{{#fff '''비타500 아프리카TV 콜로세움'''}}} }}} || ||<#c0c0c0> {{{#000 '''관객 수용 인원 - ?명'''}}} || == 경기 전 == * 상대 전적 * 스피드 KDF 6 : 4 LSB (세트 동률) * 아이템 KDF 6 : 6 LSB (세트 동률) * 에이스 [[노준현|DogWorld]] 2승 / [[박인수|InSoo]], [[리우창헝|NEAL]] 1패 * 스피드전 전적 상으로는 광동 프릭스가 얻어낸 트랙이 더 많지만, 8강에서의 전적은 [[정승하|SeungHa]]가 없었다는 점을 감안할 필요는 있으며 일단 가장 가까운 시점인 결승 진출전은 샌드박스가 4:3으로 이겼기 때문에 현재 상황에서는 경기력이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예상된다. 다만, 스피드전을 오래 거쳐오면서 각 팀이 해결해야 할 숙제가 있었던 만큼 그러한 약점들을 얼마나 잘 보완하는지도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광동 프릭스의 경우 8강에서 리브 샌드박스를 상대로 압도적인 스피드전 경기 운영을 보여줬으며, 결승진출전에서도 풀 라운드 접전을 이끌어내며 스피드전이 강력하다는 점을 보여줬다. 다만, 8강과 결승진출전 모두 슈퍼 플레이가 나오지 않았다면 위태로운 경기가 적지 않았으며 [[유창현|Spear]]에 대한 경기 의존도가 상당히 높다는 점이 결승진출전에서 확인되었기에 이 부분을 어떻게 잘 다듬어서 오는지가 관건이 될 것이다. 리브 샌드박스의 경우 결승 진출전에서 광동 프릭스를 상대로 승리했고, 아우라를 상대로도 풀 라운드를 허용하기는 했지만 일단 두 번 모두 스피드전을 승리했기에 기세 자체는 충분하다. 그러나, 플레이오프 경기에서 예상치 못하게 인수가 다소 부진한 모습이 나타나며 [[박현수|HyunSu]], SeungHa에게 부담이 실리는 모습이 있었는데, 이 부분을 잘 준비하는 것이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 아이템전 * 에이스결정전 * 승자연전 '''스피드전, 에이스결정전과 마찬가지로 {{{#e11 KWANGDONG FREECS}}}'''는 전작 리그에서 2번 연속 승자연전을 경험했지만 정작 상대 팀 선수들의 적극적인 공격과 몸싸움을 오히려 회피하기만 하다가 벽에 결국 꽂혀버리며 승부가 허무하게 결정나는 방식으로 우승컵을 놓쳐왔다. 거기다 승자연전 경험이 전무한 Spear, [[배성빈|SUNGBIN]]이 에이스결정전과는 사뭇 다른 승자연전을 잘 헤쳐나갈 수 있을 지 우려가 되는 부분이다. 그렇다고 '''{{{#1e90ff Liiv SANDBOX}}}''' 쪽에서도 여유만만해하고 있을 상황은 전혀 아니다. 이번 시즌 들어 유달리 에이스결정전에서 발목을 잡혀온 샌드박스인데, '''승자연전은 엄연히 에이스결정전의 서바이벌 연장전 방식이기 때문에''' 1-2명만 삐끗해도 팀 전체에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 그렇기에 전작 리그에서 2연속 승자연전을 승리해봤다고 해서 자만해하고 있어서는 절대 안되는 현실이다. * 여담 - {{{#e11 '''KWANGDONG FREECS'''}}}가 무관을 끊어내고 첫 우승을 달성할 지, {{{#1e90ff '''Liiv SANDBOX'''}}}가 '''3-peat'''을 달성하여 [[박인수|InSoo]], [[정승하|SeungHa]]의 라스트 스테이지를 잘 마무리할 수 있을 지 각 팀의 손에 운명이 달리게 되었다. ||<-5> {{{#fff '''결승전 승부예측(다른 팀 예측)'''}}} || ||<-2> '''KWANGDONG FREECS''' ||<|1> {{{#000,#fff '''팀명'''}}} ||<-2> '''{{{#FFF Liiv SANDBOX}}}''' || || '''2:0''' || 2:1 ||<|2> {{{#000,#fff '''vs'''}}} || 1:2 || 0:2 || || || [[파일:KDL_Aura.png|width=25]] [[파일:KDL_ReBoot.png|width=30]] [[파일:락스 이스포츠 로고.svg|width=25]] || [[파일:finale e-sports.png|width=30]] [[파일:KDL_Planet.png|width=30]] [[파일:KDL_Sensation.png|width=30]] || || === 프리뷰 === 2022-2 시즌부터 세기의 라이벌이자 '''3연속 결승전 단골손님'''으로 광샌전 대결 구도가 성립되었다. 