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카트라이더: 드리프트/트랙)] [include(틀:카트라이더: 드리프트/테마)] [목차] == 개요 == [[카트라이더: 드리프트]]에 등장하는 트랙 테마 중 하나. 원작 처럼 [[월드 랠리 챔피언십]]을 차용한 테마로 각 트랙은 실제 전세계에 존재하는 서킷 경주장을 모티브로 하고 있으며 아이템전 트랙이 없다는 것이 특징이다. == BGM == ||<-3> '''{{{#fff 전용 BGM}}}''' || || '''곡명''' || '''인게임''' || '''비고''' || || 오버드라이브 || [[https://youtu.be/NQ2TVQxugFo?si=qYRJ2IPueRt-YgBg|#]] || [*리믹스 원작 리믹스] || || 월드 챔프 || [[https://youtu.be/ENIEC2IZkaY?si=I5qKgLb1VINSv1aQ|#]] || [*리믹스 원작 리믹스] || || 월드 챔프(원작) || [[https://youtu.be/5fa7bGNoy6A|#]] || [*원작] || == 스피드 트랙 == === WKC 싱가포르 서킷 === ||<-2> {{{#fff {{{+1 '''WKC 싱가포르 서킷'''}}}[br]WKC: Singapore Circuit}}}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드맆-WKC 싱가포르 서킷.png|width=100%]]}}} || || '''난이도''' ||{{{+3 {{{#FFB000 ●●●{{{#808080,#404040 ●●}}}}}}}}} || || '''트랙 분류'''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6px; background:#009BFF;" {{{#fff [[파일:driftspeedico.png|width=16]] '''스피드'''}}}}}} || || '''랩''' ||2바퀴 || || '''트랙 길이''' ||9113 m || || '''출시일''' ||2023. 5. 11. || || '''사용 리그''' ||'''스피드전''':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2|Pre-2]] || >직선과 완만한 코너링 구간으로 이루어진 트랙. 도심 속에 자리한 서킷으로 싱가포르의 야간 도심을 질주하는 자유로움을 느낄 수 있다. 스피드 전용 트랙중 중간 난이도로, 레이서들이 어렵지 않게 달릴 수 있어 기록 단축을 위해선 더 높은 기술 숙련도를 요한다. [youtube(RH9DWrsjqtI)] 원본 트랙은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의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WKC#WKC 싱가폴 서킷|WKC 싱가폴 서킷]]. [[싱가포르]]의 [[마리나 베이 시가지 서킷]]를 모티브로 삼았다.[* 실제 서킷의 구조를 그대로 가져온 다른 WKC 트랙과 달리 실제 서킷의 테마만 가져왔다. 원작에서 실제 서킷의 레이아웃까지 가져온 트랙은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WKC#WKC 싱가폴 마리나 서킷|WKC 싱가폴 마리나 서킷]].] 원작의 미니맵과 카드맆의 미니맵의 차이가 유난히 도드라지는 편이다. 180도 회전된 상태에 좌우로 길던 미니맵이 좁아졌고[* 직선길이가 실제로 짧아진 것인지 트랙 길이가 0.1km 정도 짧아진 것으로 측정된다.], 코너를 동그랗게 표현하던 원작과 달리 여백의 각진 벽까지를 미니맵에 전부 표시하면서 코너가 다소 두꺼워졌다. 원작에서 감속되던 트랙 외곽부에서 잔디를 제외한 모든 부분이 감속이 되지 않게 바뀌어 인코스를 극한으로 팔 수 있게 된 덕에 원작과 빌드가 많이 달라졌다. === WKC 코리아 서킷 === ||<-2> {{{#fff {{{+1 '''WKC 코리아 서킷'''}}}[br]WKC: Korea Circuit}}}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드맆-WKC 코리아 서킷.png|width=100%]]}}} || || '''난이도''' ||{{{+3 {{{#FFB000 ●●●{{{#808080,#404040 ●●}}}}}}}}} || || '''트랙 분류'''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6px; background:#009BFF;" {{{#fff [[파일:driftspeedico.png|width=16]] '''스피드'''}}}}}} || || '''랩''' ||2바퀴 || || '''트랙 길이''' ||8245 m || || '''출시일''' ||2023. 5. 11. || || '''사용 리그''' ||'''개인전''':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2|Pre-2]] || >기본적이면서도 다양한 굴절 구간이 배치된 트랙. 특히 완만한 코너링 후 직선으로 이어지는 구간이 많아, 드리프트 기술 중 하나인 톡톡이[* 인게임에서 쓰이는 공식 명칭은 '''끌기'''로 되어있으나 트랙 설명에는 비공식적인 명칭인 '''톡톡이'''로 되어있다.]를 연습하기에 적합하다. 현대적 배경과 한 데 섞인 한국의 고전적인 멋은 시공간의 경계가 사라진듯한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youtube(g0ycSpQL7ms)] 원본 트랙은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의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WKC#WKC 코리아 서킷|WKC 코리아 서킷]]. [[전라남도]] [[영암군]]의 [[코리아 인터내셔널 서킷]]을 모티브로 삼았다. 