원작 리그에서 {{{#1e90ff '''블루 라이더'''}}}였던 {{{#e11 '''KWANGDONG FREECS'''}}}가 {{{#e11 '''레드 라이더'''}}}, {{{#d13 '''레드 라이더'''}}}였던 {{{#1e90ff '''Liiv SANDBOX'''}}}가 {{{#dodgerblue '''블루 라이더'''}}}가 되며 서로의 색깔이 바뀐 것도 특이점. 두 팀 다 승자연전을 경험했기 때문에[* 다만, 공식적인 승자연전을 해본 팀은 2022-2~2022-SC의 {{{#e11 '''KWANGDONG FREECS'''}}}, {{{#1e90ff '''Liiv SANDBOX'''}}}가 유이한 팀이다. 물론 [[DFI BLADES/카트라이더|DFI BLADES]]도 페이즈제 결승 경험이 있긴 하지만 2:0 셧아웃으로 빠르게 끝냈기 때문에 승자연전 자체를 해본 적이 없는 팀이다. 때문에 현재 아이템 에이스 포지션의 [[김지민(프로게이머)|김지민]]과 [[유창현]], [[배성빈]], [[리우창헝]]은 승자연전에 참가한 적은 없다. 이것 또한 변수가 될 수 있을 지 주목할 부분.] 이번 시즌에서도 서로가 1페이즈씩을 가져가고 승자연전에서 승부가 갈릴 것인지, 아님 둘 중 한팀의 페이즈 2:0 셧아웃으로 끝낼 것인지, 전작 리그 징크스가 이어지거나 파괴될 지[*전작리그 4인체제와 5인체제의 대결 시, 4인체제가 승리하는 징크스, {{{#e11 '''레드 라이더'''}}}가 승자연전 2:1 승리로 결승전을 끝내거나 {{{#dodgerblue '''블루 라이더'''}}}가 승자연전 없이 페이즈 2:0 셧아웃으로 마무리하는 징크스, 3연속 우승 실패 징크스 등.] 등 많은 궁금증을 불러일으키게 되었다. === 결승진출전 승리팀 - {{{#e11 KWANGDONG FREECS}}} === 22-1 시즌 이후로 '''4연속 결승 진출 성공'''했고 그 시즌으로부터 정확히 1년만에, 이번 시즌 팀전 {{{#e11 '''레드 라이더'''}}}로 달리는 {{{#e11 '''KWANGDONG FREECS'''}}} 팀이다. 5인 시절의 {{{#e11 '''KWANGDONG FREECS'''}}}는 플레이오프까지 좋은 활약을 보여줬으나 정작 결승전만 가면 어딘가 나사풀린 모습을 보여주며 만년 2위라는 아쉬운 결과를 남겨왔다. 그러나 로스터도 4인체제로 변경하고 그동안 단점으로 지적받은 몸싸움 회피와 팀워크 부족 등의 요인을 완벽히 이겨냈기 때문에 오랜만에 에결승 2:1로 결승진출전에서 승리를 하여 22-2 이후 기운이 좋아진 {{{#e11 '''레드 라이더'''}}}가 된 만큼 이번 시즌에서만큼은 우승 트로피를 들기 위해 4인의 피나는 레이스가 시작될 것이다. 또한 아직 우승경험이 없는 노준현과 팀전에서 단 하나의 우승컵도 들어올리지 못한 이재혁이 팀전 첫 트로피를 들수 있을지 주목되는 바이다. ==== {{{#e11 KWANGDONG FREECS}}}가 승리할 경우 ==== * 22-2 이후 3연속 {{{#e11 '''결승진출전 승리팀'''}}}이 우승한다. * 전작 카트리그 시절 '''창단 이래 첫 우승컵'''을 거머쥔다.[*Pre 단, 프리시즌은 서로의 실력을 점검해보는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정규 커리어로 인정하지 않는다.] * 4인체제 vs 5인체제 결승 구도가 될 경우, 4인체제 팀이 승리하는 징크스를 이어갈 수 있다. * [[이재혁]]은 팀전 우승 시 양대 우승은 물론 전작인 카트리그를 포함해 팀전 첫 우승을 거둔다.[*Pre] * [[유창현]], [[배성빈]]은 22-1 이후 1년만에 우승을 거둔다.[*Pre] * [[리우창헝]]에게 전작 리그 징크스인 '''양대 준우승 징크스'''를 선사할 수 있다.[*Pre] === PO 승리팀 - {{{#1e90ff Liiv SANDBOX}}} === 22-2 이후로 '''3연속''' 결승 진출에 성공,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전작 리그에서 못 이룬 3핏을 달성하기 위해 다시 한 번 {{{#e11 '''KWANGDONG FREECS'''}}}와 맞붙게 된 이번 시즌 팀전 {{{#1e90ff '''블루 라이더'''}}}로 달리는 {{{#1e90ff '''Liiv SANDBOX'''}}} 팀이다. 이 팀은 "'''무적함대, 팀전의 달인'''"이라는 별명에 맞게 결승전에 가면 거의 우승을 놓친 적이 없을 정도로[* {{{#dodgerblue '''Liiv SANDBOX'''}}}는 결승전에 총 6번 진출했는데, 그 중 단 한 번을 제외하고 '''5번이나 우승'''을 차지하였다! 전신인 SAVIORS를 포함하면 총 7번 중 6번이나 우승한 것.] 팀원 개개인의 피지컬과 특유의 여유로우면서도 다소 능글맞은 경기 운영 센스를 보여주는 것이 특징이다. 그렇기에 전작 슈퍼컵에서 1페이즈를 내주고도 여유롭게 2페이즈와 승자연전에서 승리를 이끌어 우승을 차지할 수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이번 시즌에서는 에이스결정전에서 발목을 유독 잡힌 것이 조금 걸리는데, 결승전에서 이를 잘 만회해도 또 한 번 우승컵을 드는 데는 어렵지 않을 것이다. 거기다 [[박인수]], [[정승하]]의 군입대로 마지막 인사를 해야 하는 시즌이 되었기에 누구보다도 유종의 미를 잘 거두는 것이 과제라고 할 수 있겠다. ==== ~~{{{#1e90ff Liiv SANDBOX}}}가 승리할 경우~~ ==== * 22-1 이후 1년만에 {{{#1e90ff '''플레이오프 승리팀'''}}}이 우승을 거둔다. * 4인체제 vs 5인체제 결승 구도에서 5인체제 팀의 승리를 '''처음으로''' 달성할 수 있다. * 전작인 카트라이더 리그를 포함해 최초로 '''단일 팀 3연속 우승'''에 성공한다.[*Pre] * [[이재혁]]에게 전작 리그 징크스인 "'''개인전 우승 시 양대 우승 실패 징크스'''"를 선사할 수 있다. * [[리우창헝]]은 공식적으로 팀전 결승에 참가하여 진짜 첫 우승을 달성한다.[*Pre] == 5월 14일 (일) 결승전 - KWANGDONG FREECS 2 : 0 Liiv SANDBOX == === Phase 1. KWANGDONG FREECS 2 : 1 Liiv SANDBOX === [include(틀: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A팀 선밴 프로필, 경기명=결승전 PHASE 1, A=KWANGDONG FREECS, B=Liiv SANDBOX, A팀로고=광동 프릭스 로고.svg, B팀로고=Liiv SANDBOX 로고.svg, A1=SUNGBIN, A2=Zzz, A3=SPEAR, A4=DogWorld, A5=, B1=HyunSu, B2=Jimin, B3=Insoo, B4=SeungHa, B5=NEAL, A1S=Mine Cart, A1I=Solid Pro, A2S=NYC Tour Bus, A2I=Cotton, A3S=Solid Pro, A3I=Mine Cart, A4S=Storm, A4I=Storm, A5S=, A5I=, B1S=NYC Tour Bus, B1I=Justice, B2S=, B2I=Ace, B3S=Mine Cart, B3I=Mine Cart, B4S=Storm, B4I=Solid Pro, B5S=Solid Pro, B5I=, S맵_1=월드 시안 병마용, S맵_2=포레스트 지그재그, S맵_3=빌리지 붐힐 터널, S맵_4=아이스 익스트림 경기장, S맵_5=빌리지 고가의 질주, S밴_1=월드 LA 부스트우드, S밴_2=사막 빙글빙글 공사장, S밴_3=광산 꼬불꼬불 다운힐, S밴_4=월드 뉴욕 대질주, A_S1=19, A_S1패=, B_S1승=, B_S1=20, A_S2=24, A_S2승=, B_S2패=, B_S2=15, A_S3=22, A_S3승=, B_S3패=, B_S3=17, A_S4=19, A_S4패=, B_S4승=, B_S4=20, A_S5=20, A_S5승=, B_S5패=, B_S5=19, 스피드결과_A=3, A스피드승=, 스피드결과_B=2, B스피드패=, I맵_1=월드 런던 나이트, I맵_2=포레스트 버섯동굴, I맵_3=광산 뽀글뽀글 용암동굴, I맵_4=팩토리 거대 톱니의 위협, I맵_5=아이스 하프파이프, I밴_1=아이스 투명동굴, I밴_2=월드 강남 스트리트, I밴_3=팩토리 브로디의 심술, I밴_4=광산 보석 채굴장, A_I1=DogWorld, A_I1승=, B_I1패=, B_I1=, A_I2=, A_I2패=, B_I2승=, B_I2=Insoo, A_I3=SUNGBIN, A_I3승=, B_I3패=, B_I3=, A_I4=, A_I4패=, B_I4승=, B_I4=Insoo, A_I5=, A_I5패=, B_I5승=, B_I5=Insoo, 아이템결과_A=2, A아이템패=, 아이템결과_B=3, B아이템승=, A팀에결선수=DogWorld, B팀에결선수=NEAL, A팀에결카트=Mine Cart, B팀에결카트=Mine Cart, 에결트랙=굉산 꼬불꼬불 다운힐, A에결승=, B에결패=, A팀최종결과=PHASE 1 WIN, B팀최종결과=PHASE 