기와 지붕들이 곳곳에 배치되어 원본보다 이름에서 한국의 느낌이 강해졌고, 트랙 곳곳에서 대한민국 공군 특수비행팀 블랙이글스의 T-50B 곡예비행을 볼 수 있다. === WKC 일본 서킷 === ||<-2> {{{#fff {{{+1 '''WKC 일본 서킷'''}}}[br]WKC: Japan Circuit}}}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드맆-WKC 일본 서킷.png|width=100%]]}}} || || '''난이도''' ||{{{+3 {{{#FFB000 ●●●{{{#808080,#404040 ●●}}}}}}}}} || || '''트랙 분류'''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6px; background:#009BFF;" {{{#fff [[파일:driftspeedico.png|width=16]] '''스피드'''}}}}}} || || '''랩''' ||3바퀴 || || '''트랙 길이''' ||8473 m || || '''출시일''' ||2023. 5. 11. || || '''사용 리그''' ||'''스피드전''':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2|Pre-2]] || >흐드러지게 핀 벚꽃 배경이 아름다운 트랙. 바람에 날리는 벚꽃잎과 동양풍으로 재해석된 요소들은 일본의 애니메이션 속 한 장면을 달리고 있는 것만 같은 착각에 빠지게 한다. [youtube(25iha-F1A3Q)] 원본 트랙은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의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WKC#WKC 일본 서킷|WKC 일본 서킷]]. [[일본]]의 [[스즈카 서킷]]을 모티브로 삼았다. 트랙 내부 노란색 실선 내부에서는 트랙 바깥 잔디와 마찬가지로 감속에 걸리니 주의해야 한다. 원작에서는 한국에서 출시되지 않았다가 드리프트로 넘어오면서 드디어 빛을 보게 되었다. 원작 대비 일본풍이 더 짙어졌으며, 일부 구간에서는 일본풍으로 편곡된 카트라이더 메인 테마가 환경음으로 흘러나오기도 한다. === WKC 멕시코 투어링 랠리 === ||<-2> {{{#fff {{{+1 '''WKC 멕시코 투어링 랠리'''}}}[br]WKC: Mexico Touring Rally}}}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드맆-WKC 멕시코 투어링 랠리.png|width=100%]]}}} || || '''난이도''' ||{{{+3 {{{#FFB000 ●●●●{{{#808080,#404040 ●}}}}}}}}} || || '''트랙 분류'''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6px; background:#009BFF;" {{{#fff [[파일:driftspeedico.png|width=16]] '''스피드'''}}}}}} || || '''랩''' ||1바퀴 || || '''트랙 길이''' ||6367 m || || '''출시일''' ||2023. 8. 10. || || '''사용 리그''' ||'''스피드전''': [[2023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23]][br]'''개인전''': [[2023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23]] || >비포장도로의 거친 매력을 느낄 수 있는 트랙. 울퉁불퉁한 주행 구간 다음 나오는 벽면을 타고 달리는 구간은 레이싱을 더욱 짜릿하게 해준다. 한 가지 팁이 있다면, 벽면에 표시된 흰 화살표를 잘 따라갈 것. 겉으로 보기엔 주행에 별다른 도움이 될 것 같지 않아 보이지만 그 끝엔 당신을 승리로 이끌어 줄 지름길이 기다리고 있다. [youtube(523J1HXrI-M)] 원본 트랙은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의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WKC#WKC 투어링 랠리|WKC 투어링 랠리]]. 원본 트랙과 레이아웃은 동일하지만 후반부 언덕이 대부분이 벽으로 바뀌어서 언덕을 이용해 지름길로 갈아타는 빌드는 거의 막혔다. 원작처럼 갈 수는 있으나, 난이도가 매우 어려워졌기 때문에 처음부터 지름길로 가는 것이 좋다. 원본 트랙과의 가장 큰 차이점으로는 윗길과 아랫길로 나뉘는 후반 구간에서[* 원본은 아랫길에 기름이 쏟아져서 카트바디가 밟으면 감속됐는데, 드리프트에서는 물로 바뀌었고 밟아도 감속이 덜하다.] '''아랫길로 가는 것이''' 어택과 멀티 모두 정석 빌드가 되었다.[* 원작 시절 익시드 시스템이 생긴 V1 엔진 메타 때는 멀티 한정으로 아랫길로 가서 익시드로 감속을 줄이고 먼저 앞 순위를 역전하는 빌드가 종종 쓰였으나, 극후반에 익시드가 부족해서 재역전을 허용하기 십상이어서 정석 빌드가 되지는 못했다.] === WKC 상하이 서킷 === ||<-2> {{{#fff {{{+1 '''WKC 상하이 서킷'''}}}[br]WKC: Shanghai Circuit}}}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드맆-WKC 상하이 서킷.png|width=100%]]}}} || || '''난이도''' ||{{{+3 {{{#FFB000 ●●●●{{{#808080,#404040 ●}}}}}}}}} || || '''트랙 분류'''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6px; background:#009BFF;" {{{#fff [[파일:driftspeedico.png|width=16]] '''스피드'''}}}}}} || || '''랩''' ||2바퀴 || || '''트랙 길이''' ||7169 m || || '''출시일''' ||2023. 