1 LOSE, A팀최종승=, B팀최종패= )] ||<-2> '''하이라이트 영상''' || || '''1SET 2ROUND''' || [[https://youtu.be/YUbT-T5EoD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 '''2SET 5ROUND''' || [[https://youtu.be/iB02t_pufK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 '''3SET ACE''' || [[https://youtu.be/EqONNMY45q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2> '''FULL 영상''' || ||<-2> [youtube(hddn7yI5mH8)] || || {{{#fff '''스피드전 경기별 정리'''}}} || ||Speed Round 1 : {{{#dodgerblue '''월드 시안 병마용'''}}} Speed Round 2 : {{{#d13 '''포레스트 지그재그'''}}} Speed Round 3 : {{{#d13 '''빌리지 붐힐 터널'''}}} Speed Round 4 : {{{#dodgerblue '''아이스 익스트림 경기장'''}}} Speed Round 5 : {{{#d13 '''빌리지 고가의 질주'''}}} 총평 * {{{#d13 '''승리 팀 - KWANGDONG FREECS'''}}} : 모든 선수들이 골고루 잘해주었다. 선픽으로 준비했던 병마용 작전은 실패했지만, 샌드박스의 지그재그 5승 0패를 박살내는데 성공하였고, 빌리지 테마에서의 승률 100%도 지켜냈다. 특히 SPEAR는 이번에도 역대급 경기력을 선보이며 팀을 승리로 이끌었는데, 특히 고가에서 역드립으로 극적으로 승리를 만들어낸 점이 압권. * {{{#dodgerblue '''패배 팀 - Liiv SANDBOX'''}}} : SPEAR의 말도 안되는 슈퍼 플레이에 이번에도 당하고 말았다. 경기 과정은 상당히 훌륭했지만, 빌리지 테마를 이번에도 극복하지 못했다. 마지막 고가에서의 슈퍼 플레이에 당해 아쉽게 패배한 샌드박스이다. {{{#!folding [스피드전 순위] ||
<-11> {{{#fff '''스피드전 순위 & 기록'''}}} || ||<:>No ||<:>TRACK ||<:> BEST ||<:>'''1st'''||<:>'''2nd'''||<:>'''3rd'''||<:>4th||<:>5th||<:>6th||<:>7th||<:>8th|| ||<|2> 1 ||<|2> ||<|2> || {{{#d13 }}} || {{{#1E90FF }}} || {{{#d13 }}} || {{{#1E90FF }}} || {{{#d13 }}} || {{{#1E90FF }}} || {{{#d13 }}} || {{{#1E90FF }}} || ||<-8><:> {{{#d13 }}} : {{{#1e90ff }}} || ||<|2> 2 ||<|2> ||<|2> || || || || || || || || || ||<-8><:> {{{#d13 }}} : {{{#1e90ff }}} || ||<|2> 3 ||<|2> ||<|2> || || || || || || || || || ||<-8><:> {{{#d13 }}} : {{{#1e90ff }}} || ||<|2> 4 ||<|2> ||<|2> || || || || || || || || || ||<-8><:> {{{#d13 }}} : {{{#1e90ff }}} || ||<|2> 5 ||<|2> ||<|2> || || || || || || || || || ||<-8><:> {{{#d13 }}} : {{{#1e90ff }}} || ||<|2> 6 ||<|2> ||<|2> || || || || || || || || || ||<-8><:> {{{#d13 }}} : {{{#1e90ff }}} || ||<|2> 7 ||<|2> ||<|2> || || || || || || || || || ||<-8><:> {{{#d13 }}} : {{{#1e90ff }}} || ||<-3> 결승전 평균 순위 (점수) || || || || || || || || || }}} || || {{{#fff '''아이템전 경기별 정리'''}}} || ||Item Round 1: {{{#d13 '''월드 런던 나이트'''}}} Item Round 2: {{{#dodgerblue '''포레스트 버섯동굴'''}}} Item Round 3: {{{#d13 '''광산 뽀글뽀글 용암동굴'''}}} Item Round 4: {{{#dodgerblue '''팩토리 거대 톱니의 위협'''}}} Item Round 5: {{{#dodgerblue '''아이스 하프파이프'''}}} 총평 * {{{#dodgerblue '''승리 팀 - Liiv SANDBOX'''}}} : 다시 살아난 리브 샌드박스의 아이템전이였다. 2번째 트랙 버섯동굴에서는 지난 플레이오프에 이어서 러너가 도망가는 전략을 다시 한 번 성공시키기도 했다. 아이러니하게도 이번 아이템전에서 승리한 트랙 모두 InSoo가 1위로 들어갔다. * {{{#d13 '''패배 팀 - KWANGDONG FREECS'''}}}: 첫 트랙을 무난하게 승리했으나, 2번째 트랙에서 3연속 번개에 무기력하게 패배했고, 4~5 트랙에서 마지막 싸움에서 InSoo에게 연달아 밀리며 첫 페이즈를 2:0으로 마무리 할 수 있는 기회를 아쉽게 놓쳤다. {{{#!folding [주요 아이템 개수] ||
<-7> {{{#white '''주요 아이템'''}}} || ||<-2> {{{#white '''?'''}}} ||<|2> vs ||<-3> '''?''' || || {{{#black '''번개'''}}} || {{{#black '''천사'''}}} || {{{#black '''천사'''}}} || {{{#black '''번개'''}}} || || || || {{{#d13 '''???'''}}} || || || || || || {{{#dodgerblue '''???'''}}} || || || || || || {{{#dodgerblue '''???'''}}} || || || || || || {{{#dodgerblue '''???'''}}} || || || || || || {{{#dodgerblue '''???'''}}} || || || || || || {{{#dodgerblue '''???'''}}} || || || || || || {{{#dodgerblue '''???'''}}} || || || }}} || || {{{#fff '''에이스 결정전'''}}} || ||TRACK : {{{#d13 '''광산 꼬불꼬불 다운힐'''}}} 결과 : {{{#d13 '''DogWorld(승)'''}}} VS {{{#dodgerblue NEAL}}} 8강 풀리그에서 나왔던 광꼬가 다시 한 번 에결 트랙으로 선정되었고, 당시에는 DogWorld가 NEAL 상대로 승리했었는데, 당시 동일한 맵에서 에결에 출전했던 DogWorld, NEAL 두 선수가 다시 한 번 출전하게 되었다. 저번과 마찬가지로 초중반까지는 치열하게 두 선수가 주행 싸움을 펼쳤다. NEAL이 지난 번 에결에서 당했던 구간을 이번엔 실수없이 지나가나 싶었으나, 이번엔 마지막 복합 굴절 구간에서 대형 실수를 하고 만다. 결국 DogWorld가 다시 한 번 승리하며 광동이 첫 페이즈를 가져갔고 샌드박스 상대로 에결 전승도 유지되었다. || === Phase 2. KWANGDONG FREECS 2 : 1 Liiv SANDBOX === [include(틀: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A팀 선밴 프로필, 경기명=결승전 PHASE 2, A=KWANGDONG FREECS, B=Liiv SANDBOX, A팀로고=광동 프릭스 로고.svg, B팀로고=Liiv SANDBOX 로고.svg, A1=SUNGBIN, A2=Zzz, A3=SPEAR, A4=DogWorld, A5=, B1=HyunSu, B2=JiMin, B3=InSoo, B4=SeungHa, B5=NEAL, A1S=Mine Cart, A1I=Solid Pro, A2S=NYC Tour Bus, A2I=Cotton, A3S=Solid Pro, A3I=Justice, A4S=Storm, A4I=Storm, A5S=, A5I=, B1S=NYC Tour Bus, B1I=Justice, B2S=, B2I=Ace, B3S=Mine Cart, B3I=Mine Cart, B4S=Storm, B4I=Solid Pro, B5S=Solid Pro, B5I=, S맵_1=월드 시안 병마용, S맵_2=광산 꼬불꼬불 다운힐, S맵_3=빌리지 붐힐 터널, S맵_4=아이스 익스트림 경기장, S맵_5=빌리지 고가의 질주, S밴_1=월드 LA 부스트우드, S밴_2=사막 빙글빙글 공사장, S밴_3=포레스트 지그재그, S밴_4=월드 뉴욕 대질주, A_S1=15, A_S1패=, B_S1승=, B_S1=24, A_S2=28, A_S2승=, B_S2패=, B_S2=11, A_S3=26, A_S3승=, B_S3패=, B_S3=13, A_S4=18, A_S4패=, B_S4승=, B_S4=21, A_S5=18, A_S5패=, B_S5승=, B_S5=21, 