9. 14. || || '''사용 리그''' ||'''스피드전''': [[2023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23]][br]'''개인전''': [[2023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23]] || > 초반 연속되는 헤어핀에서의 감속 조절이 중요한 트랙. 이후에 이어지는 커브길에서도 감속 구간을 피하며 달릴 수 있는 주행실력이 필요하다. 하늘에 떠있는 풍등과 연은 중국의 명절을 맞아 더욱 신난 관객들의 분위기를 짐작케 한다. [youtube(qRNHDzShk-Q)] 원본 트랙은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의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WKC#WKC 상해 서킷|WKC 상해 서킷]]. [[중국]]의 [[상하이 인터내셔널 서킷]]을 모티브로 삼았다. === WKC 브라질 서킷 === ||<-2> {{{#fff {{{+1 '''WKC 브라질 서킷'''}}}[br]WKC: Brazil Circuit}}}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드맆-WKC 브라질 서킷.png|width=100%]]}}} || || '''난이도''' ||{{{+3 {{{#FFB000 ●●●●{{{#808080,#404040 ●}}}}}}}}} || || '''트랙 분류'''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6px; background:#009BFF;" {{{#fff [[파일:driftspeedico.png|width=16]] '''스피드'''}}}}}} || || '''랩''' ||2바퀴 || || '''트랙 길이''' ||8253 m || || '''출시일''' ||2023. 5. 11. || || '''사용 리그''' ||'''스피드전''':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2|Pre-2]], [[2023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23]][br]'''개인전''':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2|Pre-2]], [[2023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23]] || >감속 구간을 적절히 이용해야 하는 트랙. 감속이 걸리는 잔디밭을 피해 구불구불한 코너를 돌 것인지, 감속을 감수하더라도 잔디밭을 직진으로 돌파할 것인지 선택해야한다. 생동감 넘치는 축제 현장을 즐기며 달리다보면 '좋은 기록엔 큰 배포가 필요하다'는 카트 격언처럼 자신도 모르게 깊은 곳에서 끓어오르는 승부욕을 느낄 수 있다. [youtube(eKuQ7vcZGCw)] 원본 트랙은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의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WKC#WKC 브라질 서킷|WKC 브라질 서킷]]. [[브라질]]의 [[호세 카를로스 파시 서킷|인터고라스 서킷]]을 모티브로 삼았다. 마지막 부분 타이어에 물리 엔진이 적용되어 타이어를 움직일 수 있는데, 이를 이용해 타이어를 밀고 지나가는 예능 빌드도 있고 바리케이트를 세우는 막자짓도 가능하다. 물론 타이어가 생각보다 무겁고 잘 움직이지 않아 실전성은 거의 없다. === WKC 캐나다 서킷 === ||<-2> {{{#fff {{{+1 '''WKC 캐나다 서킷'''}}}[br]WKC: Canada Circuit}}}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드맆-WKC 캐나다 서킷.png|width=100%]]}}} || || '''난이도''' ||{{{+3 {{{#FFB000 ●●●●{{{#808080,#404040 ●}}}}}}}}} || || '''트랙 분류'''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6px; background:#009BFF;" {{{#fff [[파일:driftspeedico.png|width=16]] '''스피드'''}}}}}} || || '''랩''' ||2바퀴 || || '''트랙 길이''' ||6904 m || || '''출시일''' ||2023. 10. 12. || || '''사용 리그''' ||- || > 연속된 완만한 코너가 많아 부스터를 모으기 용이한 트랙. 드리프트를 활용하여 부스터를 모야 코너의 인코스를 따라 주행하면 여유롭게 승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아름다운 경치 속의 관중들의 탄성을 자아낼 지름길이 숨어있으니, 부스터를 사용하여 역전을 노려보자. [youtube(PCsDA2VCKdQ)] [[카트라이더: 드리프트]]의 첫 오리지널 WKC 트랙. 공개 전 월드 강남 스트리트 에셋을 사용한 버전이 유출된 적이 있다. 'WKC (Missing string table entry)'라는 이름과 난이도 5 표기로 존재했으며, 월드 강남 스트리트의 맵을 확장한 1랩 레이싱 트랙이었다.[* [[파일:wkcgangnam.png ]]] 다양한 고저차 기믹 덕에 원작 포함 역대 WKC 맵 중 가장 잘 만들었고 재밌다는 호평을 받고 있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카트라이더: 드리프트/트랙/난이도 3, version=137, title2=카트라이더: 드리프트/트랙/난이도 4, version2=88)] [[분류:카트라이더: 드리프트/트랙]]