스피드결과_A=2, A스피드패=, 스피드결과_B=3, B스피드승=, I맵_1=광산 뽀글뽀글 용암동굴, I맵_2=포레스트 버섯동굴, I맵_3=월드 이스탄불 노을 광장, I맵_4=팩토리 거대 톱니의 위협, I맵_5=월드 런던 나이트, I밴_1=아이스 투명동굴, I밴_2=월드 강남 스트리트, I밴_3=팩토리 브로디의 심술, I밴_4=광산 보석 채굴장, A_I1=, A_I1패=, B_I1승=, B_I1=HyunSu, A_I2=SPEAR, A_I2승=, B_I2패=, B_I2=, A_I3=SUNGBIN, A_I3승=, B_I3패=, B_I3=, A_I4=SPEAR, A_I4승=, B_I4패=, B_I4=, A_I5=, A_I5승or패=, B_I5승or패=, B_I5=, 아이템결과_A=3, A아이템승=, 아이템결과_B=1, B아이템패=, A팀에결선수=DogWorld, B팀에결선수=Insoo, A팀에결카트=Mine Cart, B팀에결카트=Mine Cart, 에결트랙=월드 시안 병마용, A에결승or패=, B에결승or패=, A팀에결선수=DogWorld, B팀에결선수=InSoo, A팀에결카트=Mine Cart, B팀에결카트=Mine Cart, 에결트랙=월드 시안 병마용, A에결승=, B에결패=, A팀최종결과=PHASE 2 WIN\, CHAMPIONS, B팀최종결과=PHASE 2 LOSE\, RUNNER-UP, A팀최종승=, B팀최종패= )] ||<-2> '''하이라이트 영상''' || || '''1SET 5ROUND''' || [[https://youtu.be/Zcib507xXy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 '''2SET 3ROUND''' || [[https://youtu.be/sd7npU14uo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 '''3SET ACE''' || [[https://youtu.be/oHIobJU8cy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2> '''FULL 영상''' || ||<-2> [youtube(afOTBcNKOhE)] || || {{{#fff '''스피드전 경기별 정리'''}}} || ||Speed Round 1 : {{{#dodgerblue '''월드 시안 병마용'''}}} Speed Round 2 : {{{#d13 '''광산 꼬불꼬불 다운힐'''}}} Speed Round 3 : {{{#d13 '''빌리지 붐힐 터널'''}}} Speed Round 4 : {{{#dodgerblue '''아이스 익스트림 경기장'''}}} Speed Round 5 : {{{#dodgerblue '''빌리지 고가의 질주'''}}} 총평 * {{{#dodgerblue '''승리 팀 - Liiv SANDBOX'''}}} : 1페이즈의 복수를 완벽히 해낸 샌드박스이다. 1페이즈에서 무기력했던 HyunSu가 살아나면서 리브 샌드박스의 팀합도 같이 살아났다. 특히 HyunSu가 플레이오프 에결 고가에서 승리했던 이유를 역대급 스위핑으로 제대로 증명했다. * {{{#d13 '''패배 팀 - KWANGDONG FREECS'''}}}: 1페이즈에서 승리했던 고가를 이번엔 HyunSu의 역대급 스위핑에 제대로 당하면서 빌리지 테마 승률 100%가 결국 깨졌고 스피드전을 패배했다. 승리했던 광꼬와 붐힐터널에서는 1페이즈 때보다도 더 압도적인 모습으로 승리했지만, 다시 한 번 선픽으로 가져간 병마용에서는 더 무기력하게 패배했다는 점이 치명적으로 작용했다. {{{#!folding [스피드전 순위] ||
<-11> {{{#fff '''스피드전 순위 & 기록'''}}} || ||<:>No ||<:>TRACK ||<:> BEST ||<:>'''1st'''||<:>'''2nd'''||<:>'''3rd'''||<:>4th||<:>5th||<:>6th||<:>7th||<:>8th|| ||<|2> 1 ||<|2> ||<|2> || {{{#d13 }}} || {{{#1E90FF }}} || {{{#d13 }}} || {{{#1E90FF }}} || {{{#d13 }}} || {{{#1E90FF }}} || {{{#d13 }}} || {{{#1E90FF }}} || ||<-8><:> {{{#d13 }}} : {{{#1e90ff }}} || ||<|2> 2 ||<|2> ||<|2> || || || || || || || || || ||<-8><:> {{{#d13 }}} : {{{#1e90ff }}} || ||<|2> 3 ||<|2> ||<|2> || || || || || || || || || ||<-8><:> {{{#d13 }}} : {{{#1e90ff }}} || ||<|2> 4 ||<|2> ||<|2> || || || || || || || || || ||<-8><:> {{{#d13 }}} : {{{#1e90ff }}} || ||<|2> 5 ||<|2> ||<|2> || || || || || || || || || ||<-8><:> {{{#d13 }}} : {{{#1e90ff }}} || ||<|2> 6 ||<|2> ||<|2> || || || || || || || || || ||<-8><:> {{{#d13 }}} : {{{#1e90ff }}} || ||<|2> 7 ||<|2> ||<|2> || || || || || || || || || ||<-8><:> {{{#d13 }}} : {{{#1e90ff }}} || ||<-3> 결승전 평균 순위 (점수) || || || || || || || || || }}} || || {{{#fff '''아이템전 경기별 정리'''}}} || ||Item Round 1: {{{#dodgerblue '''광산 뽀글뽀글 용암동굴'''}}} Item Round 2: {{{#d13 '''포레스트 버섯동굴'''}}} Item Round 3: {{{#d13 '''월드 이스탄불 노을 광장'''}}} Item Round 4: {{{#d13 '''팩토리 거대 톱니의 위협'''}}} 총평 * {{{#d13 '''승리 팀 - KWANGDONG FREECS'''}}} : 1페이즈와는 다른 아이템전을 보여준 광동 프릭스이다. 첫 트랙인 용암동굴을 아쉽게 패배했지만, 이후 연달아 3개 트랙을 가져갔다. 노을 광장에서는 샌드박스가 공격 아이템이 쏟아 부었는데도 불구하고 잘 버터내며 승리했고, 1페이즈 당시 패배했던 버섯동굴과 거대톱니까지 잡아내며, 풀트랙 조차 허용하지 않고 승리했다. * {{{#dodgerblue '''패배 팀 - Liiv SANDBOX'''}}} : 1페이즈와는 다르게 다소 무기력한 모습이 나왔다. 물론 첫 트랙이였던 용암동굴을 슈퍼 플레이로 승리한 것까지는 좋았지만, 이후 이어진 3개의 트랙을 연달아 내주며 풀트랙 조차 가지 못하고 패배하고 말았다. {{{#!folding [주요 아이템 개수] ||
<-7> {{{#white '''주요 아이템'''}}} || ||<-2> {{{#white '''?'''}}} ||<|2> vs ||<-3> '''?''' || || {{{#black '''번개'''}}} || {{{#black '''천사'''}}} || {{{#black '''천사'''}}} || {{{#black '''번개'''}}} || || || || {{{#d13 '''???'''}}} || || || || || || {{{#dodgerblue '''???'''}}} || || || || || || {{{#dodgerblue '''???'''}}} || || || || || || {{{#dodgerblue '''???'''}}} || || || || || || {{{#dodgerblue '''???'''}}} || || || || || || {{{#dodgerblue '''???'''}}} || || || || || || {{{#dodgerblue '''???'''}}} || || || }}} || || {{{#fff '''에이스 결정전'''}}} || ||TRACK : {{{#d13 '''월드 시안 병마용'''}}} 결과 : {{{#d13 '''DogWorld(승)'''}}} VS {{{#dodgerblue InSoo}}} 1페이즈에 이어 다시 한 번 에이스 결정전이 성사되었고, 트랙은 월드 시안 병마용으로 결정되었다. 광동 프릭스는 우승을 확정짓기 위해 DogWorld가 다시 한 번 출전했고, 리브 샌드박스는 원작에서 해당 트랙 승리 경험이 있는 InSoo가 출전한다. 1랩에서는 InSoo가 DogWorld를 뒤에서 따라가는 구도로 흘러갔다. 병마용 구간에서 DogWorld가 스탑을 시도했지만 InSoo는 크게 당황하지 않았다. 플레이 스타일을 파악한 InSoo는 2랩이 시작하자마자 앞 포지션을 잡기 시작했고, 연이은 스탑 플레이로 DogWorld를 압박했지만 DogWorld 역시 쉽게 무너지지 않았다. 그러다가 병마용 구간 들어가지 직전, DogWorld는 드래프트와 인코스로 다시 역전에 성공한다. 이후 지속적인 스탑 플레이를 반복하였고, 끝내 병마용 구간 빠져나오는 순간 격차가 더 벌어진다. 격차를 벌린 DogWorld가 끝까지 1등을 유지한 끝에 승리하며 광동 프릭스의 창단 첫 우승을 확정지었고, 리브 샌드박스 상대로 에이스 결정전 4승 0패라는 어마무시한 기록까지 달성하였다! || == 최종 스코어 == ||
<-5><#000> {{{+1 {{{#fff '''최종 결과'''}}} }}} || ||<#e11> {{{#fff '''KWANGDONG FREECS'''}}} ||<|2> {{{#d13 '''2'''}}} ||<#fff><|2>||<|2> {{{#1e90ff '''0'''}}} || {{{#000 '''Liiv SANDBOX'''}}} || ||<:><#FFD700> '''우승[br]40,000,000원''' ||<:><#c0c0c0> 준우승[br]20,000,000원 || === 우승 팀 - {{{#d13 KWANGDONG FREECS}}} === '''지겹도록 이어졌던 무관의 사슬을 끊어내고 [[이재혁|Zzz]]의 양대우승 성공[*Pre], [[노준현|DogWorld]]의 첫 커리어 우승[*Pre], {{{#e11 레드 라이더}}}의 2:0 셧아웃 성공, KDL 최초 우승 팀 등의 업적을 세워 역사에 기록된 팀이 되었다.'''[*Pre] 22-2부터 큰 문제점으로 지적받은 "몸싸움 회피, 상대 팀에게 허점 노출" 등을 이번 시즌에서 완벽히 고쳐냈고 월드 선수의 인생 역전 급 대활약과 다른 3인과의 시너지가 잘 어우러져 그동안의 굴욕을 샌드박스에게 되갚아주는데 성공했다. === 준우승 팀 - {{{#1e90ff Liiv SANDBOX}}} === '''팀전의 달인 연속 등극 실패, 3연속 이어지는 {{{#1e90ff 블루 라이더}}}의 저주, 4인팀 대 5인팀 중 5인팀의 우승 실패 등의 징크스를 극복하지 못 하고 2등으로 끝나버린 [[용두사미]]의 결과를 맞이했다.'''[*Pre] 이번 시즌 들어서 '''에이스결정전이 발목을 크게 잡았는데''' 평소 에결의 선두주자 하면 샌드박스라는 이미지와 다르게 어딘가 나사가 많이 풀린 장면이 많았고 2페이즈 모두 풀세트로 끌려가는 것은 결코 샌드박스 답지 못했다고 할 만했다. == 여담 == * 흐름 자체는 2022 수퍼컵을 거의 똑같이 재현하는 듯 했지만 [[노준현|DogWorld]]가 [[박인수|InSoo]]에게 승리를 가져오면서 우승을 달성한다. * {{{#d13 '''레드 라이더'''}}}의 2:1 승자연전 승리, {{{#1e90ff '''블루 라이더'''}}}의 2:0 셧아웃 승리가 반복되었던 징크스는 이번 결승전 {{{#d13 '''레드 라이더'''}}}가 2:0 셧아웃으로 승리하면서 깨졌다.[* 결승전 {{{#d13 '''레드 라이더'''}}}의 2:0 우승은 2016년 듀얼레이스 시즌1 쏠라이트 인디고 이후 6년 6개월만이다.][* 다만, 페이즈 기준으로 따지면 2021 시즌까지의 징크스처럼 {{{#d13 '''레드 라이더'''}}}가 '''에이스결정전'''으로 2:1 승리를 거두는 징크스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그리고 전작 리그를 포함하여 {{{#d13 '''레드 라이더'''}}}가 3연속으로 우승을 차지하였다. 반대로 '''{{{#1e90ff 블루 라이더}}}'''가 3연속으로 패배하며 이번에도 '''{{{#1e90ff 블루 라이더}}}의 저주는 계속되었다.''' * 22-1 이후 4인 팀과 5인 팀 간의 매치가 성사되었는데, 이번에도 '''4인 팀이 우승'''하며, 징크스가 유지되었다. * 참가 팀 승부예측에 참가한 6팀 모두 승자연전까지 간다고 예측했지만, '''승자연전이 성사되지 않아 어느 팀도 예측에 실패했다.''' * 단일 팀 3연속 우승 실패 징크스는 유지되었다. * [[NEAL]]은 [[이재혁|Zzz]]의 저주를 오랜만에 받아 2인전 패배 및 팀전 2:0 패배로 '''양대 준우승을 달성했다.''' 다만 '''{{{#dodgerblue 블루 라이더}}}'''라는 것이 차이점.[* 물론 이재혁도 22-2 당시 양대 2위를 할 때 '''{{{#1e90ff 블루 라이더}}}''' 2:1 패배를 당한 적은 있다.] * 샌드박스와 프릭스의 팀전 경기는 각 매치의 {{{#d13 '''레드 라이더'''}}}인 팀이 승리한다는 징크스가 KL 2022 시즌 2부터 이번 프리시즌 결승전까지 이어졌다. * 듀레 1, 2022 시즌 결승의 데자뷔였다. * 프리시즌이지만, 20-1 이후 3년만에 '''{{{#d13 레드 라이더}}}'''가 시즌1에서 우승을 거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